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만도(晩燾) - 이만도(李晩燾)
조선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학자ㆍ독립운동가. 을미사변(乙未事變) 때 예안(禮安)에서 의병장으로 활약하였으나, 조선이 일제(日帝)에 의해 병탄(倂呑)되자 단식(斷食)하던 중 순국함.
1842~1910 한국>근대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만랑(漫郞) - 원결(元結)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전란으로 인한 인민의 고통과 사회상에 눈길을 돌린 작품이 많았으며, 표현의 기교보다는 내용을 중시하였음.
723~77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만랑수(漫浪叟) - 원결(元結)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전란으로 인한 인민의 고통과 사회상에 눈길을 돌린 작품이 많았으며, 표현의 기교보다는 내용을 중시하였음.
723~77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만랑수(漫郞叟) - 원결(元結)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ㆍ시인. 전란으로 인한 인민의 고통과 사회상에 눈길을 돌린 작품이 많았으며, 표현의 기교보다는 내용을 중시하였음.
723~772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만력지역(萬曆之役) - 임진왜란(壬辰倭亂)
조선 선조(宣祖)때 우리 나라를 침입한 일본과의 전란. 1592년(선조 25)부터 시작되었으며, 해상에서 이순신(李舜臣)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육상에서 이일(李鎰)ㆍ신립(申砬) 등이 패하여 선조가 의주로 파천함. 명(明) 나라의 원병과 권율(權慄)의 활약으로 화의했으나, 일본은 1597년(선조 30)에 재침략하여 다음해에 물러감.
1592 한국>조선후기 , 사건>전쟁
-
만력황제(萬曆皇帝) - 신종(神宗)@명
중국 명(明) 나라 제14대 황제. 재위 1572~1620. 목종(穆宗)의 셋째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출병과 가혹한 징세로 국력을 약화시킴.
1563~1620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만로(巒老) - 정지운(鄭之雲)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경주(慶州)로, 정인필(鄭寅弼)의 아들. 김정국(金正國)ㆍ김안국(金安國)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수기지학(修己之學)을 실천하며 《천명도설(天命圖說)》 등을 저술함.
1509~156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고양 , 인명>문사>학자
-
만륙(晩六) - 최양(崔瀁)
고려 우왕(禑王) 때의 문신.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를 지낸 최지(崔贄)의 아들. 외삼촌인 정몽주(鄭夢周)에게 수학하고 문하찬성사를 지냈으며, 고려가 망하자 전주(全州)에 은거함.
1351~1424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관인>문신
-
만리(萬理) - 차운로(車雲輅)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차식(車軾)의 아들. 1583년(선조 16)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전의 현감(全義縣監)ㆍ봉상시 판관(奉常寺判官) 등을 지냄. 시(詩)에 능하여 아버지 차식과 형 차천로(차天輅)와 함께 삼소(三蘇)에 비견됨.
1559~?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만리(萬里)@방회 - 방회(方回)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문인. 《영규율수(瀛奎律髓)》 등을 편찬함.
1227~1307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만리(萬里) - 장운익(張雲翼)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로, 우의정(右議政) 장유(張維)의 아버지.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扈從)하고, 정유재란 때 접반사(接伴使)가 되어 명(明) 나라 제독 마귀(麻貴)를 영접한 공이 있어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좌찬성(左贊成)에 증직됨.
1561~15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만리(萬里)@양만리 - 양만리(楊萬里)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 비서감(秘書監)을 지내고, 사부(詞賦)에 뛰어나 육유(陸游)ㆍ범성대(范成大)ㆍ우무(尤袤)와 더불어 남송사대가(南宋四大家)로 일컬어짐.
1127~1279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만리선(萬里仙) - 서엄(徐崦)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박학다식하고 문장에 능하였으며,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 등을 역임함.
1529~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만리성(萬里城) - 만리장성(萬里長城)
중국 북부와 몽고 경계에 있는 성(城) 이름. 중국 역대 왕조가 변방을 방어하기 위해 축조한 성으로 진(秦) 시황제(始皇帝)가 완성함.
중국>진 , 중국 , 유적>시설>성,진,책
-
만리장성(萬里長城)@천리장성 - 천리장성(千里長城)
고구려 말기와 고려 덕종(德宗) 때 서북 국경에 건립된 장성. 고구려 말에 당(唐) 나라의 침입을 막기 위해 요동(遼東) 지방에 쌓은 토축성이 있고, 고려 덕종 때 북방 유목민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압록강(鴨綠江) 어귀로부터 함경도 동해안에 이르는 1000여 리에 쌓은 석축성이 있음.
한국>고려시대ㅣ한국>고구려 , 중국 , 유적>시설>성,진,책
-
만리헌(萬里軒) - 서엄(徐崦)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박학다식하고 문장에 능하였으며,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 등을 역임함.
1529~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만만파파식적(萬萬波波息笛) - 만파식적(萬波息笛)
신라 제31대 신문왕(神文王) 때 용으로부터 영험스런 대나무를 얻어 만들었다는 전설상의 피리. 이것을 불면 소원을 이루게 되므로 나라의 보물로 삼아 효소왕(孝昭王) 때 만만파파식적(萬萬波波息笛)이라고 가호(加號)하였는데 현존하지 않음.
682 한국>통일신라 , 물품>기타용품>악기
-
만문재(晩聞齋) - 이인행(李仁行)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이관섭(李觀燮)의 아들로, 세자익위사 익위(世子翊衛司翊衛) 등을 지냄. 경사(經史)에 두루 능통하여 서연(書筵)에 입시하여 진강하기도 함.
1758~18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만보당(晩保堂) - 김수동(金壽童)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에 봉해졌으며, 삼포왜란(三浦倭亂)을 진압함.
1457~151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만부(萬敷) - 이만부(李萬敷)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학자. 본관은 연안(延安).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이옥(李沃)의 아들로, 북청(北靑)에 유배된 아버지를 모시면서 벼슬을 단념하고 학문연구에 진력함.
1664~173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연안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