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명수(明叟) - 신희정(辛熙貞)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1506년(연산군 12)에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첨정(僉正)을 지냄. 이자(李耔)의 《음애집(陰崖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명수(蓂秀) - 신명수(申蓂秀)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평산(平山). 참봉(參奉) 신광섭(申光涉)의 아들로, 옥계(玉溪) 노진(盧禛)의 문인. 이황(李滉)에게서 역(易)에 대해 배움.
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유학
-
명수지변(明受之變) - 묘유지변(苗劉之變)
중국 남송(南宋)의 무신인 묘부(苗傅)와 유정언(劉正彦)이 일으킨 변란. 1129년에 금(金) 나라의 침입을 피해 임안(臨安)으로 가는 고종(高宗)을 호종하던 중 반란을 일으켜 3세 된 황자(皇子) 부(旉)에게 강제로 전위(傳位)하게 한 사건.
1129 중국>송 , 중국 , 사건>역모
-
명숙(明叔)@정문형 - 정문형(鄭文炯)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로, 개국공신 정진(鄭津)의 손자이며 정숙지(鄭叔墀)의 아버지. 1447년(세종 2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오도 관찰사(五道觀察使)ㆍ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 등을 지냈으며, 1455년(세조 1) 좌익공신(佐翼功臣)에 녹훈됨.
1427~15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명숙(明叔) - 이덕무(李德懋)
조선 정조(正祖) 때의 실학자. 서얼 출신으로, 박제가(朴齊家)ㆍ유득공(柳得恭)ㆍ이서구(李書九) 등과 함께 《건연집(巾衍集)》이라는 사가시집(四家詩集)을 내어 문명을 떨침. 명(明)과 청(淸) 나라의 학문과 고증학적 방법론에 관심을 가져 실질적으로는 북학을 함.
1741~179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명숙(明叔) - 장희(張曦)
조선 전기의 유학. 주세붕(周世鵬)의 《무릉잡고(武陵雜稿)》에 차운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명숙(明叔)@이성립 - 이성립(李誠立)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가선대부(嘉善大夫) 이응천(李應千)의 아들로, 고경명(高敬命)과 교유함. 호조 좌랑(戶曹佐郞)을 지냈으며, 어머니의 죽음을 슬퍼하다가 병을 얻어 38세에 죽음.
1573~1611 한국>조선후기 , 함경도>문천 , 인명>관인>문신
-
명숙(明叔)@서긍 - 서긍(徐兢)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1123년(인종 1) 고려에 사신으로 와서 개경(開京)에 1개월간 머무르고, 귀국 후 《고려도경(高麗圖經)》40권을 지어 고려의 실정을 송 나라에 소개함.
1091~115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명숙(明叔)@권문현 - 권문현(權文顯)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권규(權逵)의 아들이며, 이원(李源)의 사위. 조식(曺植)의 문인. 오건(吳健)에 대한 제문이 《덕계집(德溪集)》에 전함.
1524~15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학자
-
명숙(明肅) - 성준(成俊)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순조(成順祖)의 아들로, 좌의정ㆍ영의정 등을 지냄. 1495년(연산군 1) 시폐십조(時弊十條)를 주청하는 등 난정(亂政)을 바로잡으려 했으나 이루지 못하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유배되었다가 교살(絞殺)당함.
1436 ~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명숙(鳴叔) - 윤봉조(尹鳳朝)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명원(尹明遠)의 아들로, 《경종실록(景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냄. 문장에 능하고 특히 소차(疏箚)에 뛰어남.
1680~176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명순(明淳) - 김명순(金明淳)
조선 순조(純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좌의정(左議政) 김홍근(金弘根)ㆍ영의정(領議政) 김흥근(金興根)의 아버지. 1801년(순조 1) 별시(別試) 갑과(甲科)에 급제했으며,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175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명술(明述) - 박진경(朴晉慶)
조선 선조(宣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밀양(密陽). 정구(鄭逑)와 장현광(張顯光)의 문인으로, 영숭전 참봉(永崇殿參奉)을 지내고, 병자호란 때 최현(崔晛)과 더불어 의병을 일으킴. 남강서원(南岡書院)에 배향됨.
1581~166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
-
명숭(命崇) - 이명숭(李命崇)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원효(李元孝)의 아들로, 통신부사(通信副使)가 되어 일본(日本)에 다녀왔으며, 부제학(副提學) 등을 역임함.
?~1484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명신(明晨) - 이명신(李明晨)
조선 태종(太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이양(李揚)의 아들로, 판홍주목사(判洪州牧事) 등을 역임하였으며, 선정(善政)을 베풀어 명관(名官)으로 칭송되었고, 《세조실록(世祖實錄)》에 그의 졸기(卒記)가 실려 있음.
1392~145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명신당(明新堂) - 이부(李溥)
조선 세조(世祖)~예종(睿宗) 때의 종친ㆍ문신. 세종(世宗)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아들로, 이시애(李施愛)의 난 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남이(南怡)의 옥사 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444~147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명신록(名臣錄)@송명신언행록 - 송명신언행록(宋名臣言行錄)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대유(大儒)인 주희(朱熹)가 송 나라의 대표적 명신(名臣) 97명의 언행을 뽑아 기록한 책. 치세(治世)의 요령과 처세술이 풍부하게 담겨 있음.
1172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명신록(名臣錄) - 황조명신언행록(皇朝名臣言行錄)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인 양렴(楊廉)이 명 나라 명신(名臣) 54인의 언행을 수집하여 편찬한 책. 4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명신사략(名臣事略) - 국조명신사략(國朝名臣事略)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소천작(蘇天爵)이 저술한 책. 원 전기와 중기의 인물 47명의 전기를 기록함.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명신언행록(名臣言行錄) - 송명신언행록(宋名臣言行錄)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대유(大儒)인 주희(朱熹)가 송 나라의 대표적 명신(名臣) 97명의 언행을 뽑아 기록한 책. 치세(治世)의 요령과 처세술이 풍부하게 담겨 있음.
1172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