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냉재야화(冷齋夜話)
중국 송(宋) 나라의 시승(詩僧)인 혜홍(惠洪)의 저서. 10권. 저자가 평소 보고 들은 것을 기록한 책으로, 시(詩)를 논한 것이 대부분이며, 시 중에서도 원우(元祐) 연간 시인들의 것이 많고, 특히 황정견(黄庭堅)의 것이 가장 많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노(魯)
중국 주(周) 나라 때에 봉해진 제후국. 주왕(周王)이 주 나라 건국공신(建國功臣)인 주공(周公)의 큰 아들 백금(伯禽)을 제후로 봉하자, 지금의 산동(山東)에 수도를 세우고 국호를 노(魯)라고 함.
중국>춘추전국시대ㅣ중국>주 , 중국 , 시간>국명
-
노^낙(盧^駱)
중국 당(唐) 나라 초기의 문인(文人)인 노조린(盧照鄰)과 낙빈왕(駱賓王)을 함께 부르는 말. 시문(詩文)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노^온(潞^溫)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 때의 문신인 노공(潞公) 문언박(文彦博)과 온공(溫公) 사마광(司馬光)을 함께 부르는 말. 왕안석(王安石)의 신법(新法)에 반대하여 축출되었다가 복귀하여 정사를 돌본 인물들로, 북송(北宋) 때의 명신(名臣)을 가리킴.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노^장(老^莊)
중국 춘추전국시대 도가(道家)의 대표적인 인물인 노자(老子)와 장주(莊周)를 함께 부르는 말. 유교적 관점에서는 이단(異端)을 뜻하며, 때로는 그들의 저서인 《도덕경(道德經)》과 《장자(莊子)》를 함께 지칭하는 말로도 쓰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노^장^순^열(老^莊^荀^列)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인 노자(老子)ㆍ장주(莊周)ㆍ순황(荀況)ㆍ열어구(列禦寇)를 함께 부르는말. 노자ㆍ장주ㆍ열어구는 도가(道家)의 대표적 인물이고, 순황은 성악설(性惡說)을 주창한 인물로, 유교적 관점에서는 이단(異端)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노^정(盧^丁)
중국 송(宋) 나라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문신인 노다손(盧多遜)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인 정위(丁謂)를 함께 부르는 말. 간신(奸臣)을 가리킴.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노^정(盧^鄭)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인 노식(盧植)과 정현(鄭玄)을 함께 부르는 말. 모두 마융(馬融)의 제자로, 흔히 후한의 명유(名儒)를 가리킴.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노^팽(老^彭)
중국 춘추전국시대 도교(道敎)의 창시자인 노자(老子)와 《장자(莊子)》에 등장하는 인물인 팽조(彭祖)를 함께 부르는 말. 도가(道家)의 선인(仙人)을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노경린(盧慶麟)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곡산(谷山). 유학을 숭상하여 성주 목사((星州牧使)로 있을 때 천곡서원(川谷書院)을 세움
1516~156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곡산 , 인명>관인>문신
-
노경장(盧敬長)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돈녕판관(敦寧判官) 노희선(盧熙善)의 아들이고, 소재(穌齋) 노수신(盧守愼)의 증조부로, 돈녕부 참봉(敦寧府參奉)을 지냈으며, 이조 판서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노계집(盧溪集)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왕정규(王庭珪)의 시문집(詩文集). 50권. 송 나라 순희(淳熙) 연간에 그 자손과 문인 유강(劉江)이 편집하여 간행하였으며, 작자의 꿋꿋한 성품과 굳센 기운이 글에 잘 나타나 있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노공(魯恭)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신. 중모령(中牟令)이 되어 선정(善政)을 베풀었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노공필(盧公弼)
조선 세조(世祖)~중종(中宗) 때의 문신.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노사신(盧思愼)의 장남. 명(明) 나라에서 중종의 승습(承襲)을 승인 받아 귀국함.
1445~151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노관(盧祼)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신고당(信古堂) 노우명(盧友明)의 아들로, 예조 판서(禮曹判書)를 지낸 노진(盧禛)의 동생. 강익(姜翼)ㆍ김우옹(金宇顒) 등과 교유함.
1522~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노관(盧綰)
중국 전한(前漢) 초의 제후국인 연(燕) 나라의 왕. 한(漢)이 연 나라를 점령하자 흉노(匈奴)로 망명하였고, 이어서 위만(衛滿)이 고조선(古朝鮮)으로 망명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
고려 제31대 공민왕(恭愍王)의 정비(正妃). 원(元) 나라의 황족(皇族)인 위왕(魏王)의 딸.
?~1365 한국>고려후기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노국형(盧國亨)
조선 전기의 유학. 홍가신(洪可臣)ㆍ이우(李瑀)ㆍ이이(李珥) 등과 함께 팔현회(八賢會)를 결성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노극신(盧克愼)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형 노수신(盧守愼)이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으로 진도(珍島)에 유배되었을 때 그도 금고처분(禁錮處分)을 당했으나 명종 말에 풀려나 돈녕부 첨정(敦寧府僉正)을 지냄.
152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노기(盧杞)
중국 당(唐) 덕종(德宗) 때의 간신. 성격이 음험하여 국정을 담당할 때 권력을 멋대로 휘둘러 많은 사람을 죽임. 평소 싫어하던 안진경(顔眞卿)을 제거할 목적으로, 모반을 일으킨 이희열(李希烈)에게 보내어 화를 당하게 함.
?~785?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