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동안거사(動安居士) - 이승휴(李承休)@고려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가리이씨(加利李氏)의 시조. 충렬왕 때 국왕의 실정과 국왕 측근의 폐단을 간언하다가 파직된 후 삼척(三陟) 구동(龜洞)의 용안당(容安堂)에 은거하면서 《제왕운기(帝王韻紀)》ㆍ《내전록(內典錄)》 등을 저술함.
1224~1300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동암(恫菴) - 한윤명(韓胤明)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일재(一齋) 이항(李恒)과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이(李珥)ㆍ박광전(朴光前)과 교유하고, 선조(宣祖)가 세자로 있을 때 사부(師傅)를 지냄.
1526~15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동암(東巖)@노경린 - 노경린(盧慶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곡산(谷山). 유학을 숭상하여 성주 목사((星州牧使)로 있을 때 천곡서원(川谷書院)을 세움
1516~156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곡산 , 인명>관인>문신
-
동암(東巖)@권성오 - 권성오(權省吾)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경기전 참봉(慶基殿參奉) 권호신(權虎臣)의 아들로, 1612년(광해군 4)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벼슬이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에 이름. 저서로 《동암집(東巖集)》이 있음.
1587~167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동암(東巖)@이영도 - 이영도(李詠道)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손자로, 임진왜란 때 의병을 모집하여 왜군과 싸웠고, 전재민(戰災民) 구호와 군량미를 조달하여 명관으로 이름을 떨쳤으며, 현풍 현감(玄風縣監) 때 뛰어난 치적으로 표리(表裏)를 하사받음.
1559~163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동암(東巖) - 이발(李潑)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이중호(李仲虎)의 아들. 동인(東人)의 거두로서 정철(鄭澈)의 처벌문제에 강경파를 이끌어 북인(北人)의 수령이 되었으며, 정여립(鄭汝立)의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장살(杖殺)당함.
1544~158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동암(東菴) - 이진(李瑱)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의 아버지. 정당문학(政堂文學)ㆍ검교첨의정승(檢校僉議政丞) 등을 지내고, 제자백가(諸子百家)를 섭렵하고 시문(詩文)에 뛰어남.
1244~1321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동암수(東巖叟) - 이천(李仟)
고려 후기의 무신. 본관은 전의(全義). 보승 별장(保勝別將) 이순(李順)의 아들로, 응양군 대장군(鷹揚軍大將軍)ㆍ문하평장사(門下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무신
-
동애(東厓) - 허자(許磁)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허원(許瑗)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이기(李芑) 등과 함께 대윤(大尹)을 제거하는 데 가담하여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되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496~155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동애(桐崖) - 안중묵(安重默)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박광전(朴光前)ㆍ정개청(鄭介淸)에게 수학하고, 정구(鄭逑)의 효렴(孝廉) 천거로 소격서 참봉(昭格署參奉)ㆍ의영고 직장(義盈庫直長) 등을 지냄.
1556~160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죽산 , 인명>관인>문신
-
동야(東野) - 맹교(孟郊)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한유(韓愈)와 교류하였으며, 북송(北宋)의 강서파(江西派)에 영향을 줌.
751~814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동야(桐爺) - 정온(鄭蘊)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영창대군(永昌大君)의 처형이 부당하다고 주장하다가 유배됨. 병자호란 때 김상헌(金尙憲)과 함께 척화(斥和)를 주장하다가 사직한 후 덕유산(德裕山)에 들어가 은거함.
1569~164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거창ㅣ경상도>안음 , 인명>관인>문신
-
동양(東楊) - 양영(楊榮)
중국 명(明) 나라 혜제(惠帝)~영종(英宗) 때의 문신. 성조(成祖)의 북정(北征)에 여러 차례 참여하고, 네 황제를 섬기면서 정사를 잘 보좌하여 양우(楊寓)ㆍ양부(楊溥)와 함께 ‘삼양(三楊)’이라 일컬어짐.
1371~1440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동양(東陽)@허겸 - 허겸(許謙)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김이상(金履祥)의 제자로, 사서(四書) 등을 깊이 연구하여 주소(註疏)를 내었으며, 《모시명물초(毛詩名物鈔)》 등의 저서가 있음.
1270~1337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동양(東陽)@신익성 - 신익성(申翊聖)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선조의 딸인 정숙옹주(貞淑翁主)의 남편으로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됨. 병자호란(丙子胡亂) 때의 척화오신(斥和五臣) 중 한 사람.
1588~164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동양(東陽) - 신상(申鏛)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연산군일기》 편찬에 참여함. 사림파 학자들의 등용에 힘썼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그들의 구명에 노력하였음.
1480~153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동양(東陽)@이동양 - 이동양(李東陽)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무종(武宗) 때의 문신ㆍ문인. 40여 년 동안 조정의 요직을 두루 지내고, 성당(盛唐)의 시풍(詩風)을 추구하여 당시(唐詩) 부흥 운동에 선구적인 역할을 함.
1447~1516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동양도위(東陽都尉) - 신익성(申翊聖)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선조의 딸인 정숙옹주(貞淑翁主)의 남편으로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됨. 병자호란(丙子胡亂) 때의 척화오신(斥和五臣) 중 한 사람.
1588~164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동양신씨(東陽申氏) - 평산신씨(平山申氏)
고려의 개국공신(開國功臣)으로 태사(太師)에 추증되고 태조(太祖)의 묘정(廟庭)에 배향된 신숭겸(申崇謙)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황해도>평산 , 인명>집단>성씨
-
동양위(東陽尉) - 신익성(申翊聖)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선조의 딸인 정숙옹주(貞淑翁主)의 남편으로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됨. 병자호란(丙子胡亂) 때의 척화오신(斥和五臣) 중 한 사람.
1588~164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