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만계(彎溪) - 채신보(蔡申保)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천(仁川). 필선(弼善)을 지낸 채륜(蔡倫)의 아들로, 평해 현감(平海縣監)ㆍ남양 부사(南陽府使)를 지냄.
1419~148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음성 , 인명>관인>문신
-
만계(灣溪) - 김광찬(金光纘)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광산(光山). 월천(月川) 조목(趙穆)의 사위로, 유일재(惟一齋) 김언기(金彦璣)의 문인(門人).
156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유학
-
만과(萬科) - 무과(武科)
조선시대에 무관(武官)을 선발하기 위해 실시한 과거. 대개 3년마다 한 번씩 식년(式年)에 실시하였으며, 초시(初試)ㆍ복시(覆試)ㆍ전시(殿試)의 3단계를 거쳐 선발함.
1408 한국>조선시대 , 법제>제도
-
만관(蠻館) - 옥하관(玉河館)
중국 북경(北京) 서쪽으로 흐르는 사하(沙河)의 옥하교(玉河橋) 위에 있던 관소(館所)의 이름. 우리나라 사신(使臣)의 숙소로 이용되었음.
중국>청 , 중국 , 유적>건물>관사
-
만귀(晚歸) - 조수륜(趙守倫)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풍양(豐壤). 성혼(成渾)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동문들과 함께 《우계집(牛溪集)》을 편집ㆍ출간함. 평택 현감(平澤縣監) 등을 지냈으나, 신율(申慄)의 역옥(逆獄)에 연루되어 옥사(獄死)함.
1555~161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만균(萬均) - 김만균(金萬均)
조선 효종(孝宗)~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김장생(金長生)의 증손자로, 김익희(金益熙)의 아들이며 강원 감사(江原監司) 김진옥(金鎭玉)의 아버지. 교리(校理)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1631~167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만균(萬鈞) - 김만균(金萬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안로(金安老)를 탄핵하여 삭직되었다가 김안로가 축출되자 다시 서용되어 교리 등의 관직을 지내고,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495~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만근(萬根) - 임만근(林萬根)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부정(副正) 임해(林畡)의 아버지로, 금산 군수(錦山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평택 , 인명>관인>문신
-
만근(萬謹) - 김만근(金萬謹)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의성(義城). 병절교위(秉節校尉) 김예범(金禮範)의 아버지로, 진사(進士)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문사>유학
-
만기(萬基) - 김만기(金萬基)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숙종의 국구(國舅)로, 김만중(金萬重)의 형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를 지내고,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에 봉해짐.
1633~168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만기당(晩起堂) - 김기후(金基厚)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순천(順天). 김윤안(金允安)의 아들로, 숙부(叔父)인 김윤문(金允文)에게 출계(出系)함. 1627년(인조 5)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582~16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만년(萬年)@태조 - 태조(太祖)@남북조(전연)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 전연(前燕)의 제1대 왕. 재위 337~348. 모용외(毛容廆)의 아들이자 모용각(慕容恪)의 아버지. 337년 연왕(燕王)이라 칭하고 조양(朝陽)에 도읍하였고, 342년 고구려를 공격하여 영토를 확장함.
297~34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만년(萬年) - 맹가(孟嘉)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인ㆍ현사(賢士). 풍류를 즐기고 문장을 잘 지어 유량(庾亮)ㆍ환온(桓溫)의 사랑을 받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만년(萬年)@귀성 - 귀성(龜城)
평안도에 있는 고을 이름. 고려 성종(成宗) 때 강동육주(江東六州)를 설치한 지역 가운데 하나이며, 국방상의 요충지로 중시됨.
평안도>귀성 , 지명>행정지명
-
만달(萬達) - 송만달(宋萬達)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무신. 본관은 여산(礪山). 내자시 소윤(內資寺少尹)을 지낸 송진생(宋辰生)의 아들이고 여량부원군(礪良府院君) 송공손(宋恭孫)의 아버지로, 경원 부사(慶源府使)를 지냄.
1397~14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관인>무신
-
만당(漫塘) - 유재(劉宰)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 진사(進仕)에 급제하였으나 은거하여 저술활동을 하였고, 저서로 《만당집(漫塘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만대(晩對) - 서취병산(西翠屛山)
경상북도 안동(安東)에 있는 산 이름. 도산(陶山)의 오른쪽에 있는 영지산(靈芝山)의 지류이며, 도산 왼쪽에는 청량산(淸涼山)의 지류인 동취병산(東翠屛山)이 있음.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만덕(晩德) - 김대기(金大器)
조선 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정철(鄭澈)의 문인으로 정홍명(鄭弘明) 형제 및 조홍립(曺弘立) 등과 교유함.
1557~162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학자
-
만덕사(萬德寺) - 백련사(白蓮寺)
통일신라 흥덕왕(興王德) 때 국사(國師) 무염(無染)이 전라도 무주(茂朱) 덕유산 안에 창건한 사찰. 1820년(순조 2)에 혜언(慧彦)이 백련사에서 화엄회(華嚴會)를 개설하고, 1900년(광무 4) 무주 부사(茂朱府使) 이하섭(李夏燮)이 가람을 중수함.
830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무주 , 유적>건물>사찰
-
만덕선생(晩德先生) - 김대기(金大器)
조선 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정철(鄭澈)의 문인으로 정홍명(鄭弘明) 형제 및 조홍립(曺弘立) 등과 교유함.
1557~162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