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명양정(鳴陽正) - 이현손(李賢孫)
조선 전기의 종친. 이신요(李神饒)의 아들로, 김굉필(金宏弼)ㆍ이심원(李深源)의 문인(門人). 독실한 행실로 모범을 보이고, 주계군(朱溪君) 이심원의 유고(遺稿)를 수습하여 전함.
146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명언(明彦) - 기대승(奇大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황과 8년 동안 사단칠정(四端七情) 논쟁을 벌임으로써 조선 유학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527~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명언(明彦)@김명언 - 김명언(金明彦)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개성(開城). 윤원형(尹元衡)일파가 국정을 장악하자 외직으로 전전하면서 바른 정사와 청렴결백함으로 백성들에게 칭송을 받았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명언보(明彦甫) - 기대승(奇大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황과 8년 동안 사단칠정(四端七情) 논쟁을 벌임으로써 조선 유학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527~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명여(明汝) - 선형(宣炯)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보성(寶城). 이시애(李施愛)의 난(亂) 때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성종 때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야인(野人) 정벌에 공을 세움.
1434~147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명오(明五) - 유천식(柳天植)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유혜적(柳惠迪)의 아들로, 순조(純祖) 때 원주(原州) 송곡서원(松谷書院)에서 유방선(柳方善)의 문집인《태재집(泰齋集)》을 중간함.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문사>유학
-
명왕(明王)@성왕 - 성왕(聖王)
백제 제26대 왕. 재위 523~554. 무녕왕(武寧王)의 아들이며, 위덕왕(威德王)의 아버지. 538년(성왕 16)에 사비(泗沘)로 천도(遷都)하는 등 왕권강화 정책을 계속함. 신라와 연합하여 고구려로부터 한강유역의 탈취에 성공하였으나, 신라의 배신으로 전사(戰死)함.
?~554 한국>백제 , 충청도>부여 , 인명>왕실>국왕
-
명왕(明王)@명종 - 명종(明宗)@고려
고려 제19대 국왕. 재위 1170~1197. 의종(毅宗)을 몰아낸 정중부(鄭仲夫) 등의 추대로 즉위하였으며, 무신들을 제거하려 노력하였으나 실패하고, 최충헌(崔忠獻)에 의하여 폐위됨.
1131~120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명왕(明王) - 동명성왕(東明聖王)
삼국시대 고구려(高句麗)의 시조. 재위 B.C.37~B.C.19. 동부여(東扶餘) 금와왕(金蛙王)의 왕자들이 죽이려 하자 남쪽으로 도망가서 고구려를 건국함.
B.C.58~B.C.19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명우(明宇) - 양산욱(梁山旭)
조선 선조(宣祖) 때의 의사(義士)ㆍ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손자이며, 언림(彦霖) 양응필(梁應畢)의 아들. 임진왜란 때에 의거하였으며, 예빈시 봉사(禮賓寺奉事)을 지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명운(明運) - 윤명운(尹明運)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비경(尹飛卿)의 아들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송시열을 변호한 죄로 해미(海美)에 유배되었다가 갑술옥사(甲戌獄事) 때 풀려 나옴. 광흥창 수(廣興倉守) 등을 지냄.
1642~17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명원(命元) - 김명원(金命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황(李滉)의 문인. 정여립(鄭汝立)의 난을 수습한 공으로 경림군(慶林君)에 봉해졌으며, 임진왜란 이후에 이조 판서ㆍ좌의정을 지냈음.
1534~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명원(明原) - 명천(明川)
함경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함경선의 중요한 철도역으로 본래 길주(吉州)의 명원역(明原驛)이었는데, 길주가 길성현(吉城縣)으로 강등되면서 분리됨.
함경도>명천 , 지명>행정지명
-
명원(明源) - 나익(羅瀷)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정(安定). 김안로(金安老)를 비방하는 방서(榜書)를 사초에 써두었다가 김안로의 미움을 받아 파직되고 죽음을 당함.
1507~153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명원(明遠)@문다성 - 문다성(文多省)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 남평문씨(南平文氏)의 시조. 고려 개국에 공을 세워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에 책록되고, 남평개국백(南平開國伯)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명원(明遠)@양조 - 양조(楊照)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무신. 요동총병관(遼東總兵官) 등을 지내고, 달자(韃子)와 싸우다 전사했는데, 허봉(許篈)의 《조천기(朝天記)》에 그 전말이 자세함.
1524~1563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명원(明遠)@강제 - 강제(姜霽)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인의(引儀) 강응청(姜應淸)의 아들로, 영덕 현감(盈德縣監)ㆍ이조 정랑(吏曹正郞)을 지냄.
1526~15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관인>문신
-
명원(明遠)@이수 - 이수(李睟)
조선 후기의 종친. 덕양군(德陽君) 이기(李歧)의 손자이며 풍산군(豊山君) 이종린(李宗麟)의 둘째 아들. 임진왜란 이후 《선원록(璿源錄)》의 보수에 참여하고, 1617년(광해군 9)에 종친을 모아 이이첨(李爾瞻)의 처벌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렸으며,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인조(仁祖)를 호종함.
1569~164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명원(明遠) - 이광(李光)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평창(平昌). 이계남(李季男)의 아들로, 연산군 때 불재(佛齋)를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정거(停擧) 처분을 받았으며, 승문원 부정자(承文院副正字) 등을 역임하였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474~149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창 , 인명>관인>문신
-
명원(明遠)@윤명원 - 윤명원(尹明遠)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참판 윤비경(尹飛卿)의 아들이며, 포암(圃巖) 윤봉조(尹鳳朝)의 아버지로, 직장(直長)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