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두류산인(頭流山人) - 성희(性熙)
조선 전기의 승려. 소세양(蘇世讓)의 《양곡집(陽谷集)》에 상원사(上院寺)에서 지리산(智異山)으로 돌아가는 그를 위해 지어 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두류산인(頭流山人)@인정 - 인정(印正)
조선 전기의 승려. 지리산에 주석하며 소세양(蘇世讓)과 교유하였으며, 《양곡집(陽谷集)》에 증시(贈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ㅣ전라도>구례 , 인명>종교인>승려
-
두류산인(頭流山人)@영지 - 영지(靈芝)
조선 전기의 승려. 소세양(蘇世讓)과 교유하여 《양곡집(陽谷集)》에 시권(詩卷)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두류유산록(頭流遊山錄) - 유두류록(遊頭流錄)@김종직
조선 성종(成宗) 때 김종직(金宗直)이 지리산(智異山)을 유람하고 지은 기행문(紀行文). 지리산에 관한 기행문 중에 가장 오래되고 상세한 글임.
1472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두릉(杜陵)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두릉소은(杜稜小隱) - 김륭(金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함창(咸昌).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 때 격문을 돌려 기병할 것을 호소함.
1549~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
-
두릉습유(杜陵拾遺)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두릉야로(杜陵野老)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두릉옹(杜陵翁)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두릉자(杜陵子)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두릉포의(杜陵布衣)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두릉현(杜陵賢)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두만(斗萬) - 이두만(李斗萬)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영천(永川).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 이승손(李承孫)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유학
-
두만(豆漫) - 두만강(豆滿江)
백두산(白頭山)에서 발원하여 한반도 북동부 지역을 거쳐 동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긴 강.
함경도>회령ㅣ함경도>온성ㅣ함경도>경흥ㅣ함경도>경원 , 지명>자연지명
-
두만(頭萬) - 두만강(豆滿江)
백두산(白頭山)에서 발원하여 한반도 북동부 지역을 거쳐 동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긴 강.
함경도>회령ㅣ함경도>온성ㅣ함경도>경흥ㅣ함경도>경원 , 지명>자연지명
-
두모(杜母) - 두시(杜詩)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문신. 횡포한 장군 소광(蕭光)을 격살(格殺)하고, 역적 양이(楊異) 등을 주벌함. 크게 선정을 베풂.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두모곡(豆毛谷) - 기곡면(錡谷面)
전라남도 담양(潭陽)에 있는 옛 고을 이름. 조선 전기의 문인(文人) 송순(宋純)의 고향.
전라도>담양 , 지명>행정지명
-
두문(斗文) - 권두문(權斗文)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포로가 되었다가 탈출하여 그때의 일을 《호구일록(虎口日錄)》으로 남김.
1543~161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두문동칠십이인(杜門洞七十二人) -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
조선 건국 후 출사(出仕)하지 않고 두문동(杜門洞)에 은거함으로써 고려 왕조에 대해 충절을 지킨 고려의 유신 72인.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집단>기타집단
-
두문동태학생칠십이인(杜門洞太學生七十二人) -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
조선 건국 후 출사(出仕)하지 않고 두문동(杜門洞)에 은거함으로써 고려 왕조에 대해 충절을 지킨 고려의 유신 72인.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집단>기타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