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명우(明宇) - 양산욱(梁山旭)
조선 선조(宣祖) 때의 의사(義士)ㆍ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손자이며, 언림(彦霖) 양응필(梁應畢)의 아들. 임진왜란 때에 의거하였으며, 예빈시 봉사(禮賓寺奉事)을 지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명운(明運) - 윤명운(尹明運)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비경(尹飛卿)의 아들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송시열을 변호한 죄로 해미(海美)에 유배되었다가 갑술옥사(甲戌獄事) 때 풀려 나옴. 광흥창 수(廣興倉守) 등을 지냄.
1642~1718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명원(命元) - 김명원(金命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이황(李滉)의 문인. 정여립(鄭汝立)의 난을 수습한 공으로 경림군(慶林君)에 봉해졌으며, 임진왜란 이후에 이조 판서ㆍ좌의정을 지냈음.
1534~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명원(明原) - 명천(明川)
함경도 동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함경선의 중요한 철도역으로 본래 길주(吉州)의 명원역(明原驛)이었는데, 길주가 길성현(吉城縣)으로 강등되면서 분리됨.
함경도>명천 , 지명>행정지명
-
명원(明源) - 나익(羅瀷)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정(安定). 김안로(金安老)를 비방하는 방서(榜書)를 사초에 써두었다가 김안로의 미움을 받아 파직되고 죽음을 당함.
1507~153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명원(明遠)@문다성 - 문다성(文多省)
고려 태조(太祖) 때의 무신. 남평문씨(南平文氏)의 시조. 고려 개국에 공을 세워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에 책록되고, 남평개국백(南平開國伯)에 봉해짐.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명원(明遠)@양조 - 양조(楊照)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무신. 요동총병관(遼東總兵官) 등을 지내고, 달자(韃子)와 싸우다 전사했는데, 허봉(許篈)의 《조천기(朝天記)》에 그 전말이 자세함.
1524~1563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명원(明遠)@강제 - 강제(姜霽)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인의(引儀) 강응청(姜應淸)의 아들로, 영덕 현감(盈德縣監)ㆍ이조 정랑(吏曹正郞)을 지냄.
1526~158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관인>문신
-
명원(明遠)@이수 - 이수(李睟)
조선 후기의 종친. 덕양군(德陽君) 이기(李歧)의 손자이며 풍산군(豊山君) 이종린(李宗麟)의 둘째 아들. 임진왜란 이후 《선원록(璿源錄)》의 보수에 참여하고, 1617년(광해군 9)에 종친을 모아 이이첨(李爾瞻)의 처벌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렸으며,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인조(仁祖)를 호종함.
1569~164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명원(明遠) - 이광(李光)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평창(平昌). 이계남(李季男)의 아들로, 연산군 때 불재(佛齋)를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정거(停擧) 처분을 받았으며, 승문원 부정자(承文院副正字) 등을 역임하였으나 젊은 나이에 요절함.
1474~149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평창 , 인명>관인>문신
-
명원(明遠)@윤명원 - 윤명원(尹明遠)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참판 윤비경(尹飛卿)의 아들이며, 포암(圃巖) 윤봉조(尹鳳朝)의 아버지로, 직장(直長)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명원(明遠)@포조 - 포조(鮑照)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시인. 악부(樂府)에 뛰어났으며, 칠언시(七言詩)의 기초를 닦아 당(唐) 나라 시인에게 큰 영향을 끼침. 시문에서 흔히 사영운(謝靈運)ㆍ안연지(顔延之)와 함께 병칭되며, 〈의행로난(擬行路難)〉 등 명작을 남김.
414?~46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명원군왕(溟源郡王) - 김주원(金周元)
통일신라 때의 왕족. 혜공왕(惠恭王) 때 이찬(伊飡)으로 시중(侍中)을 지내는 등 강성하였으나, 선덕왕(宣德王) 사후에 왕위계승전에서 패배하여 강릉으로 물러나 세력을 이루고 강릉김씨(江陵金氏)의 시조가 됨.
한국>통일신라 , 강원도>강릉 , 인명>왕실>종친
-
명원루(明遠樓) - 조양각(朝陽閣)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부사(府使) 이용(李容)이 경상도 영천(永川)에 지은 누각.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소실되었다가 인조(仁祖) 때 중수됨. 내부에 서거정(徐居正)의 시 등이 남아 있음.
136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유적>건물>누정
-
명원부원군(溟源府院君) - 김광을(金光乙)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찬화공신(贊化功臣)에 책록되어 명원부원군(溟源府院君)으로 봉해졌으며, 벼슬은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이르렀음.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동성로(東城老) - 강희이(姜希夷)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인. 나식(羅湜)과 시문(詩文)으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문인
-
동성이씨(東城李氏) - 사천이씨(泗川李氏)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국자진사(國子進士)로 송악 군수(松岳郡守)를 지낸 이식(李軾)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사천 , 인명>집단>성씨
-
동소문(東小門) - 혜화문(惠化門)
조선 태조(太祖) 때 건립한 사소문(四小門)의 하나. 숙정문(肅靖門)과 흥인지문(興人之門) 사이에 있던 동북간문(東北間門). 양주(楊州)ㆍ포천(抱川) 방면으로 통하는 중요한 출입구 구실을 함.
139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시설>성,진,책
-
동수(童壽) - 구마라습(鳩摩羅什)
인도의 승려. 7세에 출가하여 소승교(小乘敎)와 대승교(大乘敎), 율(律)을 차례로 배운 뒤 출생지인 구자국(龜玆國)에서 포교활동을 함.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등 많은 경전을 번역하고, 한국ㆍ중국ㆍ일본에서 삼론종(三論宗)의 조사(祖師)로 칭함.
344~413 중국>남북조시대 , 기타지역 , 인명>종교인>승려
-
동숙(同叔)@사미원 - 사미원(史彌遠)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재상. 재상 한탁주(韓侂冑)를 죽이고 양후(楊后)와 결탁하여 권력을 잡았으며, 영종이 붕(崩)하자 조서를 위조하여 황태자 굉(竑)을 폐하고 이종을 세워 10년간 정권을 장악함.
1164~123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