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명의(明誼) - 송명의(宋明誼)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를 지냈으며, 고려의 국운이 쇠하자 고향으로 돌아가 은거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명의대비(明懿大妃) - 안순왕후(安順王后)
조선 제8대 예종(睿宗)의 계비(繼妃). 청주부원군(淸川府院君) 한백륜(韓伯倫)의 딸로, 1462년(세조 8)에 세자빈에 간택되고 예종이 즉위하자 왕비에 책봉되었으나 이듬해에 병사함. 소생으로는 제안대군(齊安大君)과 현숙공주(顯肅公主)가 있음.
?~149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명의왕태후(明懿王太后) - 명의태후(明懿太后)
고려 제15대 숙종(肅宗)의 비(妃). 본관은 정주(貞州).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유홍(柳洪)의 딸로, 예종(睿宗)을 비롯하여 7남 4녀를 낳음.
?~111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명이학명신록(明理學名臣錄) - 황명이학명신언행록(皇明理學名臣言行錄)
중국 명(明) 나라의 학자인 양렴(楊廉)이 설선(薛瑄) 등 명 나라 유학자 15인의 언행을 수집하여 편찬한 책. 2권.
1523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명인(命仁) - 신명인(申命仁)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인. 김식(金湜)의 문인(門人)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등 사림파의 구명을 위해 상소함. 정광필(鄭光弼)ㆍ안당(安瑭)ㆍ이장곤(李長坤)ㆍ김정(金淨)ㆍ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ㆍ기준(奇遵) 등과 함께 팔현(八賢)이라 불림.
149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문인
-
명일(明一) - 김명일(金明一)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의성(義城)으로, 이황(李滉)의 문인. 김진(金璡)의 아들로 5형제가 모두 학행으로 뛰어나 일가를 이룸.
1534~157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명일(明逸) - 충방(种放)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 때의 문신ㆍ은사. 종남산(終南山)에서 은거하다가 공부 시랑(工部侍郞) 등을 지냄. 진단(陳摶)에게 선천역학(先天易學)의 사상과 하도낙서(河圖洛書)의 비결을 전수받아 목수(穆修)ㆍ이개(李溉)ㆍ허견(許堅) 등에게 전했다 함.
955~1015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관인>문신
-
명재(明齋) - 윤증(尹拯)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윤선거(尹宣擧)의 아들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으로, 박세당(朴世堂)ㆍ박세채(朴世采)ㆍ민이승(閔以升) 등과 교유함. 후에 송시열과 대립하여 소론(少論)의 영수로 추대됨.
1629~171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이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명적(明寂) - 도의(道義)
통일신라시대의 승려. 가지산파(迦智山派)의 개조(開祖)로, 중국의 남종선(南宗禪)을 처음으로 들여옴. 당시인들이 무위법(無爲法)을 믿지 않자 설악산 진전사(陳田寺)에서 수도하다가 제자 염거(廉居)에게 처음으로 남종선(南宗禪)을 전하고 죽음.
한국>통일신라 , 강원도>양양 , 인명>종교인>승려
-
명정암(明正菴) - 계은(戒恩)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점필재집(佔畢齋集)》과 《독곡집(獨谷集)》에 그와 관련된 기록이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명정완(銘訂頑) - 서명(西銘)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장재(張載)가 학당(學堂)의 서쪽 창에 걸어놓은 글. 인의(仁義)에 입각한 유가(儒家)의 윤리설(倫理說)을 요약해서 서술한 것인데, 주희(朱熹)가 별도로 주(注)를 달아 해설하면서부터 세상에 크게 유행됨. 원래 명칭은 〈정완(訂頑)〉인데 정이(程頤)의 조언을 받아 개칭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명제(明帝)@효명제 - 효명제(孝明帝)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8대 황제. 재위 515~528. 선무제(宣武帝)를 이어 황제가 되었지만 20세의 젊은 나이로 요절(夭折)함.
509~52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명제(明帝) - 고조(高祖)@남북조(후조)
중국 남북조시대 후조(後趙)의 제1대 황제. 재위 319~333. 유능한 통치자로 알려짐.
274~33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명제기거주(明帝起居注) - 현종기거주(顯宗起居注)
중국 후한(後漢) 명제(明帝)의 황후인 명덕마황후(明德馬皇后)가 찬술한 명제에 관한 책. 황후의 오빠인 마방(馬防)이 의약(醫藥)에 참여한 일을 삭제하여, 외척들이 정사(政事)에 간섭하지 못하도록 하는 본보기를 보임.
중국>후한 , 중국 , 문헌>서명
-
명조(明照) - 예종(睿宗)@조선
조선의 제8대 국왕. 재위 1468~1469. 세조(世祖)의 아들로, 재위 1년 2개월 만에 20세의 나이로 요절함. 직전수조법(職田收租法)을 제정하고, 《경국대전(經國大典)》의 편찬을 완성함.
1450~14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명종(明宗) - 현종(玄宗)
중국 당(唐) 나라 제6대 황제. 재위 712~756. 예종(睿宗)의 셋째 아들로, 즉위 초에는 정사를 바로잡아 국내외의 부강과 안정을 다졌으나, 말년에는 양귀비(楊貴妃)와 향락에 빠져 안사(安史)의 난(亂)을 초래함.
685~762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명종(鳴鍾) - 김명종(金鳴鍾)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셋째 아들. 본관은 경주(慶州). 손국(遜國) 후 경주군(慶州君)에 봉해짐.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왕자
-
명종대왕실록(明宗大王實錄) - 명종실록(明宗實錄)@조선
조선 제13대 명종(明宗) 재위 22년간의 편년체(編年體) 기록. 춘추관 감사(春秋館監事) 홍섬(洪暹)이 주관하여 1571년(선조 4)에 완성 간행함.
157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명주(明洲) - 유여각(柳汝恪)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참찬(參贊) 유간(柳澗)의 아들로, 1613년(광해군 5)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동래 부사(東萊府使)ㆍ강계 부사(江界府使) 등을 지냄.
158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명주(溟州) - 강릉(江陵)
강원도의 태백산맥(太白山脈)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
강원도>강릉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