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등자(鄧子) - 등유(鄧攸)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문신. 난리를 만나 자식을 버리고 조카를 보존하였으나 끝내 후사를 두지 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등주(登州) - 안변(安邊)
함경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현종(顯宗) 때 도호부를 설치했으나 조선 태종(太宗) 때 조사의(趙思義)가 반란을 일으켜 감무(監務)로 강등되었다가 다시 도호부로 환원됨. 경원선(京元線)과 동해 북부선(北部線)의 분기점(分岐點).
함경도>안변 , 지명>행정지명
-
등태후(鄧太后) - 화희등황후(和熹鄧皇后)
중국 후한(後漢)의 제4대 황제인 화제(和帝)의 후비. 화제가 죽은 후 상제(殤帝)ㆍ안제(安帝)를 즉위시키고 실권을 잡음.
81~121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등황후(鄧皇后) - 화희등황후(和熹鄧皇后)
중국 후한(後漢)의 제4대 황제인 화제(和帝)의 후비. 화제가 죽은 후 상제(殤帝)ㆍ안제(安帝)를 즉위시키고 실권을 잡음.
81~121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등후(滕侯) - 문공(文公)@춘추전국(등)
중국 춘추전국시대 등(滕) 나라의 제후. 정공(定公) 아들로, 맹자(孟子)에게 일련의 왕도정치에 대한 자문을 받고, 인정(仁政)과 예제(禮制)를 시행하고 교육을 진작시켰으며, 세금개혁 등을 실행함.
?~B.C.31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등후(鄧侯)@등우 - 등우(鄧禹)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개국공신. 광무제를 도와 천하를 평정한 논공제일(論功第一)의 공신으로, 삼공(三公)의 하나인 대사도(大司徒)에 임명되고 고밀후(高密侯)에 봉해짐.
2~5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등후(鄧侯)@등유 - 등유(鄧攸)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문신. 난리를 만나 자식을 버리고 조카를 보존하였으나 끝내 후사를 두지 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람(覽) - 구람(仇覽)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 백성들을 형벌이 아닌 덕(德)으로 다스려 교화시킨 일로 유명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래(來) - 이래(李來)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존오(李存吾)의 아들이며 우현보(禹玄寶)의 문인(門人)으로, 제2차 왕자(王子)의 난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었고 대제학(大提學) 등을 역임함.
1362~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래(徠) - 이래(李徠)
조선 전기의 종친ㆍ문신. 태종(太宗)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손자이며, 보성군(寶城君) 이합(李㝓)의 셋째 아들로,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련(璉) - 권련(權璉)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1519년(중종 1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련(璉)@고려 - 김련(金璉)@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사원(金士元)의 아버지.
1215~129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련(璉)@조선 - 김련(金璉)@조선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김안국(金安國)의 아버지.
1452~149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관인>문신
-
로(輅) - 김로(金輅)@조선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조선 개국공신(開國功臣) 중의 한 사람으로,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ㆍ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를 지냄.
1355~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록(祿) - 여록(呂祿)
중국 한(漢) 나라 때의 외척. 여후(呂后)의 조카로, 그의 비호 아래 상장군(上將軍)이 되고, 여후가 죽은 뒤 여산(呂産)과 함께 정변을 일으켜 제위 찬탈을 도모하였으나, 진평(陳平)ㆍ주발(周勃) 등에게 주살됨.
?~B.C.18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륜(倫)@조선후기 - 이륜(李倫)@조선후기
조선 후기의 종친. 장천정(長川正) 이수효(李壽㹲)의 아들이며 이응복(李應福)의 아버지로, 양성군(陽城君)에 봉해짐.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륜(倫)@조선전기 - 이륜(李倫)@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이며, 규보(奎甫) 박종문(朴宗文)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륜(崙) - 신륜(辛崙)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예조 참의(禮曹參議) 신필주(辛弼周)의 아들로, 조식(曺植)과 교유하였으며, 광주 목사(光州牧使) 등을 역임함.
1504~156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린(璘)@황귀수의아들 - 황린(黃璘)@황귀수의아들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덕산(德山). 문장가로 이름을 떨치고, 정붕(鄭鵬), 김일손(金馹孫) 등과 도의로 사귐. 1477년(성종 8)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합천 군수(陜川郡守)·상주 목사(尙州牧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ㅣ충청도>덕산 , 인명>관인>문신
-
린(璘)@조선전기 - 박린(朴璘)@조선전기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박광우(朴光佑)의 아버지로, 1496년(연산군 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며 강예습독(講隷習讀)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