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명원(明遠)@포조 - 포조(鮑照)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시인. 악부(樂府)에 뛰어났으며, 칠언시(七言詩)의 기초를 닦아 당(唐) 나라 시인에게 큰 영향을 끼침. 시문에서 흔히 사영운(謝靈運)ㆍ안연지(顔延之)와 함께 병칭되며, 〈의행로난(擬行路難)〉 등 명작을 남김.
414?~46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명원군왕(溟源郡王) - 김주원(金周元)
통일신라 때의 왕족. 혜공왕(惠恭王) 때 이찬(伊飡)으로 시중(侍中)을 지내는 등 강성하였으나, 선덕왕(宣德王) 사후에 왕위계승전에서 패배하여 강릉으로 물러나 세력을 이루고 강릉김씨(江陵金氏)의 시조가 됨.
한국>통일신라 , 강원도>강릉 , 인명>왕실>종친
-
명원루(明遠樓) - 조양각(朝陽閣)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부사(府使) 이용(李容)이 경상도 영천(永川)에 지은 누각.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소실되었다가 인조(仁祖) 때 중수됨. 내부에 서거정(徐居正)의 시 등이 남아 있음.
1363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유적>건물>누정
-
명원부원군(溟源府院君) - 김광을(金光乙)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 찬화공신(贊化功臣)에 책록되어 명원부원군(溟源府院君)으로 봉해졌으며, 벼슬은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이르렀음.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동성로(東城老) - 강희이(姜希夷)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인. 나식(羅湜)과 시문(詩文)으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문인
-
동성이씨(東城李氏) - 사천이씨(泗川李氏)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국자진사(國子進士)로 송악 군수(松岳郡守)를 지낸 이식(李軾)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사천 , 인명>집단>성씨
-
동소문(東小門) - 혜화문(惠化門)
조선 태조(太祖) 때 건립한 사소문(四小門)의 하나. 숙정문(肅靖門)과 흥인지문(興人之門) 사이에 있던 동북간문(東北間門). 양주(楊州)ㆍ포천(抱川) 방면으로 통하는 중요한 출입구 구실을 함.
139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시설>성,진,책
-
동수(童壽) - 구마라습(鳩摩羅什)
인도의 승려. 7세에 출가하여 소승교(小乘敎)와 대승교(大乘敎), 율(律)을 차례로 배운 뒤 출생지인 구자국(龜玆國)에서 포교활동을 함.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등 많은 경전을 번역하고, 한국ㆍ중국ㆍ일본에서 삼론종(三論宗)의 조사(祖師)로 칭함.
344~413 중국>남북조시대 , 기타지역 , 인명>종교인>승려
-
동숙(同叔)@사미원 - 사미원(史彌遠)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재상. 재상 한탁주(韓侂冑)를 죽이고 양후(楊后)와 결탁하여 권력을 잡았으며, 영종이 붕(崩)하자 조서를 위조하여 황태자 굉(竑)을 폐하고 이종을 세워 10년간 정권을 장악함.
1164~123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동숙(同叔)@안수 - 안수(晏殊)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재상ㆍ문인. 범중엄(范仲淹)의 스승이자 부필(富弼)의 장인으로, 재상을 지내고 한기(韓琦)ㆍ구양수(歐陽修) 등을 추천함. 시문(詩文)에 뛰어나 고아한 풍격의 사(詞)를 지음.
991~105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동숙(同叔) - 박종량(朴宗亮)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고령(高靈). 박은(朴誾)의 아들이며, 참판(參判)을 지낸 박공량(朴公亮)의 아우임.
150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유학
-
동순빙리(冬笋冰鯉) - 설순빙리(雪筍冰鯉)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맹종(孟宗)이 눈 속에서 죽순(竹筍)을 구한 일과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왕상(王祥)이 얼음을 녹여 잉어를 얻은 일에서 나온 고사성어로, 지극한 효성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동아(東阿) - 조식(曹植)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시인. 위 나라의 초대 황제 문제(文帝) 조비(曹丕)의 아우. 오언시(五言詩)를 서정시로 완성하여 문학사상에 많은 영향을 끼침.
192~23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왕실>제후
-
동아공(東阿公) - 우신행(于愼行)
중국 명(明) 나라 목종(穆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 상중(喪中)에 출사한 장거정(張居正)의 행위를 논하다가 미움을 받아 낙향하고, 후에 복직하여 태자소보(太子少保) 등을 지냄. 풍기(馮琦)와 함께 문학(文學)으로 명성을 떨침.
1545~1607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동악(東岳)@노선경 - 노선경(盧善卿)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도염서 승(都染署丞) 노갑생(盧甲生)의 아들. 함양 군수(咸陽郡守)ㆍ공조 정랑(工曹正郞) 등을 지내고, 만년에는 학문 연구와 후진 교육에 전념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동악(東岳)@태산 - 태산(泰山)
중국 산동성(山東省) 태안(泰安) 북쪽에 있는 산 이름. 오악(五岳)의 하나로서 위치상 동악(東岳)에 해당하며, 중국 역대 왕조의 국가적 행사인 봉선(封禪)이 열리던 곳임.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동악(東岳) - 이안눌(李安訥)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덕수(德水). 중종 때 좌의정을 지낸 이행(李荇)의 증손이며, 택당(澤堂) 이식(李植)의 종숙(從叔). 당시(唐詩)에 능하여 이태백에 비유되었고 글씨도 잘 썼음.
1571~16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동악선생(東岳先生) - 노선경(盧善卿)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도염서 승(都染署丞) 노갑생(盧甲生)의 아들. 함양 군수(咸陽郡守)ㆍ공조 정랑(工曹正郞) 등을 지내고, 만년에는 학문 연구와 후진 교육에 전념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동악선생속집(東岳先生續集) - 동악집(東岳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 문신ㆍ문인인 이안눌(李安訥)의 시문집. 원집 26권과 속집으로 구성됨. 1639년(인조 17) 재종질인 이식(李植)과 조카 이침(李梣)이 수집, 편차하여 전주(全州)에서 간행함.
163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동악선생집(東岳先生集) - 동악집(東岳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 문신ㆍ문인인 이안눌(李安訥)의 시문집. 원집 26권과 속집으로 구성됨. 1639년(인조 17) 재종질인 이식(李植)과 조카 이침(李梣)이 수집, 편차하여 전주(全州)에서 간행함.
163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