“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남치근(南致勤)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구(南俅)의 아들로, 여러 차례 호남에 출몰하는 왜구(倭寇)를 토벌하였고, 경기ㆍ황해ㆍ평안 삼도토포사(三道討捕使) 시절에 황해도 재령(載寧)에서 암약하던 임꺽정을 잡아 효수(梟首)함.
?~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무신
-
남치리(南致利)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김언기(金彦璣)ㆍ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이황(李滉) 문하의 안자(顔子)라고 불리며 1578년 정구(鄭逑)와 함께 유일(遺逸)에 천거됨.
1543~158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남치욱(南致勖)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약천(藥泉) 남구만(南九萬)의 5대조로, 1528년(중종 23)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내직과 외직을 두루 역임한 뒤 철원 부사(鐵原府使) 등을 지냄.
1494~156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무신
-
남치원(南致元)
조선 성종(成宗)의 부마. 본관은 의령(宜寧). 성종(成宗)의 넷째 딸 경순옹주(慶順翁主)를 맞아들여 의성위(宜城尉)에 봉해졌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인척
-
남치형(南致亨)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영양(英陽)으로, 공보(公輔) 남신신(南藎臣)의 아들. 유일재(惟一齋) 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으로, 동생 남치리(南致利)와 함께 평생 강학(講學)에 힘씀.
1540~160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남태보(南泰普)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울산 부사(蔚山府使)를 지냄. 《매호유고(梅湖遺稿)》의 서문을 씀.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남택하(南宅夏)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농환재(弄丸齋) 남도진(南道振)의 아버지이며, 양곡(陽谷) 오두인(吳斗寅)의 사위로, 회양 부사(淮陽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남평(南平)
전라남도 나주시(羅州市) 남평읍(南平邑) 일원의 옛 고을 이름.
전라도>남평 , 지명>행정지명
-
남평문씨(南平文氏)
신라 자비마립간(慈悲麻立干) 때 인물로 대장군(大將軍)을 거쳐 남평백(南平伯)에 봉해진 문다성(文多省)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신라 , 전라도>남평 , 인명>집단>성씨
-
남풍가(南風歌)
중국 고대에 순(舜) 임금이 지었다는 악가(樂歌). 순 임금이 천자가 되어 남쪽 지방을 순행(巡幸)할 때 오현금(五絃琴)으로 연주하였다는 노래로, 남방 백성들의 생활상을 반영한 최초의 시(詩)임.
고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남필문(南弼文)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밀양(密陽) 사촌(士村) 마을에 거처하며 학문을 닦았고, 벼슬은 문소전 참봉(文昭殿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
-
남학명(南鶴鳴)
조선 숙종(肅宗) 때의 학자. 본관은 의령(宜寧). 영의정을 지낸 약천(藥泉) 남구만(南九萬)의 아들. 음보(蔭補)로 주부(主簿)에 천거되었으나 부임하지 않고, 수락산(水洛山)에 살면서 학문에만 전념함.
1654~172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
-
남한기(南漢紀)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남정중(南正重)의 아들이며, 남유용(南有容)의 아버지로, 내직과 외직을 두루 역임한 후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냈고, 추은(推恩)으로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감.
1675~174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남해(南海)
경상남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여러 개의 도서(島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선시대의 유배지 가운데 하나로, 많은 인물들의 자취가 남아 있음.
경상도>남해 , 지명>행정지명
-
남해차차웅(南解次次雄)
신라의 제2대 왕. 재위 4~24. 박혁거세(朴赫居世)의 맏아들로, 즉위 후 해변에 출몰하는 왜구(倭寇)를 격퇴하고, 기근에 곡식 창고를 열어 백성을 구제하였으며, 석탈해(昔脫解)를 사위로 삼아 후에 정사를 맡김.
?~24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남헌문집(南軒文集)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인 장식(張栻)의 문집. 효종(孝宗) 순희(淳熙) 연간에 주희(朱熹)가, 장식의 학문이 정립된 이후의 글들을 편집하여 44권으로 만들었으며, 이와는 다른 30권 본도 전함.
1184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남헌역설(南軒易說)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인 장식(張栻)이 《주역(周易)》에 대하여 풀이한 책. 3권. 대연(大衍)의 수(數)를 전적으로 중시하고, 주장하는 학설이 대체로 한대(漢代)의 신비주의 색채를 띠고 있음. 원본은 11권이었다고 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남현(南晛)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영동 현감(永同縣監) 남응정(南應井)의 아들로, 유생 정려(鄭呂)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남호(南琥)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공조 참판(工曹參判) 남응운(南應雲)의 아들로, 1568(선조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우봉 현령(牛峯縣令) 등을 지냄.
1536~? 한국>조선시대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남황(南璜)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공조 참의(工曹參議) 남응룡(南應龍)의 아들로, 사축서 별제(司畜署別提)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