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두수(杜叟)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두씨통전(杜氏通典) - 통전(通典)
중국 당(唐) 나라의 재상(宰相) 두우(杜佑)가 편찬한 책. 200권. 중당(中唐) 이전의 역대 제도와 문물을 기록한 중국 최초의 정서(政書)임.
801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두악산(頭嶽山) - 마니산(摩尼山)
인천광역시 강화군(江華郡) 화도면(華道面)에 있는 산 이름. 두악산(頭嶽山)이라고도 부르며, 산 정상에는 단군왕검(檀君王儉)이 하늘에 제사를 지내기 위해 마련했다는 참성단(塹城壇)이 있음.
경기도>강화 , 지명>자연지명
-
두암(斗巖) - 김응남(金應南)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김형(金珩)의 아들. 임진왜란 때 유성룡(柳成龍)의 천거로 병조 판서(兵曹判書)를 지냈으며, 이후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내면서 정국 안정에 힘씀.
1546~1598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두암(杜菴) - 김응남(金應南)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김형(金珩)의 아들. 임진왜란 때 유성룡(柳成龍)의 천거로 병조 판서(兵曹判書)를 지냈으며, 이후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내면서 정국 안정에 힘씀.
1546~1598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두암(竇巖) - 이기옥(李璣玉)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의(全義). 김우옹(金宇顒)ㆍ정구(鄭逑)의 문인으로, 공릉 참봉(恭陵參奉) 등을 지내고, 장현광(張顯光)ㆍ김부륜(金富倫) 등과 교유를 맺고 학문을 강마함.
1566~160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두원외(杜員外)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두의(竇漪) - 효문두황후(孝文竇皇后)
중국 전한(前漢) 제5대 황제인 문제(文帝)의 황후. 경제(景帝)의 모후로, 황로사상(黃老思想)의 열렬한 신봉자였으며, 둘째 아들 유무(劉武)를 총애하여 황제로 만들려 하였으나 대신들의 반대로 실패함.
?~B.C.13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두이(杜二)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두인(斗寅)@오두인 - 오두인(吳斗寅)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현종(顯宗)의 부마(駙馬)인 오태주(吳泰周)의 아버지로,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인현왕후(仁顯王后)의 폐위를 반대하다가 유배되었으나 후에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1624~1689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두인(斗寅) - 권두인(權斗寅)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지냈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전심함.
1643~171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경상도>봉화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두일(逗日) - 목첨(睦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사천(泗川)으로, 목세칭(睦世秤)의 아들. 공조 참의(工曹參議)ㆍ청홍도 관찰사(淸洪道觀察使)ㆍ대사간(大司諫)ㆍ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1515~159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두일당(逗日堂) - 목첨(睦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사천(泗川)으로, 목세칭(睦世秤)의 아들. 공조 참의(工曹參議)ㆍ청홍도 관찰사(淸洪道觀察使)ㆍ대사간(大司諫)ㆍ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1515~159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두잉지(豆仍只) - 연기(燕岐)
충청남도 동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 1414년(태종 14) 전의(全義)와 통합했다가 1416년(태종 16) 다시 분리함.
충청도>연기 , 지명>행정지명
-
두자(杜子)@두목 - 두목(杜牧)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강직한 성품으로 당 나라의 쇠운을 만회하려고 노력하였음. 산문과 시에 뛰어났으며, 특히 칠언절구(七言絶句)를 잘 했음.
803~853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두자(杜子)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두자미(杜子美) - 두보(杜甫)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문신. 율시(律詩)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
712~77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두전(杜典) - 통전(通典)
중국 당(唐) 나라의 재상(宰相) 두우(杜佑)가 편찬한 책. 200권. 중당(中唐) 이전의 역대 제도와 문물을 기록한 중국 최초의 정서(政書)임.
801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두전생(杜田生) - 전하(田何)
중국 전한(前漢)의 역학자. 동무(東武)의 손우(孫虞)에게 주역을 배워 동무의 왕동(王同), 낙양(雒陽)의 주왕손(周王孫)ㆍ정관(丁寬), 제(齊)의 복생(服生) 등에게 전수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두점(斗岾) - 이결(李結)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지후(祗候) 등을 역임하였으며, 권근(權近)과 교유함. 권근의 《양촌집(陽村集)》에 그와 관련하여 지은 시가 여러 수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