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동원(桐源) - 호영(胡泳)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주희로부터 학문이 견실하고 굳건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저서에 《논어연설(論語衍說)》이 있으나, 세상에 전하지 않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동원(桐源)@서명선 - 서명선(徐命善)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이조 참판(吏曹參判) 때 세손(世孫)의 대리청정을 반대하는 홍인한(洪麟漢) 일파를 탄핵하여 정조의 즉위에 공헌하였으며,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1728~179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동원(洞源) - 호영(胡泳)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주희로부터 학문이 견실하고 굳건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저서에 《논어연설(論語衍說)》이 있으나, 세상에 전하지 않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동원(銅源) - 동천(銅川)
중국 섬서성(陝西省) 황토고원(黃土高原)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낙양(洛陽)에서 장안(長安)으로 들어가는 교통의 요지.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동원공(東園公) - 당병(唐秉)
중국 진(秦) 말~한(漢) 초의 은자. 진(秦) 말의 혼란을 피하여 은거하였다가 신선이 되었다는 상산사호(商山四皓) 중의 한 사람.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동원군(東原君) - 함부림(咸傅霖)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으로, 검교 중추원학사(檢校中樞院學士) 함승경(咸承慶)의 아들.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1360~141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동원군(東原君)@최연 - 최연(崔演)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최세건(崔世楗)의 아들.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소윤(小尹)에 가담하여 위사공신(衛社功臣)에 책록되고, 동원군(東原君)에 봉해짐. 《무정보감(武定寶鑑)》을 편찬하고, 시문(詩文)에 능함.
1503~1549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동원선생(洞源先生) - 호영(胡泳)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로, 주희로부터 학문이 견실하고 굳건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저서에 《논어연설(論語衍說)》이 있으나, 세상에 전하지 않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동원선생문집(東園先生文集) - 동원집(東園集)
조선 선조(宣祖) 때 문신인 김귀영(金貴榮)의 문집. 8세손인 김우현(金禹鉉)이 저자의 시문을 정리하고, 1934년 12세손 김교희(金敎熙)가 편찬하여 1935년에 간행함. 3책.
1935 한국>근대 , 문헌>서명
-
동원자(東園子) - 정대인(鄭大人)
중국 명(明) 효종(孝宗) 때의 문신. 안찰제조 학교부사(按察提調學校副使)를 지냄. 《표해록(漂海錄)》의 저자 최보(崔溥)가 항주(杭州)에서 만난 인물.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동원최씨(東原崔氏) - 강릉최씨(江陵崔氏)
고려 전기 경흥부원군(慶興府院君)에 봉해진 최필달(崔必達) 계통과, 고려 태조(太祖)의 부마(駙馬)인 최흔봉(崔欣奉) 계통과, 고려 충숙왕(忠肅王)의 부마인 최문한(崔文漢) 계통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집단>성씨
-
동유록(東遊錄) - 관동록(關東錄)@홍인우
조선 전기의 학자인 홍인우(洪仁祐)가 관동(關東) 지방을 유람하고 쓴 일기체 기행문 형식의 책. 1책. 목판본. 이황(李滉)의 발문(跋文)이 있음.
1553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동유시고(東遊詩稿) - 관동록(關東錄)@홍인우
조선 전기의 학자인 홍인우(洪仁祐)가 관동(關東) 지방을 유람하고 쓴 일기체 기행문 형식의 책. 1책. 목판본. 이황(李滉)의 발문(跋文)이 있음.
1553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동은(峒隱) - 이의건(李義健)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인. 1564년(명종 19)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하고 이항복(李恒福)의 추천으로 공조 좌랑(工曹佐郞)이 되었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명현(名賢)들과 교유함. 저서로 《동은집(峒隱集)》이 있고, 광주(廣州) 수곡서원(秀谷書院)ㆍ영평(永平) 옥병서원(玉屛書院)에 배향됨.
1533~162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문인
-
동은(桐隱) - 이재홍(李在弘)
고려 후기의 은자. 정몽주(鄭夢周)ㆍ이색(李穡)ㆍ김석주(李錫周)ㆍ김대윤(金大潤) 등과 함께 충의(忠義)로 결의를 맺은 ‘팔은(八隱)’ 중의 한 사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은자
-
동은(洞隱) - 고경명(高敬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의병장. 본관은 장흥(長興)으로, 대사간 고맹영(高孟英)의 아들. 동래 부사(東萊府使) 등을 지내다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光州)에서 모집한 의병 육천여 명을 이끌고 금산(錦山) 싸움에서 왜군과 싸우다가 전사함.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동음(冬音) - 강진(康津)
전라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청자의 주요 생산지였으며,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이 19년간 유배생활을 했던 곳으로 잘 알려짐.
전라도>강진 , 지명>행정지명
-
동음(洞陰) - 영평(永平)
경기도 북동부에 있던 고을 이름. 현재는 경기도 포천시(抱川市)에 속함.
경기도>영평 , 지명>행정지명
-
동음수(洞陰守) - 이성손(李盛孫)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손자이며, 송림군(松林君) 이효창(李孝昌)의 맏아들로, 일찍 죽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동음홀(冬音忽) - 연안(延安)
황해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1413년(태종 13) 도호부를 설치하고 경기도에서 황해도로 귀속됨.
황해도>연안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