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마자(馬訾) - 압록강(鴨綠江)
함경도 백두산(白頭山) 천지(天池) 부근에서 발원하여 우리나라와 만주(滿洲)의 경계를 이루며 서해(西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제일 긴 강으로, 물빛이 오리의 머리 빛깔과 같아 이름함.
함경도>갑산ㅣ평안도>의주 , 지명>자연지명
-
마자수(馬訾水) - 압록강(鴨綠江)
함경도 백두산(白頭山) 천지(天池) 부근에서 발원하여 우리나라와 만주(滿洲)의 경계를 이루며 서해(西海)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제일 긴 강으로, 물빛이 오리의 머리 빛깔과 같아 이름함.
함경도>갑산ㅣ평안도>의주 , 지명>자연지명
-
마자장(馬子長) - 사마천(司馬遷)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ㆍ학자. 흉노(匈奴)에 투항한 벗 이릉(李陵)을 변호하다 궁형(宮刑)에 처해졌으나 고난을 극복하고 아버지인 사마담(司馬談)의 뒤를 이어 《사기(史記)》를 완성함. 중서령(中書令)을 지냄.
B.C.145?~B.C.86?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마자재(馬子才) - 마존(馬存)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 초주(楚州)에 살았으며, 〈연사정(燕思亭)〉이라는 시에서 이백(李白)을 노래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마장(麻杖) - 삼가(三嘉)
경상도 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명승지로 용암서원(龍巖書院)과 관수루(觀水樓)ㆍ유린서정(有麟西亭) 등이 있음. 후에 거창(居昌)과 합천(陜川) 등에 분속됨.
경상도>삼가 , 지명>행정지명
-
마재(磨齋) - 이총(李𤄓)
조선 전기의 종친. 세조(世祖)의 첫 번째 서자인 덕원군(德源君) 이서(李曙)의 아들로, 조광조(趙光祖)와 교유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연좌되어 울산(蔚山)으로 유배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마전군(麻田君) - 왕우(王瑀)@공양왕의동생
고려 공양왕(恭讓王) 때의 종친. 신종(神宗)의 7대손이며 공양왕(恭讓王)의 아우. 조선 개국 후 왕씨 일족이 유폐될 때, 고려 왕조의 제사를 받들기 위해 화를 면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마전천(麻田淺) - 마전(麻田)
경기도 연천(漣川)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경기도>연천 , 지명>행정지명
-
마조(馬曹) - 왕휘지(王徽之)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서예가. 왕희지(王羲之)의 아들로, 자유분방한 성격을 지녔고 대나무 그림에 능했음.
?~38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마조(馬祖) - 도일(道一)
중국 당(唐) 나라의 선승(禪僧). 남악 회양(南岳懷讓)의 법을 이어 종풍(宗風)을 일시에 융성시키고, 후일 임제종(臨濟宗)으로 발전함. 일상생활 속에서 선(禪)을 실천하는, '평생심시도(平生心是道)'를 주창함.
709~788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마주(馬州) - 대마도(對馬島)
일본 장기현(長崎縣)에 속한 섬 이름. 한국과 일본의 중계지(中繼地) 역할을 하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일본 수군의 근거지였음.
일본 , 지명>자연지명
-
마주후(馬州侯) - 종의지(宗義智)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문신. 대마도주(對馬島主)로서 임진왜란 때 풍신수길(豐臣秀吉)과 함께 군대를 이끌고 조선에 옴. 가신(家臣) 유천조신(柳川調信)의 보필로 풍신수길의 심복이 됨.
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문신
-
마진(馬津) - 예산(禮山)
충청도 중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온양군(溫陽郡), 서쪽으로 덕산현(德山縣)과 접해 있음. 오현(烏縣)으로 불리며 반포조(反哺鳥) 까마귀와 같은 효의 고장으로 이름 높음.
충청도>예산 , 지명>행정지명
-
마진(麻津) - 마포(麻浦)
서울 한강(漢江)에 있는 나루터 이름. 예로부터 한강의 대표적인 나루터로, 경기도의 농산물과 황해도의 수산물 집산지의 역할을 함.
서울 , 지명>행정지명
-
마천(摩天) - 곽마천(霍摩天)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선제(宣帝) 때 대장군(大將軍)을 지낸 곽광(霍光)의 아들.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마천(馬遷) - 사마천(司馬遷)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ㆍ학자. 흉노(匈奴)에 투항한 벗 이릉(李陵)을 변호하다 궁형(宮刑)에 처해졌으나 고난을 극복하고 아버지인 사마담(司馬談)의 뒤를 이어 《사기(史記)》를 완성함. 중서령(中書令)을 지냄.
B.C.145?~B.C.86?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마천자(麻川子) - 홍일동(洪逸童)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세조 즉위 후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고, 두 차례 사신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옴. 선위사(宣慰使)의 직함을 띠고 명승지를 유람하던 중 홍주(洪州)에서 죽음.
?~146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마하가섭(摩訶迦葉) - 가섭(迦葉)
고대 인도의 승려. 석가(釋迦)의 십대(十大) 제자 중 한 사람. 본래 바라문으로, 석가가 성도(成道)한 지 3년쯤 뒤에 귀의하여 부처의 심인(心印)을 전해 받은 사람.
고대 , 기타지역 , 인명>종교인>승려
-
마하갑(摩訶岬) - 오관산(五冠山)
경기도 장단(長湍) 서쪽에 있는 산. 산꼭대기에 다섯 개의 작은 봉우리가 관(冠)처럼 둥그렇게 생겼으므로 오관산이라 부름. 이 산에 살던 효자 문충(文忠)의 이야기와 관련해 〈오관산곡(五冠山曲)〉이 전함.
경기도>장단 , 지명>자연지명
-
마하반야바라밀경석론(摩訶般若波羅蜜經釋論) - 대지도론(大智度論)
인도의 승려ㆍ학자인 용수(龍樹)가 저술한 《대품반야경(大品般若經)》의 주석서.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백과사전적 저작으로, 용수의 산스크리트 원전(原典)은 없고, 구마라습(鳩摩羅什)이 번역한 한역본(漢譯本) 100권만이 전함.
기타지역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