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득지(得之)@이덕열 - 이덕열(李德悅)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이준경(李浚慶)의 아들로, 이유경(李有慶)에게 출계(出系)함. 승지(承旨)를 지냈으며, 저서로 임진왜란 중에 작성한 《양호당일기(養浩堂日記)》가 있음.
1534~159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
-
득지(得之)@심덕부 - 심덕부(沈德符)
고려 충숙왕(忠肅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고려 말의 정치제도 개혁과 왜구의 토벌에 공을 세우고, 조선 건국 후에는 신왕조 건설의 일익을 담당함.
1328~1401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득지(得之) - 박양(朴讓)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1516년(중종 11)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으며, 승문원 정자(承文院正字)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득지(得地) - 김득지(金得地)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로, 성균관 직강(行成均館直講) 김세량(金世良)의 아들. 윤두수(尹斗壽)ㆍ임운(林芸)ㆍ정황(丁熿) 등과 교유하여, 《오음유고(梧陰遺稿)》ㆍ《첨모당집(瞻慕堂集》ㆍ《유헌집(游軒集)》에 차운시(次韻詩)ㆍ증시(贈詩)가 실려 있음.
153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득통(得通) - 기화(己和)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승려. 최치원(崔致遠)이 주장했던 불교(佛敎)ㆍ유교(儒敎)ㆍ도교(道敎)의 삼교일치설(三敎一致說)을 전개함.
1376~143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 , 인명>종교인>승려
-
득평(得枰) - 최득평(崔得枰)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전리 판서(典理判書)를 지낸 최재(崔宰)의 아버지로, 선부 전서(選部典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득하(得河) - 최득하(崔得河)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해주(海州).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를 지낸 최호(崔灝)의 아버지로, 사과(司果)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무신
-
득황(得璜) - 나득황(羅得璜)
고려 고종(高宗)~원종(元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 나유(羅裕)의 아버지. 무신정권에 아첨하여 관직이 형부 상서(刑部尙書)에 이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등(璒) - 조등(曺璒)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감사(監司) 조한필(曺漢弼)의 아버지로, 삼척 부사(三陟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등(登) - 귀등(歸登)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문신ㆍ문인. 호북(湖北) 형주인(荊州人)으로 귀숭경(歸崇敬)의 아들. 공부 시랑(工部侍郞)을 지냄.
754~820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등각(滕閣) - 등왕각(滕王閣)
중국 강서성(江西省) 남창(南昌)에 있는 누각. 당(唐) 고조(高祖)의 아들 원영(元嬰)이 세운 것으로, 이곳에서의 잔치를 배경으로 지은 왕발(王勃)의 〈등왕각서(滕王閣序)〉가 유명함.
중국>당 , 중국 , 유적>건물>누정
-
등계달(鄧季達) - 등계달(滕季達)
중국 명(明) 나라의 문인. 1572년(조선 선조 5) 명 나라 사신 한세능(韓世能)과 함께 조선에 와서, 정유일(鄭惟一)ㆍ유성룡(柳成龍)ㆍ한호(韓濩) 등과 교유함. 《옥봉집(玉峯集)》에 백광훈(白光勳)의 〈증북해처사등계달(贈北海處士鄧季達)〉이라는 시(詩)가 실려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등고수(登高水) - 황하(黃河)
중국 청해성(青海省) 파안(巴顏) 객라산(喀喇山)에서 발원하여 감숙성(甘肅省)ㆍ섬서성(陝西省)ㆍ하남성(河南省)ㆍ산동성(山東省) 등을 거쳐 발해만(渤海灣)으로 흘러 들어가는 강. 중국에서 두 번째로 긴 강으로, 고대 문명의 발상지로 유명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등공(滕公)@등종량 - 등종량(滕宗諒)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천장각 대제(天章閣待制)ㆍ정언(正言)ㆍ사간(司諫) 등을 역임하였고, 범중엄(范仲淹)과 교유함.
991~104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등공(滕公) - 하후영(夏侯嬰)
중국 전한(前漢) 고조(高祖) 때의 공신. 원래는 말을 관리하는 천역(賤役)에 종사하였으나, 소하(蕭何)ㆍ번쾌(樊噲)와 함께 유방(劉邦)을 도와 한(漢) 나라를 건국하는 데 큰 공을 세움. 개국 후 태복(太僕)을 지내고 여음후(汝陰侯)에 봉해짐.
?~B.C.172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기타인명>공신
-
등만(等滿) - 정등만(丁等滿)
고려 후기~조선 전기의 유학. 《쌍매당협장집(雙梅堂篋藏集)》에 〈송백당정공등만여경(送柏堂丁公等滿如京)〉의 시(詩)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등명(燈明) - 학조(學祖)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승려. 여러 고승들과 함께 불경을 언해(諺解)하였고, 인수대비(仁粹大妃)의 명으로 해인사(海印寺) 대장경판당(大藏經板堂)을 중창하였으며, 대장경(大藏經)을 간인(刊印)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종교인>승려
-
등명국사(燈明國師) - 학조(學祖)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승려. 여러 고승들과 함께 불경을 언해(諺解)하였고, 인수대비(仁粹大妃)의 명으로 해인사(海印寺) 대장경판당(大藏經板堂)을 중창하였으며, 대장경(大藏經)을 간인(刊印)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종교인>승려
-
등명선사(燈明禪師) - 학조(學祖)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승려. 여러 고승들과 함께 불경을 언해(諺解)하였고, 인수대비(仁粹大妃)의 명으로 해인사(海印寺) 대장경판당(大藏經板堂)을 중창하였으며, 대장경(大藏經)을 간인(刊印)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종교인>승려
-
등명승통(燈明僧統) - 천석(天錫)
고려 후기의 승려. 이승휴(李承休)의 《동안거사집(動安居士集)》에 그와 관련된 내용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