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마하반야석론(摩訶般若釋論) - 대지도론(大智度論)
인도의 승려ㆍ학자인 용수(龍樹)가 저술한 《대품반야경(大品般若經)》의 주석서.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백과사전적 저작으로, 용수의 산스크리트 원전(原典)은 없고, 구마라습(鳩摩羅什)이 번역한 한역본(漢譯本) 100권만이 전함.
기타지역 , 문헌>서명
-
마한왕(馬韓王) - 준왕(準王)
고대 기자조선(箕子朝鮮)의 마지막 국왕. 망명하여 온 연(燕) 나라 사람 위만(衛滿)이 모반을 일으키자 마한(馬韓) 땅으로 도망하여 유민(流民)을 수습하고 한왕(韓王)이라 칭하였음.
고대 , 인명>왕실>국왕
-
마해(馬海) - 대마도(對馬島)
일본 장기현(長崎縣)에 속한 섬 이름. 한국과 일본의 중계지(中繼地) 역할을 하였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일본 수군의 근거지였음.
일본 , 지명>자연지명
-
마향(麻鄕) - 마전(麻田)
경기도 연천(漣川) 일대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경기도>연천 , 지명>행정지명
-
마홀(馬忽) - 포천(抱川)
경기도 북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북쪽으로 강원도 철원(鐵原)을 접하고 있음.
경기도>포천 , 지명>행정지명
-
마화상(馬和尙) - 도일(道一)
중국 당(唐) 나라의 선승(禪僧). 남악 회양(南岳懷讓)의 법을 이어 종풍(宗風)을 일시에 융성시키고, 후일 임제종(臨濟宗)으로 발전함. 일상생활 속에서 선(禪)을 실천하는, '평생심시도(平生心是道)'를 주창함.
709~788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마황후(馬皇后) - 명덕마황후(明德馬皇后)
중국 후한(後漢) 명제(明帝)의 황후. 외척들이 정사(政事)에 간섭하지 못하도록 했으며, 검소하게 생활한 것으로 유명함.
?~7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마후(馬后) - 명덕마황후(明德馬皇后)
중국 후한(後漢) 명제(明帝)의 황후. 외척들이 정사(政事)에 간섭하지 못하도록 했으며, 검소하게 생활한 것으로 유명함.
?~7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마희범(馬希範) - 문소왕(文昭王)
중국 오대십국 초(楚) 나라의 왕. 재위 932~947.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마힐(摩詰) - 왕유(王維)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화가ㆍ문신. 산수화에 능하고, 문인화(文人畫)의 시조로 추앙됨.
699~759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막래(莫來) - 모본왕(慕本王)
고구려 제5대 왕. 재위 48~53. 제3대 대무신왕(大武神王)의 아들로 49년에 한(漢) 나라를 공격하였다가 화친을 맺었으며, 성품이 사납고 정사를 돌보지 않아 백성들의 원망을 듣고 있던 가운데 신하 두로(杜魯)에게 피살됨.
?~53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막막상인(莫莫上人) - 자휴(自休)
고려 후기의 승려. 정추(鄭樞)의 《원재고(圓齋槀)》에 송시(送詩)가 실려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막야(莫邪) - 막야검(莫耶劍)
고대 보검(寶劍)의 하나. 전설상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간장(干將)이 주조하여 오왕(吳王) 합려(闔閭)에게 바쳤다는 두 자루 칼 중에 자검(雌劍).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막야(鏌鎁) - 막야검(莫耶劍)
고대 보검(寶劍)의 하나. 전설상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간장(干將)이 주조하여 오왕(吳王) 합려(闔閭)에게 바쳤다는 두 자루 칼 중에 자검(雌劍).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막야검(莫邪劍) - 막야검(莫耶劍)
고대 보검(寶劍)의 하나. 전설상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간장(干將)이 주조하여 오왕(吳王) 합려(闔閭)에게 바쳤다는 두 자루 칼 중에 자검(雌劍).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막야검(鏌邪劍) - 막야검(莫耶劍)
고대 보검(寶劍)의 하나. 전설상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간장(干將)이 주조하여 오왕(吳王) 합려(闔閭)에게 바쳤다는 두 자루 칼 중에 자검(雌劍).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막야검(鏌鎁劍) - 막야검(莫耶劍)
고대 보검(寶劍)의 하나. 전설상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간장(干將)이 주조하여 오왕(吳王) 합려(闔閭)에게 바쳤다는 두 자루 칼 중에 자검(雌劍).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만(晩) - 장만(張晩)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1591년(선조 24)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팔도 도원수(八道都元帥)ㆍ평안도 병마절도사(平安道兵馬節度使) 등을 지냄. 1624년(인조 2)에 이괄(李适)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진무공신(振武功臣)에 책록됨. 저서로 《낙서집(洛西集)》이 있음.
1566~162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만(漫) - 신만(申漫)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세종(世宗) 때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문희공(文僖公) 신개(申槩)의 후손. 경상 좌수사(慶尙左水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만(萬) - 권만(權萬)
조선 경종(景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두굉(權斗紘)의 아들로, 이인좌(李麟佐)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움.
1688~174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