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만비(萬庇) - 윤만비(尹萬庇)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첨의중찬(僉議中贊) 윤석(尹碩)의 아버지로, 1303년(충렬왕 29) 홍자번(洪子藩) 등과 함께 간신 오잠(吳潛)의 처벌을 요청하였으며, 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만사(晚沙) - 서경우(徐景雨)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달성(達城).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낸 서성(徐渻)의 아들로, 형조 판서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573~164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만사(晩沙)@심지원 - 심지원(沈之源)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원래 이이첨(李爾瞻)의 대북파(大北派)였으나 광해군 때 은거하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 후에 기용되어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냈으며, 영천(永川) 송곡서원(松谷書院)에 제향됨.
1593~166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만사(晩沙)@이상길 - 이상길(李尙吉)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 1602년(선조 35) 정인홍(鄭仁弘)ㆍ최영경(崔永慶) 등을 정여립(鄭汝立)의 일당으로 몰아 추론한 죄로 유배됨.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강화도에 들어갔다가 1637년(인조15)에 자결함. 이항복(李恒福) 등과 교유함.
1556~163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만사(晩沙) - 이경의(李景義)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군량을 조달하고 어가(御駕)를 호종하였으며, 이조 참판(吏曹參判) 등을 역임함. 이안눌(李安訥)과 친교를 맺었으며 문장가로 이름이 높았음.
1590~164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만상(灣上) - 의주(義州)
평안북도 북서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 북서쪽으로 압록강(鴨綠江)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경계를 이루고 있음. 993년(성종 12) 서희(徐熙)의 활약으로 고려에 편입된 강동6주(江東六州)의 하나.
평안도>의주 , 지명>행정지명
-
만석(晩錫) - 정만석(鄭晩錫)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홍경래(洪景來)의 난 때 관서위무사(關西慰撫使)로 파견되고, 평안 감사(平安監司)가 되어 홍경래 관련 죄인들의 문초를 담당함. 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758~18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만석(曼碩)@게혜사 - 게혜사(揭傒斯)
중국 원(元) 나라의 문인. 양재(楊載)ㆍ범곽(范椁)ㆍ우집(虞集)과 함께 원시사대가(元詩四大家), 또는 유관(柳貫)ㆍ황진(黃溍)ㆍ우집과 함께 유림사걸(儒林四傑)로 불림.
1274~1344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만석(曼碩) - 정총(鄭摠)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지낸 정추(鄭樞)의 아들.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냈으며 문장에 능하여 《고려사(高麗史)》 편찬에 참여했고, 중국으로 보내는 표전문(表箋文) 등을 많이 지음.
1358~139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만석(萬石) - 석분(石奮)
중국 한(漢) 고조(高祖)~경제(景帝) 때의 대부. 관직이 구경(九卿)에 이르렀으며, 그와 네 아들이 모두 현달(顯達)하여 받는 녹이 1만 석이나 되었으므로 만석군(萬石君)이라 일컬어짐.
?~B.C.12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만석가(萬石家) - 석분(石奮)
중국 한(漢) 고조(高祖)~경제(景帝) 때의 대부. 관직이 구경(九卿)에 이르렀으며, 그와 네 아들이 모두 현달(顯達)하여 받는 녹이 1만 석이나 되었으므로 만석군(萬石君)이라 일컬어짐.
?~B.C.12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만석경(萬石卿) - 석분(石奮)
중국 한(漢) 고조(高祖)~경제(景帝) 때의 대부. 관직이 구경(九卿)에 이르렀으며, 그와 네 아들이 모두 현달(顯達)하여 받는 녹이 1만 석이나 되었으므로 만석군(萬石君)이라 일컬어짐.
?~B.C.12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만석군(萬石君) - 석분(石奮)
중국 한(漢) 고조(高祖)~경제(景帝) 때의 대부. 관직이 구경(九卿)에 이르렀으며, 그와 네 아들이 모두 현달(顯達)하여 받는 녹이 1만 석이나 되었으므로 만석군(萬石君)이라 일컬어짐.
?~B.C.12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만석현(萬石賢) - 석분(石奮)
중국 한(漢) 고조(高祖)~경제(景帝) 때의 대부. 관직이 구경(九卿)에 이르렀으며, 그와 네 아들이 모두 현달(顯達)하여 받는 녹이 1만 석이나 되었으므로 만석군(萬石君)이라 일컬어짐.
?~B.C.124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만성(晩成) - 이만성(李晩成)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우봉(牛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학문과 정치에 밝았으며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영암(靈巖)의 죽정서원(竹亭書院)에 제향됨.
1659~172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우봉 , 인명>관인>문신
-
명원황제(明元皇帝) - 명원제(明元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2대 황제. 재위 409~423.
392~42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명월(明月) - 황진이(黃眞伊)
조선 종종(中宗) 때의 기생. 한시(漢詩)와 시조에 뛰어났는데 시조 6수가 《청구영언(靑丘永言)》에 전하며, 서경덕(徐敬德)ㆍ박연폭포(朴淵瀑布)와 더불어 송도삼절(松都三絶)로 불림.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술인>기생
-
명윤(明允)@소순 - 소순(蘇洵)
중국 송(宋) 나라의 문인ㆍ학자.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예리한 논법(論法)과 정열적인 평론(評論)으로 구양수(歐陽修)의 인정을 받아 명성을 떨쳤으며, 아들 소식(蘇軾)ㆍ소철(蘇轍)과 함께 ‘삼소(三蘇)’로 일컬어짐.
1009~106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명윤(明允) - 김순(金洵)
조선 전기의 문신. 명천 현감(明川縣監)을 지냈으며, 임형수(林亨秀)와 칠보산(七寶山)을 유람한 내용이《금호유고(錦湖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함경도>명천 , 인명>관인>문신
-
명윤(明允)@윤순 - 윤순(尹洵)
중종(中宗) 때의 문인. 본관은 남원(南原). 송순(宋純)ㆍ정만종(鄭萬鍾)ㆍ임억령(林億齡) 등과 시(詩)를 주고받으며 교의관계(交誼關係)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