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마힐(摩詰) - 왕유(王維)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화가ㆍ문신. 산수화에 능하고, 문인화(文人畫)의 시조로 추앙됨.
699~759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막래(莫來) - 모본왕(慕本王)
고구려 제5대 왕. 재위 48~53. 제3대 대무신왕(大武神王)의 아들로 49년에 한(漢) 나라를 공격하였다가 화친을 맺었으며, 성품이 사납고 정사를 돌보지 않아 백성들의 원망을 듣고 있던 가운데 신하 두로(杜魯)에게 피살됨.
?~53 한국>고구려 , 인명>왕실>국왕
-
막막상인(莫莫上人) - 자휴(自休)
고려 후기의 승려. 정추(鄭樞)의 《원재고(圓齋槀)》에 송시(送詩)가 실려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막야(莫邪) - 막야검(莫耶劍)
고대 보검(寶劍)의 하나. 전설상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간장(干將)이 주조하여 오왕(吳王) 합려(闔閭)에게 바쳤다는 두 자루 칼 중에 자검(雌劍).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막야(鏌鎁) - 막야검(莫耶劍)
고대 보검(寶劍)의 하나. 전설상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간장(干將)이 주조하여 오왕(吳王) 합려(闔閭)에게 바쳤다는 두 자루 칼 중에 자검(雌劍).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막야검(莫邪劍) - 막야검(莫耶劍)
고대 보검(寶劍)의 하나. 전설상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간장(干將)이 주조하여 오왕(吳王) 합려(闔閭)에게 바쳤다는 두 자루 칼 중에 자검(雌劍).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막야검(鏌邪劍) - 막야검(莫耶劍)
고대 보검(寶劍)의 하나. 전설상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간장(干將)이 주조하여 오왕(吳王) 합려(闔閭)에게 바쳤다는 두 자루 칼 중에 자검(雌劍).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막야검(鏌鎁劍) - 막야검(莫耶劍)
고대 보검(寶劍)의 하나. 전설상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吳) 나라의 간장(干將)이 주조하여 오왕(吳王) 합려(闔閭)에게 바쳤다는 두 자루 칼 중에 자검(雌劍).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만(晩) - 장만(張晩)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1591년(선조 24)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팔도 도원수(八道都元帥)ㆍ평안도 병마절도사(平安道兵馬節度使) 등을 지냄. 1624년(인조 2)에 이괄(李适)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진무공신(振武功臣)에 책록됨. 저서로 《낙서집(洛西集)》이 있음.
1566~162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만(漫) - 신만(申漫)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세종(世宗) 때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문희공(文僖公) 신개(申槩)의 후손. 경상 좌수사(慶尙左水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무신
-
만(萬) - 권만(權萬)
조선 경종(景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권두굉(權斗紘)의 아들로, 이인좌(李麟佐)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움.
1688~174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만(蔓) - 노만(盧蔓)
고려시대의 문신. 광산백(光山伯) 노해(盧垓)의 후손으로, 광주노씨(光州盧氏)의 일세조(一世祖) 중 한 사람. 정승을 지내고 광주군(光州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시대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만(𡩄) - 구만(具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능성(綾城)이며, 구사중(具思仲)의 아들. 1583년(선조 16)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좌랑(禮曹佐郞) 등을 지냄.
1558~159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만각(晩慤) - 이만각(李晩慤)
조선 고종(高宗) 때의 학자. 본관은 진보(眞寶)로, 정재(定齋) 유치명(柳致明)의 조카. 경학연구 및 후진양성에 진력하였으며, 저서로 《신암문집(愼庵文集)》이 있음.
1815~187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인명>문사>학자
-
만간(萬幹) - 이만간(李萬幹)
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 이인전(李仁全)의 아버지로, 헌납(獻納)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만강(滿江) - 두만강(豆滿江)
백두산(白頭山)에서 발원하여 한반도 북동부 지역을 거쳐 동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긴 강.
함경도>회령ㅣ함경도>온성ㅣ함경도>경흥ㅣ함경도>경원 , 지명>자연지명
-
만강(萬江) - 두만강(豆滿江)
백두산(白頭山)에서 발원하여 한반도 북동부 지역을 거쳐 동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긴 강.
함경도>회령ㅣ함경도>온성ㅣ함경도>경흥ㅣ함경도>경원 , 지명>자연지명
-
만강(蠻江) - 민강(閩江)
중국 복건성(福建省)에 있는 강 이름. 복건성 선하령산맥(仙霞嶺山脈)을 발원지로 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만경(曼卿) - 석연년(石延年)
중국 송(宋) 진종(眞宗) 때의 문신ㆍ문인. 기상과 절개에 심취하여 세상사에 등한하였으며, 문필이 강건하고 시에 능하여 소순흠(蘇舜欽)ㆍ매요신(梅堯臣) 등과 함께 이름을 떨침.
994~1041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만경리(萬經理) - 만세덕(萬世德)
중국 명(明) 나라의 장수.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 양호(楊鎬)를 대신하여 파견된 명 나라 장수.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