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동호(東湖)@동호문답 - 동호문답(東湖問答)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이(李珥)가 지은 글. 1569(선조 2) 이이가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로 독서당(讀書堂)에서 사가독서(賜暇讀書)하면서 쓴 것으로, 자신의 정치관(政治觀)을 문답식으로 서술하여 선조에게 올림.
15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작품명
-
동호(東湖)@권평숙 - 권평숙(權平叔)
조선 전기의 유학. 권호문(權好文)과 시문(詩文)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동호(東湖) - 주문보(周文俌)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주세붕(周世鵬)의 아버지로, 세거하던 합천(陜川)에서 칠원(漆原)으로 옮겨 가 살았으며, 향인(鄕人)의 존경을 받았다 함.
1467~153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관인>문신
-
동호(銅虎) - 조동호(趙銅虎)
조선 예종(睿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생육신(生六臣) 조려(趙旅)의 아들이자 집의(執義) 조참(趙參)ㆍ상주 목사(尙州牧使) 조적(趙績)ㆍ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조순(趙舜)의 아버지로, 진산 군수(珍山郡守) 등을 지냄.
1441~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동호독서당(東湖讀書堂) - 독서당(讀書堂)
조선 성종(成宗) 때 국가의 중요한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 세운 전문 독서연구 기구. 1426년(세종 8) 문장이 뛰어난 집현전(集賢殿) 관리에게 휴가를 주어 독서하게 한 사가독서제(賜暇讀書制)로부터 비롯되어, 1492년(성종 23) 서거정(徐居正)의 주청으로 상설국가기구로 설치됨.
149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법제>관청
-
동호선생(東湖先生) - 왕우(王遇)
중국 송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요덕명(廖德明)ㆍ황간(黃榦) 등과 교유함. 우사 낭중(右司郞中) 등을 지냈으며, 저서로 《논맹강의(論孟講義)》 등을 남김.
1141~121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동회(東淮) - 신익성(申翊聖)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선조의 딸인 정숙옹주(貞淑翁主)의 남편으로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됨. 병자호란(丙子胡亂) 때의 척화오신(斥和五臣) 중 한 사람.
1588~164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동회거사(東淮居士) - 신익성(申翊聖)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선조의 딸인 정숙옹주(貞淑翁主)의 남편으로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됨. 병자호란(丙子胡亂) 때의 척화오신(斥和五臣) 중 한 사람.
1588~164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동흥부원군(東興府院君) - 권상(權常)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전생서 참봉(典牲署參奉) 권진(權振)의 아들로, 1528년(중종 23)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여 선공감 정(繕工監正)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냄. 후에 영의정(領議政) 동흥부원군(東興府院君)에 추증됨.
1508~158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두(㞳) - 한두(韓㞳)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세환(韓世桓)의 아들로,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치고 명종 때 동지사(冬至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 등을 역임함.
1501~155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두(㞳)@최두 - 최두(崔㞳)
조선 전기의 유학.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두(斗) - 이두(李斗)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사천(泗川). 1528년(중종 23)에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두(枓) - 정두(鄭枓)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진사 정언보(鄭彦輔)의 아들이며, 지헌(芝軒) 정사성(鄭士誠)의 아버지로, 사섬시 첨정(司贍寺僉正) 등을 지냄.
1508~157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두^규(斗^奎) - 규^두(奎^斗)
이십팔수(二十八宿) 중 열다섯째 별자리인 규성(奎星)과 여덟째 별자리인 두성(斗星)을 함께 부르는 말. 규성은 서쪽, 두성은 북쪽에 위치함.
자연물>기타자연물
-
두^기(斗^箕) - 기^두(箕^斗)
이십팔수(二十八宿) 중 기성(箕星)과 두성(斗星)을 함께 부르는 말. 각각 동방과 북방에 자리한 별로, 두 별 사이에 은하(銀河)가 가로놓여 있어 흔히 서로의 거리가 먼 것을 비유함.
자연물>기타자연물
-
두^이(杜^李) - 보^백(甫^白)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두보(杜甫)와 이백(李白)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을 대표하는 시인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두가(杜家)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두강(豆江) - 두만강(豆滿江)
백두산(白頭山)에서 발원하여 한반도 북동부 지역을 거쳐 동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긴 강.
함경도>회령ㅣ함경도>온성ㅣ함경도>경흥ㅣ함경도>경원 , 지명>자연지명
-
두경(斗卿) - 정두경(鄭斗卿)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온양(溫陽). 이항복(李恒福)의 문인으로, 홍문관 제학(弘文館提學)을 지내고 대제학(大提學)에 추증됨.
1597~167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두경(斗經) - 권두경(權斗經)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ㆍ학자. 권유(權濡)의 아들이며, 이현일(李玄逸)의 문인으로, 홍문관 부수찬(弘文館副修撰) 등을 지냄. 시와 문장에 뛰어나고, 인물의 출처(出處)와 정치의 득실(得失) 등 다방면에 안목이 뛰어남.
1654~17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