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두문산인(斗文山人) - 성담령(成耼齡)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단종(端宗) 때의 충신인 성희(成熺)의 아들. 김안국(金安國)ㆍ엄용순(嚴用順) 등과 함께 경기도 이천(利川)의 육괴정(六槐亭)에 모여 시회를 열고 학문을 강론함.
?~152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두문자(杜門子) - 성사제(成思齊)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정승 성유득(成有得)의 아들로, 보문각 직제학(寶文閣直提學)과 문형(文衡)을 지냈으나, 고려가 망하자 만수산(萬壽山)에 은거한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의 한 사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두봉(斗峯) - 이지완(李志完)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시문(詩文)에 능하여 1606년(선조 39) 중국 사신 주지번(朱之蕃)이 왔을 때 이호민(李好閔)ㆍ허균(許筠) 등과 접반함. 이이첨(李爾瞻)과 사돈을 맺고 권력을 탐해 사람들의 비난을 받음.
1575~161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두부지현(豆夫只縣) - 동복(同福)
전라도 화순(和順) 지역에 있는 옛 고을 이름.
전라도>화순 , 지명>행정지명
-
두성(斗星)@김두성 - 김두성(金斗星)
조선 숙종(肅宗)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금정도 찰방(金井道察訪) 김세진(金世珍)의 아들이며, 영의정(領議政) 김흥경(金興慶)의 아버지.
164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두성령(杜城令) - 이암(李巖)
조선 인종(仁宗) 때의 종친ㆍ화가.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으로, 동식물을 소재로 한 그림을 잘 그렸으며, 인종 초에 중종(中宗)의 어용(御容)을 그릴 때 이에 참여함.
149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왕실>종친
-
두소릉(杜少陵)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두수(斗壽) - 윤두수(尹斗壽)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ㆍ이중호(李仲虎)의 문인(門人)으로, 종계변무(宗系辨誣)에 힘써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되고, 건저문제(建儲問題)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두 차례의 왜란 때 공을 세워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책록됨.
1533~160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두수(斗宿) - 두성(斗星)
이십팔수(二十八宿)의 여덟째 별자리. 두수(斗宿)라고도 하며, 북두칠성(北斗七星)을 달리 부르는 말.
자연물>천체
-
두수(杜叟)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두씨통전(杜氏通典) - 통전(通典)
중국 당(唐) 나라의 재상(宰相) 두우(杜佑)가 편찬한 책. 200권. 중당(中唐) 이전의 역대 제도와 문물을 기록한 중국 최초의 정서(政書)임.
801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두악산(頭嶽山) - 마니산(摩尼山)
인천광역시 강화군(江華郡) 화도면(華道面)에 있는 산 이름. 두악산(頭嶽山)이라고도 부르며, 산 정상에는 단군왕검(檀君王儉)이 하늘에 제사를 지내기 위해 마련했다는 참성단(塹城壇)이 있음.
경기도>강화 , 지명>자연지명
-
두암(斗巖) - 김응남(金應南)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김형(金珩)의 아들. 임진왜란 때 유성룡(柳成龍)의 천거로 병조 판서(兵曹判書)를 지냈으며, 이후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내면서 정국 안정에 힘씀.
1546~1598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두암(杜菴) - 김응남(金應南)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김형(金珩)의 아들. 임진왜란 때 유성룡(柳成龍)의 천거로 병조 판서(兵曹判書)를 지냈으며, 이후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내면서 정국 안정에 힘씀.
1546~1598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두암(竇巖) - 이기옥(李璣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의(全義). 김우옹(金宇顒)ㆍ정구(鄭逑)의 문인으로, 공릉 참봉(恭陵參奉) 등을 지내고, 장현광(張顯光)ㆍ김부륜(金富倫) 등과 교유를 맺고 학문을 강마함.
1566~16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두원외(杜員外)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두의(竇漪) - 효문두황후(孝文竇皇后)
중국 전한(前漢) 제5대 황제인 문제(文帝)의 황후. 경제(景帝)의 모후로, 황로사상(黃老思想)의 열렬한 신봉자였으며, 둘째 아들 유무(劉武)를 총애하여 황제로 만들려 하였으나 대신들의 반대로 실패함.
?~B.C.13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두이(杜二)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두인(斗寅)@오두인 - 오두인(吳斗寅)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현종(顯宗)의 부마(駙馬)인 오태주(吳泰周)의 아버지로,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인현왕후(仁顯王后)의 폐위를 반대하다가 유배되었으나 후에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1624~1689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두인(斗寅) - 권두인(權斗寅)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지냈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전심함.
1643~17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경상도>봉화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