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득월당(得月堂) - 현적(玄績)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성주(星州). 현경창(玄景昌)의 아들로, 1627년(인조 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송순(宋純)의 《면앙집(俛仰集)》〈제영해동명현록(題詠海東名賢錄)〉에 그와 관련된 내용이 실려 있음.
160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창평 , 인명>문사>유학
-
득월자(得月子) - 상붕남(尙鵬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목천(木川). 범허정(泛虛亭) 상진(尙震)의 아들로, 강계 부사(江界府使)를 지낸 이제신(李濟臣)의 장인.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열중하였지만 32세의 나이로 죽음. 시서(詩書)에 능했음.
1511~1542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목천 , 인명>관인>문신
-
득윤(得胤) - 이득윤(李得胤)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ㆍ음악가. 본관은 경주(慶州). 괴산 군수(槐山郡守) 등을 지내고, 김장생(金長生) 등과 서신으로 역학과 음악을 토론함. 거문고 악보인 《현금동문유기(玄琴東文類記)》를 지음.
1553~163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득의(得宜) - 조득의(趙得宜)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 무제(武帝)에게 사마상여(司馬相如)의 〈자허부(子虛賦)〉를 보여주고 사마상여(司馬相如)를 관직에 추천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득의(得意) - 양득의(楊得意)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 때의 문신. 구감(狗監)을 역임하였으며, 무제가 〈자허부(子虛賦)〉를 읽은 후 그 지은이와 동시대에 살지 못한 것을 안타까워하자, 지은이이자 자신의 벗인 사마상여(司馬相如)를 추천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득인(得仁) - 방득인(房得仁)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남양(南陽). 방덕일(房德馹)의 아들이고, 방처인(房處仁)의 동생.
한국>조선시대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득제(得㴉) - 하즙(河楫)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하직의(河直漪)의 아들로,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등을 지내고,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303~138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득제(得齊) - 김득제(金得齊)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개경(開京)을 탈환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우왕 때에도 여러 번 왜구를 격퇴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무신
-
득종(得宗) - 고득종(高得宗)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상장군 고봉지(高鳳智)의 아들. 문장과 서예에 뛰어났으며, 효성이 지극하여 사후에 정문(旌門)이 세워짐.《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몇 편의 시가 전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강음ㅣ전라도>제주 , 인명>관인>문신
-
득지(得之)@이덕열 - 이덕열(李德悅)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준경(李浚慶)의 아들로, 이유경(李有慶)에게 출계(出系)함. 승지(承旨)를 지냈으며, 저서로 임진왜란 중에 작성한 《양호당일기(養浩堂日記)》가 있음.
1534~159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득지(得之)@심덕부 - 심덕부(沈德符)
고려 충숙왕(忠肅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고려 말의 정치제도 개혁과 왜구의 토벌에 공을 세우고, 조선 건국 후에는 신왕조 건설의 일익을 담당함.
1328~140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득지(得之) - 박양(朴讓)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1516년(중종 11)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득지(得地) - 김득지(金得地)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성균관 직강(行成均館直講) 김세량(金世良)의 아들. 윤두수(尹斗壽)ㆍ임운(林芸)ㆍ정황(丁熿) 등과 교유하여, 《오음유고(梧陰遺稿)》ㆍ《첨모당집(瞻慕堂集》ㆍ《유헌집(游軒集)》에 차운시(次韻詩)ㆍ증시(贈詩)가 실려 있음.
153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득통(得通) - 기화(己和)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승려. 최치원(崔致遠)이 주장했던 불교(佛敎)ㆍ유교(儒敎)ㆍ도교(道敎)의 삼교일치설(三敎一致說)을 전개함.
1376~143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종교인>승려
-
득평(得枰) - 최득평(崔得枰)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전리 판서(典理判書)를 지낸 최재(崔宰)의 아버지로, 선부 전서(選部典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득하(得河) - 최득하(崔得河)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해주(海州).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낸 최호(崔灝)의 아버지로, 사과(司果)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무신
-
득황(得璜) - 나득황(羅得璜)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 나유(羅裕)의 아버지. 무신정권에 아첨하여 관직이 형부 상서(刑部尙書)에 이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등(璒) - 조등(曺璒)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감사(監司) 조한필(曺漢弼)의 아버지로, 삼척 부사(三陟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등(登) - 귀등(歸登)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문신ㆍ문인. 호북(湖北) 형주인(荊州人)으로 귀숭경(歸崇敬)의 아들. 공부 시랑(工部侍郞)을 지냄.
754~82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등각(滕閣) - 등왕각(滕王閣)
중국 강서성(江西省) 남창(南昌)에 있는 누각. 당(唐) 고조(高祖)의 아들 원영(元嬰)이 세운 것으로, 이곳에서의 잔치를 배경으로 지은 왕발(王勃)의 〈등왕각서(滕王閣序)〉가 유명함.
중국>당 , 중국 , 유적>건물>누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