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둔옹(遯翁)@박희성 - 박희성(朴希聖)
조선 전기의 유학. 고청(孤靑) 서기(徐起)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유학
-
둔옹(鈍翁) - 송인(宋寅)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중종의 부마로, 이황(李滉)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고, 시문(詩文)과 해서(楷書)에 뛰어남.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둔재(遯齋)@탁영 - 탁영(卓英)
고려 고종(高宗) 때의 문신. 보문각 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지낸 탁종성(卓宗成)의 아들로, 고종 때 사마시(司馬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였으며, 평장사(平章事) 등을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둔재(遯齋) - 정여해(鄭汝諧)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효렴(孝廉)으로 천거되어 삭주 교수(朔州敎授)ㆍ지평(持平)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둔재(鈍齋) - 김광철(金光轍)@고려
고려 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1347년(충목왕 4) 밀직사 판사(密直司判事)로 있을 때 정치도감(整治都監)이 설치되자 그 판사를 겸하여 폐정개혁(弊政改革)을 주도함.
?~1349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둔촌(屯村) - 민유중(閔維重)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숙종의 비 인현왕후(仁顯王后)의 아버지로 남인(南人)이 집권할 때 흥해(興海)로 유배되었다가, 남인이 실각하자 금위영(禁衛營)의 창설을 주도하여 병권과 재정권을 모두 관장함.
1630~168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둔촌(遁村) - 이집(李集)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이숭인(李崇仁) 등과 친분이 두터웠으며, 공민왕(恭愍王) 때 사직하고 여주(驪州)에서 시를 지으며 일생을 마침.
1314~138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ㅣ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둔촌(遯村) - 이집(李集)
고려 충목왕(忠穆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廣州).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이숭인(李崇仁) 등과 친분이 두터웠으며, 공민왕(恭愍王) 때 사직하고 여주(驪州)에서 시를 지으며 일생을 마침.
1314~1387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ㅣ경기도>여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둔촌(鈍村) - 김훤(金晅)
고려 원종(元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삼별초(三別抄)의 잔적(殘賊)을 격퇴하고,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역임하였음.
1234~1305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둔촌선생집(遁村先生集) - 둔촌잡영(遁村雜詠)
고려 충목왕(忠穆王) 때의 학자 이집(李集)의 시문집(詩文集). 조선 태종(太宗) 때 저자의 장남 이지직(李之直)에 의해 초간(初刊)되었으며, 고려 말부터 조선 초까지의 시문학(詩文學)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됨.
141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문헌>서명
-
둔촌시고(遁村詩稿) - 둔촌잡영(遁村雜詠)
고려 충목왕(忠穆王) 때의 학자 이집(李集)의 시문집(詩文集). 조선 태종(太宗) 때 저자의 장남 이지직(李之直)에 의해 초간(初刊)되었으며, 고려 말부터 조선 초까지의 시문학(詩文學)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됨.
141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문헌>서명
-
둔촌유고(遁村遺稿) - 둔촌잡영(遁村雜詠)
고려 충목왕(忠穆王) 때의 학자 이집(李集)의 시문집(詩文集). 조선 태종(太宗) 때 저자의 장남 이지직(李之直)에 의해 초간(初刊)되었으며, 고려 말부터 조선 초까지의 시문학(詩文學)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됨.
141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문헌>서명
-
둔촌집(遁村集) - 둔촌잡영(遁村雜詠)
고려 충목왕(忠穆王) 때의 학자 이집(李集)의 시문집(詩文集). 조선 태종(太宗) 때 저자의 장남 이지직(李之直)에 의해 초간(初刊)되었으며, 고려 말부터 조선 초까지의 시문학(詩文學)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됨.
1410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문헌>서명
-
둔학(遯壑) - 송경원(宋慶元)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김종직(金宗直)ㆍ남효온(南孝溫) 등과 교유하였으며, 영월(寧越)에 유폐된 단종(端宗)이 죽자 임실(任實) 백이산(伯夷山)에 은거하여 절개를 지키다가 죽음.
1419~151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임실 , 인명>관인>문신
-
둔헌(鈍軒) - 김광철(金光轍)@고려
고려 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1347년(충목왕 4) 밀직사 판사(密直司判事)로 있을 때 정치도감(整治都監)이 설치되자 그 판사를 겸하여 폐정개혁(弊政改革)을 주도함.
?~1349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득(得) - 권득(權得)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이조 참판(吏曹參判) 권숙(權肅)의 아들이며, 병조 정랑(兵曹正郞) 권호(權瑚)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득강(得江) - 어득강(魚得江)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교리(校理)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냈으며, 문명(文名)이 있고 특히 해학(諧謔)에 능함.
1470~155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득개(得凱) - 권득개(權得凱)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의 청성정사(靑城精舍)에서 《역경(易經)》을 배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득겸(得謙) - 김득겸(金得謙)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황(金貺)의 장인으로,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득경(得卿)@성준덕 - 성준덕(成駿德)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교리(校理)를 지낸 성담년(成聃年)의 증손으로, 동생 성문덕(成聞德)과 함께 성혼(成渾)을 방문하여 교유한 일이 《우계집(牛溪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