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동천(東泉)@석성 - 석성(石星)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병부 상서(兵部尙書)로서 임진왜란 때 신점(申點)의 간청으로 원군을 조선에 파병하였고, 심유경(沈惟敬)과 화의를 적극 지지했다가 화의의 실패로 체포되어 옥사함.
?~159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동천(東泉) - 김식(金湜)@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현량과(賢良科)에 장원 급제하고, 기묘팔현(己卯八賢)의 한 사람으로 조광조(趙光祖)와 함께 개혁정치를 펼쳤으나, 기묘사화와 신사무옥에 연루되어 고초를 겪다가 자결함. 선조(宣祖) 때 영의정에 추증됨.
1482~152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동천군(東川君) - 신덕하(申德夏)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세종(世宗) 때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문희공(文僖公) 신개(申槩)의 10대손. 황해 병사(黃海兵使)로 재임 중 죽음.
?~1749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무신
-
동청(冬靑) - 이연손(李延孫)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승(李昇)의 아들이며, 윤번(尹璠)의 사위. 세조가 즉위하자 상호군(上護軍)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고, 공조 참판(工曹參判) 등을 지냄.
?~14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무신
-
동초산(東樵山) - 나부산(羅浮山)
중국 광동성(廣東省) 혜주(惠州)에 있는 산 이름. 중국 10대 명산(名山)의 하나로 도교(道敎)의 명산으로 일컬어짐.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동촌(東村)@황여헌 - 황여헌(黃汝獻)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장수(長水). 영의정 황희(黃喜)의 현손으로, 김해 부사(金海府使)를 지낸 황관(黃瓘)의 아들이며 황맹현(黃孟獻)의 아우. 문장과 글씨에 능하며, 〈죽지사(竹枝詞)〉라는 작품은 명(明) 나라에서도 격찬을 받음.
14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동촌(東村) - 홍인경(洪仁慶)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덕윤(洪德潤)의 아들로, 1553년(명종 8) 친시(親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부제학(副提學) 등을 지냄.
152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동촌(桐村) - 김린(金麟)
조선 전기의 문신.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을 지내다가 1458년(세조 4)에 은퇴하면서 장흥(長興)에 가정사(假亭舍)를 건립하였는데, 선조(宣祖) 때 후손 김성장(金成章)이 중건하고 ‘동백정(冬柏亭)’이라고 개명함.
1392~147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동춘(同春) - 송준길(宋浚吉)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김장생(金長生)의 문인(門人)으로 기해예송(己亥禮訟) 때 기년제(朞年祭)를 주장함. 송시열(宋時烈)과 동종(同宗)이면서 학문 경향을 같이한 성리학자로 이이(李珥)의 학설을 지지함.
1606~167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동춘당(同春堂) - 송준길(宋浚吉)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김장생(金長生)의 문인(門人)으로 기해예송(己亥禮訟) 때 기년제(朞年祭)를 주장함. 송시열(宋時烈)과 동종(同宗)이면서 학문 경향을 같이한 성리학자로 이이(李珥)의 학설을 지지함.
1606~167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동춘당선생문집(同春堂先生文集) - 동춘당집(同春堂集)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인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의 문집. 목판본. 1682년(숙종 8)에 왕명으로 교서관(校書館)에서 간행을 준비하고, 송시열(宋時烈)이 교정하여 1687년(숙종 13)경에 간행함. 목록 1권, 원집 24권을 합쳐 13책.
168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동춘별집(同春別集) - 동춘당집(同春堂集)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인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의 문집. 목판본. 1682년(숙종 8)에 왕명으로 교서관(校書館)에서 간행을 준비하고, 송시열(宋時烈)이 교정하여 1687년(숙종 13)경에 간행함. 목록 1권, 원집 24권을 합쳐 13책.
168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동태자(東太子) - 유소(劉劭)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태자. 문제(文帝)의 맏아들로, 많은 과실을 저지르고서 무고(巫蠱)로 몰아 모면하려다 폐위될 위기에 처하자 문제를 시해하고 스스로 제위(帝位)에 올랐으나, 동생 효무제(孝武帝)에게 죽임을 당함.
424?~45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동토(童土) - 윤순거(尹舜擧)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성혼(成渾)의 외손자이자 윤황(尹煌)의 아들로, 백부인 윤수(尹燧)에게 출계함. 성문준(成文濬)ㆍ강항(姜沆)ㆍ김장생(金長生)에게 수학하였고,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상의원 정(尙衣院正) 등을 지냄.
1596~166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동파(東坡) - 소식(蘇軾)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문장에 능하여 〈적벽부(赤壁賦)〉 등 명작을 남김.
1037~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동파거사(東坡居士) - 소식(蘇軾)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철종(哲宗) 때의 문신ㆍ시인.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수차례 유배되었으며, 문장에 능하여 〈적벽부(赤壁賦)〉 등 명작을 남김.
1037~110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동파칠집(東坡七集) - 동파전집(東坡全集)
중국 북송(北宋)의 정치가이며 문학가인 소식(蘇軾)의 시문집. 《동파집(東坡集)》40권과 《동파후집(東坡後集)》20권에 《주의(奏議)》ㆍ《내제집(內制集)》ㆍ《외제집(外制集)》ㆍ《응소집(應詔集)》ㆍ《속집(續集)》을 합친 것을 이름. 115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동평(東平)@유운 - 유운(劉雲)
중국 전한(前漢) 애제(哀帝) 때의 제후. 애제 즉위 초에 모반(謀反)을 일으키려 한다는 식부궁(息夫躬)의 무고(誣告)로 치죄(治罪)를 받게 되자 자살하였으며, 뒤에 기시(棄市)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동평(東平)@소평 - 소평(邵平)
중국 진(秦) 나라의 제후. 진 나라의 몰락한 귀족 출신으로 한(漢) 나라의 승상인 소하(蕭何)와 친교가 깊었지만 안분지족(安分知足)의 생활을 즐김.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동평(東平)@유창 - 유창(劉蒼)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의 아들. 박학다재(博學多才)하여 공경(公卿)들과 주요 제도를 의정(議定)하였으며, 명제(明帝)의 두터운 신임을 받음.
?~83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