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두군(杜君) - 두겸(杜兼)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호주 자사(濠州刺史)ㆍ하남 윤(河南尹) 등을 역임하였는데, 두우(杜佑)의 보살핌을 받았음.
?~80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두남(斗南)@태두남 - 태두남(太斗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순(永順). 담론(談論)을 잘하고 시문(詩文)에 뛰어났으며, 종부시 정(宗簿寺正) 등을 지냈으나, 김안로(金安老)의 미움을 사 성주 목사(星州牧使)로 좌천됨.
1486~153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두남(斗南) - 오인걸(吳人傑)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이며 주역(周易)에 밝아 《역도설(易圖說)》을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두년(斗年) - 성두년(成斗年)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성여신(成汝信)의 아버지로, 효성과 우애로 널리 알려짐. 추천으로 경기전 참봉(慶基殿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으며,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에 증직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두란(杜蘭) - 목련(木蓮)
목련과(木蓮科)의 낙엽교목(落葉喬木). 꽃눈이 붓을 닮아서 목필(木筆)이라고도 하고, 꽃봉오리가 피려고 할 때 끝이 북녘을 향한다고 해서 북향화라고 함. 꽃이 아름다워 《양화소록(養花小錄)》의 〈화목구등품제(花木九等品第)〉에서는 7등에 속해 있음.
자연물>식물
-
두란첩목아(豆蘭帖木兒) - 이지란(李之蘭)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여진의 금패천호(金牌千戶) 아라불화(阿羅不花)의 아들로, 공민왕 때 고려에 귀화함.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조선 건국에 큰 공을 세우고,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됨.
1331~1402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북청ㅣ경기도>양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두로(杜老)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두로(蠹老) - 정여창(鄭汝昌)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종성(鍾城)으로 유배가서 죽음. 성리학의 대가로 경사(經史)에 통달함.
1450~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두류(頭流) - 지리산(智異山)
전라도 남원(南原)ㆍ구례(求禮), 경상도 산청(山淸)ㆍ함양(咸陽)ㆍ하동(河東)에 걸쳐 있는 산.
전라도>남원ㅣ전라도>구례ㅣ경상도>함양ㅣ경상도>하동 , 지명>자연지명
-
두류산(頭流山) - 지리산(智異山)
전라도 남원(南原)ㆍ구례(求禮), 경상도 산청(山淸)ㆍ함양(咸陽)ㆍ하동(河東)에 걸쳐 있는 산.
전라도>남원ㅣ전라도>구례ㅣ경상도>함양ㅣ경상도>하동 , 지명>자연지명
-
두류산(頭留山) - 지리산(智異山)
전라도 남원(南原)ㆍ구례(求禮), 경상도 산청(山淸)ㆍ함양(咸陽)ㆍ하동(河東)에 걸쳐 있는 산.
전라도>남원ㅣ전라도>구례ㅣ경상도>함양ㅣ경상도>하동 , 지명>자연지명
-
두류산인(頭流山人) - 성희(性熙)
조선 전기의 승려. 소세양(蘇世讓)의 《양곡집(陽谷集)》에 상원사(上院寺)에서 지리산(智異山)으로 돌아가는 그를 위해 지어 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두류산인(頭流山人)@인정 - 인정(印正)
조선 전기의 승려. 지리산에 주석하며 소세양(蘇世讓)과 교유하였으며, 《양곡집(陽谷集)》에 증시(贈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ㅣ전라도>구례 , 인명>종교인>승려
-
두류산인(頭流山人)@영지 - 영지(靈芝)
조선 전기의 승려. 소세양(蘇世讓)과 교유하여 《양곡집(陽谷集)》에 시권(詩卷)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두류유산록(頭流遊山錄) - 유두류록(遊頭流錄)@김종직
조선 성종(成宗) 때 김종직(金宗直)이 지리산(智異山)을 유람하고 지은 기행문(紀行文). 지리산에 관한 기행문 중에 가장 오래되고 상세한 글임.
1472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두릉(杜陵)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두릉소은(杜稜小隱) - 김륭(金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함창(咸昌). 이황(李滉)의 문인. 임진왜란 때 격문을 돌려 기병할 것을 호소함.
1549~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
-
두릉습유(杜陵拾遺)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두릉야로(杜陵野老)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두릉옹(杜陵翁)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