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마리산(摩利山) - 마니산(摩尼山)
인천광역시 강화군(江華郡) 화도면(華道面)에 있는 산 이름. 두악산(頭嶽山)이라고도 부르며, 산 정상에는 단군왕검(檀君王儉)이 하늘에 제사를 지내기 위해 마련했다는 참성단(塹城壇)이 있음.
경기도>강화 , 지명>자연지명
-
마백미(馬白眉) - 마량(馬良)
중국 삼국(三國時代) 촉(蜀) 나라의 장군. 제갈량(諸葛亮)과 친교를 맺었음. 오형제 중에서 재능이 가장 뛰어났으며 백미(白眉)라는 고사성어에 나오는 인물.
187~222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마복(馬服) - 조괄(趙括)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趙) 나라의 무신. 마복군(馬服君) 조사(趙奢)의 아들로, 임기응변에 어두워 진(秦) 나라 무안군(武安君) 백기(白起)에게 참패를 당해 죽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마복군(馬服君) - 조사(趙奢)
중국 춘추전국시대 조(趙) 나라의 무신. 조괄(趙括)의 아버지로, 한(漢) 나라와 진(秦) 나라가 알여(閼與)에서 싸울 때 진군(秦軍)을 대파하여 한 나라를 구원한 공으로 마복군(馬服君)에 봉해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마사(馬史) - 사기(史記)
중국 전한(前漢)의 사마천(司馬遷)이 편찬한 중국 최초의 기전체(紀傳體) 통사(通史). 황제(黃帝) 때부터 전한의 무제(武帝) 천한 연간(天漢年間)까지 약 3000여 년의 역사를 서술.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마산(馬山)@한산 - 한산(韓山)
충청도 남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이곡(李穀) 등을 배향한 문헌서원(文獻書院)이 있으며, 지금은 충청남도 서천군(舒川郡)에 속함.
충청도>한산 , 지명>행정지명
-
마산(馬山) - 면천(沔川)
충청남도 당진(唐津)에 있는 고을 이름.
충청도>면천 , 지명>행정지명
-
마산(麻山) - 마감산(麻甘山)
경상도 안동(安東)의 서쪽에 위치한 산 이름. 이황(李滉)의 문인인 권호문(權好文)의 묘가 있음.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마산정(馬山亭) - 호호정(浩浩亭)
조선 전기에 읍청(挹淸) 박사종(朴嗣宗)이 충청도 영동(永同)에 건립한 누정(樓亭). 임진왜란 때 소실(燒失)되었으나 1959년 복원하고서 호서루(湖西樓)로 개명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영동 , 유적>건물>누정
-
마상옹(馬上翁) - 고조(高祖)@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대 황제. 재위 B.C.202~B.C.195. 항우(項羽)와 패권을 다투었으며, 천하통일의 대업을 이룩함.
B.C.247?~B.C.19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마상지내옹(馬上之乃翁) - 고조(高祖)@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1대 황제. 재위 B.C.202~B.C.195. 항우(項羽)와 패권을 다투었으며, 천하통일의 대업을 이룩함.
B.C.247?~B.C.195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마성군(麻城君) - 서익(徐益)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문장과 도덕 등이 뛰어나 이이(李珥)ㆍ정철(鄭澈)로부터 지우(志友)로 인정받았으며, 의주 목사(義州牧使)를 지낼 때 탄핵당한 이이를 변호하다가 파직됨.
1542~158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익산 , 인명>관인>문신
-
마수(麻叟) - 홍일동(洪逸童)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세조 즉위 후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고, 두 차례 사신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옴. 선위사(宣慰使)의 직함을 띠고 명승지를 유람하던 중 홍주(洪州)에서 죽음.
?~146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마시(馬試) - 사마시(司馬試)
조선시대의 과거 제도의 하나. 생원시(生員試)와 진사시(進士試)로 구성되는데, 생원시는 오경의(五經義)와 사서의(四書疑)의 제목으로 유교 경전에 관한 지식을, 진사시는 부(賦)와 시(詩)의 제목으로 문예 창작의 재능을 시험함. 초시(初試)와 복시(覆試)로 진행되고, 대과(大科)를 볼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됨.
1393 한국>조선시대 , 법제>제도
-
마애(磨厓) - 권예(權輗)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일파 구원에 앞장섰고, 김안로(金安老)와 함께 복성군 옥사(福城君獄死)를 일으켜 심정(沈貞)ㆍ성세창(成世昌) 등을 파직ㆍ사사(賜死)시킴.
1495~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마연(馬淵) - 마렵연(馬鬣淵)
황해도 장련(長連)에 있는 못 이름. 구월산(九月山) 중턱에서 흘러나와서 부연(釜淵), 요연(腰淵)과 합쳐져 서쪽 바다로 흘러들어감.
황해도>장련 , 지명>자연지명
-
마운두성(劘雲頭城) - 운두성(雲頭城)
함경도 회령(會寧) 서쪽 50리 지점에 있던 석성(石城). 둘레는 10여 리로, 산세가 험준하고 두만강(豆滿江)이 그 밑을 둘러싸면서 흘러 천연적인 요새를 이룸.
함경도>회령 , 유적>시설>성,진,책
-
마읍(馬邑) - 한산(韓山)
충청도 남서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이곡(李穀) 등을 배향한 문헌서원(文獻書院)이 있으며, 지금은 충청남도 서천군(舒川郡)에 속함.
충청도>한산 , 지명>행정지명
-
마의구공자(麻衣舊公子) - 마의태자(麻衣太子)
신라 제56대 경순왕(敬順王)의 아들. 신라가 후백제 견훤(甄萱)과 고려 태조 왕건(王建)의 세력에 항복하자, 개골산(皆骨山)에 들어가 베옷을 입고 초근목피로 여생을 보냄.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왕자
-
마이봉(馬耳峯) - 마이산(馬耳山)
전라도 진안(鎭安) 남쪽에 있는 산 이름. 두 개의 암봉(岩峰)으로 이루어진 산으로, 동봉(東峰)과 서봉(西峰)의 모양이 말의 귀처럼 생겼다 하여 마이산(馬耳山)이라는 이름이 붙음.
전라도>진안 , 지명>자연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