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두표(斗杓) - 원두표(元斗杓)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인조반정(仁祖反正)에 참여하여 공신이 되었으며, 같은 공서(功西)였던 김자점(金自點)과의 정권다툼으로 분당하여 원당(原黨)의 영수(領袖)가 됨. 병조 판서(兵曹判書)ㆍ좌의정(左議政) 등을 지냄.
1593~1664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두형(斗亨) - 정두형(鄭斗亨)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참봉(參奉) 정충원(鄭忠元)의 아들로, 승정원 승지(承政院承旨)를 지내고, 죽은 뒤 효행으로 정려(旌閭)가 하사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두화수(豆華水) - 황하(黃河)
중국 청해성(青海省) 파안(巴顏) 객라산(喀喇山)에서 발원하여 감숙성(甘肅省)ㆍ섬서성(陝西省)ㆍ하남성(河南省)ㆍ산동성(山東省) 등을 거쳐 발해만(渤海灣)으로 흘러 들어가는 강. 중국에서 두 번째로 긴 강으로, 고대 문명의 발상지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두황후(竇皇后)@장덕두황후 - 장덕두황후(章德竇皇后)
중국 후한(後漢)의 제3대 장제(章帝)의 비(妃). 장제가 죽고 화제(和帝)가 즉위하자 섭정하고, 후에 오빠 두헌(竇憲)과 반란을 꾀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두황후(竇皇后) - 효문두황후(孝文竇皇后)
중국 전한(前漢) 제5대 황제인 문제(文帝)의 황후. 경제(景帝)의 모후로, 황로사상(黃老思想)의 열렬한 신봉자였으며, 둘째 아들 유무(劉武)를 총애하여 황제로 만들려 하였으나 대신들의 반대로 실패함.
?~B.C.13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두후(杜后) - 성공두황후(成恭杜皇后)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제3대 황제인 성제(成帝)의 왕비. 강제(康帝)는 성제의 두황후(杜皇后)를 위하여 1년이 지나도록 여전히 소복(素服)을 하였으므로, 형제가 서로 계대(繼代)하였을 때의 복의(服議)를 언급할 때 나옴.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두후(竇后) - 효문두황후(孝文竇皇后)
중국 전한(前漢) 제5대 황제인 문제(文帝)의 황후. 경제(景帝)의 모후로, 황로사상(黃老思想)의 열렬한 신봉자였으며, 둘째 아들 유무(劉武)를 총애하여 황제로 만들려 하였으나 대신들의 반대로 실패함.
?~B.C.13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두희(竇姬) - 효문두황후(孝文竇皇后)
중국 전한(前漢) 제5대 황제인 문제(文帝)의 황후. 경제(景帝)의 모후로, 황로사상(黃老思想)의 열렬한 신봉자였으며, 둘째 아들 유무(劉武)를 총애하여 황제로 만들려 하였으나 대신들의 반대로 실패함.
?~B.C.13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둔계(遯溪) - 박률(朴栗)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1558년(명종 13)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ㆍ북평사(北評事)를 지냄. 송인(宋寅)의 《이암유고(頤庵遺稿)》에 송시(送詩)가 실려 있음.
152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관인>문신
-
둔곡(遁谷) - 김수현(金壽賢)
조선 선조(宣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豐山)으로,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을 지낸 김진(金鎭)의 아들. 《선조실록(宣祖實錄)》의 편찬에 참여하였고, 병자호란 때에는 끝까지 척화(斥和)를 주장함.
1565~165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둔곡(遯谷) - 조형생(趙亨生)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 우암(愚菴) 조욱(趙昱)의 손자이며, 권결(權潔)의 사위로 현감(縣監)을 역임함. 1714년 경기도 양평에 있는 운계서원(雲谿書院)에 배향됨.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지평 , 인명>관인>문신
-
둔로(遁老) - 이집(李集)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이숭인(李崇仁) 등과 친분이 두터웠으며, 공민왕(恭愍王) 때 사직하고 여주(驪州)에서 시를 지으며 일생을 마침.
1314~138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ㅣ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둔부(遁夫) - 이집(李集)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이숭인(李崇仁) 등과 친분이 두터웠으며, 공민왕(恭愍王) 때 사직하고 여주(驪州)에서 시를 지으며 일생을 마침.
1314~138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ㅣ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둔수(遯叟) - 박도(朴鍍)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인. 김일손(金馹孫)의 《탁영집(濯纓集)》에 김시습(金時習) 등과 화운(和韻)한 사(詞)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둔암(遁庵) - 유형원(柳馨遠)
조선 효종(孝宗)~현종(顯宗) 때의 학자. 본관은 문화(文化). 이원진(李元鎭)과 김세렴(金世濂)에게 수학함. 실학(實學)을 학문으로 정립하고, 중농사상(重農思想)에 기반을 둔 《반계수록(磻溪隨錄)》을 저술함.
1622~167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부안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둔암(遯庵) - 신내옥(辛乃沃)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영월(寧越)로, 충좌위 부사직(忠佐衛副司直)을 지낸 신중곤(辛仲坤)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출사(出仕)하지 않고 도학(道學)에 전념함. 유운룡(柳雲龍)ㆍ김성일(金誠一)ㆍ권호문(權好文) 등과 교유함.
1525~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강원도>영월 , 인명>문사>유학
-
둔암(遯菴) - 양산해(梁山海)
조선 후기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송천(松川) 양응정(梁應鼎)의 아들로,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의 문인(門人). 학행(學行)으로 호조 참판(戶曺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둔암(鈍庵)@심광언 - 심광언(沈光彦)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안성 군수(安城郡守)를 지낸 심빈(沈濱)의 아들. 지방관으로 나가서는 선정(善政)을 베풀었으며, 법률에 밝아 형정(刑政)을 오랫동안 주관하며 송사를 바르게 처리함.
1490~15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둔암(鈍庵) - 송인(宋寅)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중종의 부마로, 이황(李滉)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고, 시문(詩文)과 해서(楷書)에 뛰어남.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둔옹(遁翁) - 이집(李集)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이숭인(李崇仁) 등과 친분이 두터웠으며, 공민왕(恭愍王) 때 사직하고 여주(驪州)에서 시를 지으며 일생을 마침.
1314~138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ㅣ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