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두(㞳) - 한두(韓㞳)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한세환(韓世桓)의 아들로,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치고 명종 때 동지사(冬至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 등을 역임함.
1501~155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두(㞳)@최두 - 최두(崔㞳)
조선 전기의 유학.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두(斗) - 이두(李斗)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사천(泗川). 1528년(중종 23)에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두(枓) - 정두(鄭枓)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진사 정언보(鄭彦輔)의 아들이며, 지헌(芝軒) 정사성(鄭士誠)의 아버지로, 사섬시 첨정(司贍寺僉正) 등을 지냄.
1508~157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두^규(斗^奎) - 규^두(奎^斗)
이십팔수(二十八宿) 중 열다섯째 별자리인 규성(奎星)과 여덟째 별자리인 두성(斗星)을 함께 부르는 말. 규성은 서쪽, 두성은 북쪽에 위치함.
자연물>기타자연물
-
두^기(斗^箕) - 기^두(箕^斗)
이십팔수(二十八宿) 중 기성(箕星)과 두성(斗星)을 함께 부르는 말. 각각 동방과 북방에 자리한 별로, 두 별 사이에 은하(銀河)가 가로놓여 있어 흔히 서로의 거리가 먼 것을 비유함.
자연물>기타자연물
-
두^이(杜^李) - 보^백(甫^白)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인 두보(杜甫)와 이백(李白)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을 대표하는 시인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두가(杜家)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두강(豆江) - 두만강(豆滿江)
백두산(白頭山)에서 발원하여 한반도 북동부 지역을 거쳐 동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긴 강.
함경도>회령ㅣ함경도>온성ㅣ함경도>경흥ㅣ함경도>경원 , 지명>자연지명
-
두경(斗卿) - 정두경(鄭斗卿)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온양(溫陽). 이항복(李恒福)의 문인으로, 홍문관 제학(弘文館提學)을 지내고 대제학(大提學)에 추증됨.
1597~167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두경(斗經) - 권두경(權斗經)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ㆍ학자. 권유(權濡)의 아들이며, 이현일(李玄逸)의 문인으로, 홍문관 부수찬(弘文館副修撰) 등을 지냄. 시와 문장에 뛰어나고, 인물의 출처(出處)와 정치의 득실(得失) 등 다방면에 안목이 뛰어남.
1654~17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두곡(杜谷) - 고응척(高應陟)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김범(金範)의 문인. 《대학(大學)》의 여러 편을 시조로 읊어 교훈시를 만드는 등 사상적 체계를 시(詩)ㆍ부(賦)ㆍ가(歌)ㆍ곡(曲) 등으로 표현함.
1531~160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두곡(杜谷)@홍우정 - 홍우정(洪宇定)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남양(南陽). 한성 서윤(漢城庶尹) 홍영(洪榮)의 아들로, 병자호란 때 태백산(太白山) 춘양(春陽)에 은거하여 홍석(洪錫)ㆍ정양(鄭瀁)ㆍ강흡(姜恰)ㆍ심장세(沈長世) 등과 함께 ‘태백오현(太白五賢)’으로 불림.
1593~165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학자
-
두곡(杜谷)@이권 - 이권(李勸)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부제학(副提學) 이해수(李海壽)의 아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이해수와 함께 선조를 의주(義州)까지 호종하고, 인조반정(仁祖反正) 이후 장악원 정(掌樂院正)ㆍ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555~163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두곡(豆谷) - 최선복(崔善復)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군사(郡事)를 지낸 최자해(崔自海)의 아들. 보덕(輔德)ㆍ부윤(府尹)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화순 , 인명>관인>문신
-
두곡선생문집(杜谷先生文集) - 두곡집(杜谷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고응척(高應陟)의 문집. 2권 1책. 필사본.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대부분 소실되고 그 나머지가 전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두공(㞳崆) - 김식(金湜)@조선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현량과(賢良科)에 장원 급제하고, 기묘팔현(己卯八賢)의 한 사람으로 조광조(趙光祖)와 함께 개혁정치를 펼쳤으나, 기묘사화와 신사무옥에 연루되어 고초를 겪다가 자결함. 선조(宣祖) 때 영의정에 추증됨.
1482~152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두공(杜公)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두공부(杜工部)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두굉(斗紘) - 권두굉(權斗紘)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유(權濡)의 아들이자, 창설재(蒼雪齋) 권두경(權斗經)의 아우이며, 병조 정랑(兵曹正郎)을 지낸 권만(權萬)의 아버지로,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등을 지냄.
1668~174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