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등문(滕文) - 문공(文公)@춘추전국(등)
중국 춘추전국시대 등(滕) 나라의 제후. 정공(定公) 아들로, 맹자(孟子)에게 일련의 왕도정치에 대한 자문을 받고, 인정(仁政)과 예제(禮制)를 시행하고 교육을 진작시켰으며, 세금개혁 등을 실행함.
?~B.C.31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등문(登門) - 등용문(登龍門)
용문(龍門)에 오른다는 뜻. 용문은 황하(黃河)의 상류에 있는 수세(水勢)가 험난한 지역으로, 이 곳을 잉어가 올라가면 용(龍)이 된다는 전설에서 유래함. 현재는 어려운 관문을 통과하여 출세한다는 뜻으로 쓰임.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등선(登善) - 저수량(褚遂良)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고종(高宗) 때의 문신ㆍ서예가. 태종의 총신으로 애주 자사(愛州刺史) 등을 지냈으나, 고종에게 간언(諫言)하다 죽임을 당함. 우세남(虞世南)ㆍ구양순(歐陽詢)과 함께 당 나라 초기의 명필(名筆)로 꼽힘.
596~658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등설(燈說) - 등유설(燈油說)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양희지(楊熙止)가 쓴 글. 그가 8․9세 정도 되었을 때 지은 글로, 등(燈)을 군주로, 유(油)를 신하로 비유해 기름으로 인해 등불이 밝혀지듯 군주는 신하로 인해 다스림을 이루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등수(鄧綏) - 화희등황후(和熹鄧皇后)
중국 후한(後漢)의 제4대 황제인 화제(和帝)의 후비. 화제가 죽은 후 상제(殤帝)ㆍ안제(安帝)를 즉위시키고 실권을 잡음.
81~121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등암(鐙巖) - 이덕익(李德益)
조선 전기의 유학. 이이(李珥)ㆍ홍가신(洪可臣)ㆍ이우(李瑀)ㆍ구사민(具思閔)ㆍ노국형(盧國亨) 등과 팔현회(八賢會)를 조직하여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등왕(滕王) - 이원영(李元嬰)
중국 당(唐) 나라 고조(高祖)의 스물두째 아들. 등왕(滕王)에 봉해지고 양주 도독(梁州都督) 등을 역임하였으며, 홍주 도독(洪州都督)으로 있을 때에 등왕각(滕王閣)을 세움.
?~684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등왕(鄧王) - 충의왕(忠懿王)
중국 오대십국 오월(吳越)의 마지막 왕. 재위 947~978. 송(宋) 태종(太宗)에게 13주(州)를 바치고 등왕(鄧王)에 봉해짐.
852~932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등왕각시서(滕王閣詩序) - 등왕각서(滕王閣序)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 때 시인인 왕발(王勃)이 지은 사륙변려문(四六騈儷文). 강서성(江西省) 남창(南昌)에 있는 등왕각(滕王閣)에서 열린 잔치 때 지음.
676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등원성와(藤原惺窩) - 등원성와(藤原醒窩)
일본 강호시대(江戶時代) 초기의 유학자로, 일본 근세 유학의 아버지. 7세 때 출가하여 선학(禪學)과 한학을 배움. 조선의 국사(國使)인 허성(許筬) 등과 교유하였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포로로 잡혀온 주자학자 강항(姜沆)을 만나 영향을 받음.
1561~1619 일본>강호시대 , 일본 , 인명>문사>학자
-
등원숙(藤原肅) - 등원성와(藤原醒窩)
일본 강호시대(江戶時代) 초기의 유학자로, 일본 근세 유학의 아버지. 7세 때 출가하여 선학(禪學)과 한학을 배움. 조선의 국사(國使)인 허성(許筬) 등과 교유하였고,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포로로 잡혀온 주자학자 강항(姜沆)을 만나 영향을 받음.
1561~1619 일본>강호시대 , 일본 , 인명>문사>학자
-
등자(鄧子) - 등유(鄧攸)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문신. 난리를 만나 자식을 버리고 조카를 보존하였으나 끝내 후사를 두지 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등주(登州) - 안변(安邊)
함경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현종(顯宗) 때 도호부를 설치했으나 조선 태종(太宗) 때 조사의(趙思義)가 반란을 일으켜 감무(監務)로 강등되었다가 다시 도호부로 환원됨. 경원선(京元線)과 동해 북부선(北部線)의 분기점(分岐點).
함경도>안변 , 지명>행정지명
-
등태후(鄧太后) - 화희등황후(和熹鄧皇后)
중국 후한(後漢)의 제4대 황제인 화제(和帝)의 후비. 화제가 죽은 후 상제(殤帝)ㆍ안제(安帝)를 즉위시키고 실권을 잡음.
81~121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등황후(鄧皇后) - 화희등황후(和熹鄧皇后)
중국 후한(後漢)의 제4대 황제인 화제(和帝)의 후비. 화제가 죽은 후 상제(殤帝)ㆍ안제(安帝)를 즉위시키고 실권을 잡음.
81~121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등후(滕侯) - 문공(文公)@춘추전국(등)
중국 춘추전국시대 등(滕) 나라의 제후. 정공(定公) 아들로, 맹자(孟子)에게 일련의 왕도정치에 대한 자문을 받고, 인정(仁政)과 예제(禮制)를 시행하고 교육을 진작시켰으며, 세금개혁 등을 실행함.
?~B.C.318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등후(鄧侯)@등우 - 등우(鄧禹)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의 개국공신. 광무제를 도와 천하를 평정한 논공제일(論功第一)의 공신으로, 삼공(三公)의 하나인 대사도(大司徒)에 임명되고 고밀후(高密侯)에 봉해짐.
2~5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등후(鄧侯)@등유 - 등유(鄧攸)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문신. 난리를 만나 자식을 버리고 조카를 보존하였으나 끝내 후사를 두지 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람(覽) - 구람(仇覽)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 백성들을 형벌이 아닌 덕(德)으로 다스려 교화시킨 일로 유명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래(來) - 이래(李來)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존오(李存吾)의 아들이며 우현보(禹玄寶)의 문인(門人)으로, 제2차 왕자(王子)의 난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었고 대제학(大提學) 등을 역임함.
1362~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