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남회(南恢)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령(宜寧).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낸 남효의(南孝義)의 부친이며, 추강(秋江) 남효온(南孝溫)의 숙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남효순(南孝純)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1510년(중종 5)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부사(府使)를 지냈음. 추강(秋江) 남효온(南孝溫)의 종제(從弟).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남효온(南孝溫)
조선 성종(成宗) 때의 학자.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 등과 함께 수학함.
1454~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학자
-
남효원(南孝元)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의령(宜寧). 병조 참의 남염(南恬)의 아들이며, 청천부원군(淸川府院君) 한백륜(韓伯倫)의 사위로, 정평 부사(定平府使)를 거쳐 충청도 수군절도사(忠淸道水軍節度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무신
-
남효의(南孝義)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1511년(중종 6) 문과에 급제하여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역임함. 추강(秋江) 남효온(南孝溫)의 종제(從弟).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
-
남휘(南暉)
조선 태종(太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태종의 넷째 딸 정선공주(貞善公主)의 부마(駙馬)가 되어 의산군(宜山君)에 봉해짐.
?~14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남흔(南忻)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의령군(宜寧君) 남륜(南倫)의 아들이며, 의천위(宜川尉) 남섭원(南燮元)의 아버지로, 여러 관직을 거친 후에 우부승지(右副承旨) 등을 지냄.
1451~149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납갑법(納甲法)
중국 전한(前漢)의 경방(京房)과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우번(虞翻)이 《주역(周易)》의 이치를 해설한 역법(曆法). 팔괘(八卦)를 십간(十干)ㆍ오행(五行)ㆍ오방(五方)과 서로 배합하는 방법임.
중국>삼국시대ㅣ중국>전한 , 중국 , 사상>이론>학설
-
납합출(納哈出)
중국 원(元) 말~명(明) 초의 무장(武將).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 동북면(東北面) 쌍성(雙城)을 침입했으나, 동북면 병마사(東北面兵馬使) 이성계(李成桂)에게 격퇴당함.
?~1388 중국>명ㅣ중국>원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납호(納湖)
중국 호남성(湖南省) 장사(長沙)에 있는 호수 이름. 장식(張栻)이 호수 가에 살면서 학문을 연마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낭잠(郞潛)
낭관(郎官)의 자리에 침체됨. 전한(前漢)의 안사(顔駟)가 문제(文帝)ㆍ경제(景帝)ㆍ무제(武帝) 등 세 임금을 섬기도록 승진하지 못하고 평생 낭서(郞署)에 머물렀던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 관운(官運)이 트이지 않는 불운을 뜻함.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낭천(狼川)
강원도 화천(華川)에 있는 옛 고을 이름.
강원도>낭천 , 지명>행정지명
-
낭풍전(閬風巓)
중국 전설의 산인 곤륜산(崑崙山) 꼭대기에 있는 봉우리 이름. 선녀(仙女)인 서왕모(西王母)가 거주했던 곳이라고 전함.
중국 , 지명>기타지명
-
내금위(內禁衛)
조선시대 임금의 호위와 궁중의 엄호를 맡은 군대 조직. 1407년(태종 7)에 설치되었으며, 장번군(長番軍)으로서 엄격한 시험을 통해 선발됨. 주로 양반의 자제로 편제되었으며, 다른 병종보다 후대를 받음.
140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법제>관직
-
내례부인(內禮夫人)
신라 제8대 왕인 아달라이사금(阿達羅尼師今)의 비(妃). 제6대 왕인 지마이사금(祗摩尼師今)의 딸로, 박씨(朴氏)이며, 아달라이사금과는 오촌 사이임.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공주ㅣ인명>왕실>왕비
-
내산서원(內山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전라도 영광(靈光)에 세운 서원. 처음엔 용계사(龍溪祠)라는 이름으로 창건하였고, 1868년(고종 5)에 내산서원(內山書院)으로 개칭함. 강항(姜沆)과 윤순거(尹舜擧)를 배향함.
163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광 , 유적>건물>서원,향교
-
내암집(來庵集)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인홍(鄭仁弘)의 시문집. 15권 7책. 목활자본. 1908년(순종 2) 저자의 신원복작(伸寃復爵)이 행해지자 후손들이 유문의 수집에 착수하여, 1911년 간행함.
1911 한국>근대 , 문헌>서명
-
내원사(內院寺)
조선시대 경상도 합천(陜川) 해인사(海印寺) 북쪽 5리 지점에 있던 사찰. 사찰 내에 조현당(釣賢堂)ㆍ나월헌(蘿月軒)ㆍ득검지(得劍池)가 있었음.
한국>조선시대 , 경상도>합천 , 유적>건물>사찰
-
내전록(內典錄)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인 이승휴(李承休)가 지은 불교(佛敎) 관계의 저서. 파직 후 삼척(三陟) 구동(龜洞)의 용안당(容安堂)에 은거할 때 지은 것이라 하나, 현재는 전하지 않음.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삼척 , 문헌>서명
-
내훈(內訓)
조선 성종(成宗) 때 소혜왕후(昭惠王后)가 지은 여성 수신서(修身書). 3권 3책. 소혜왕후의 서문(序文)과 상의조씨(尙儀曺氏)의 발문(跋文)이 있음.
147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