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명주군왕(溟州郡王) - 김주원(金周元)
통일신라 때의 왕족. 혜공왕(惠恭王) 때 이찬(伊飡)으로 시중(侍中)을 지내는 등 강성하였으나, 선덕왕(宣德王) 사후에 왕위계승전에서 패배하여 강릉으로 물러나 세력을 이루고 강릉김씨(江陵金氏)의 시조가 됨.
한국>통일신라 , 강원도>강릉 , 인명>왕실>종친
-
명주김씨(溟州金氏) - 강릉김씨(江陵金氏)
신라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의 5세손으로 시중(侍中)을 지내고 명주군왕(溟州郡王)에 봉해진 김주원(金周元)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통일신라 , 강원도>강릉 , 인명>집단>성씨
-
명준(命俊) - 이명준(李命俊)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로, 청강(淸江) 이제신(李濟臣)의 아들. 광해군(光海君) 때 유배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을 거쳐 복직되어 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1572~1630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명중(名仲) - 왕원(王遠)
중국 한(漢) 나라 환제(桓帝) 때의 선인(仙人). 그가 채경(蔡經)의 집에 내려와 선녀 마고(麻姑)를 불러왔는데, 마고가 그를 섬긴 이래 동해가 세 번 뽕밭으로 변하는 천지의 변화가 있었다고 설명한 데서 상전벽해(桑田碧海)라는 말이 유래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명중(明仲)@강섬 - 강섬(姜暹)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로, 강공망(姜公望)의 아들. 1546년(명종 1)에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ㆍ호조 판서(戶曹判書) 등을 지내고, 《중종실록(中宗實錄)》ㆍ《인종실록(仁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516~159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명중(明仲)@홍춘경 - 홍춘경(洪春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예문관 대교(藝文館待敎) 홍계정(洪係貞)의 아들로,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ㆍ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냄. 김생체(金生體)의 글씨에 능하고, 문장에 뛰어나 중종의 지문(誌文)을 지음.
1497~154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명중(明仲)@이문성 - 이문성(李文誠)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전의(全義). 예조 정랑(禮曹正郞)을 지낸 이제신(李濟臣)의 아버지로, 병마사(兵馬使)가 되어 왜구를 물리침.
1503~157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무신
-
명중(明仲)@송인 - 송인(宋寅)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여산(礪山). 중종의 부마로, 이황(李滉)ㆍ조식(曺植) 등과 교유하고, 시문(詩文)과 해서(楷書)에 뛰어남.
1517~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명중(明仲) - 김춘경(金春卿)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김인민(金仁民)의 아들로, 장례원 판결사(掌隸院判決事)를 지냄.
14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명중(明仲)@조준 - 조준(趙浚)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조덕유(趙德裕)의 아들로,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과전법(科田法)을 실시하여 토지제도를 정비하였으며, 하륜(河崙) 등과 함께 《경제육전(經濟六典)》을 편찬함.
1346~140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명중(明仲)@유형 - 유형(兪炯)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원(昌原). 유세건(兪世建)의 아들로, 양주 목사(楊州牧使)ㆍ청풍 군수(淸風郡守) 등을 역임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를 신구(伸救)하는 상소를 올림.
1482~152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명중(明仲)@윤탁 - 윤탁(尹倬)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중(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파평(坡平). 윤사은(尹師殷)의 아들이며, 김굉필(金宏弼)의 문인(門人)으로, 개성부 유수(開城府留守) 등을 역임하였고, 학문이 높아 조광조(趙光祖) 등에게 도학(道學)을 가르침.
1472~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명중(明仲)@이수생 - 이수생(李遂生)
고려 말~조선 초의 은자. 본관은 수안(遂安).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 중 한 사람으로, 길재(吉再)ㆍ이색(李穡) 등과 함께 수안(遂安)의 표리(票里)에 은거하여 고려에 대한 절개를 지킴.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수안 , 인명>기타인명>은자
-
명중(明仲)@유량 - 유량(柳亮)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조선 개국에 협력한 공으로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에, 방간(芳幹)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조선 초기 제도 확립에 크게 기여함.
1355~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명중(明仲)@유권 - 유권(柳睠)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직제학(直提學)ㆍ병조 참판(兵曹參判)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명중(明仲)@윤돈 - 윤돈(尹燉)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인. 벼슬을 그만두고 용인(龍仁)의 부곡(釜谷)에 거처하여 자연을 벗삼아 유유자적하였으며, 김안국(金安國)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문사>문인
-
명중(明仲)@이우 - 이우(李堣)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진보(眞寶)로, 이황(李滉)의 숙부. 중종반정(中宗反正)에 협력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되고, 안동 부사(安東府使) 등을 지냄. 시에 뛰어났고, 최숙생(崔淑生) 등의 사류와 교유함.
1469~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명중(明仲)@진돈 - 진돈(陳焞)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와 의례(儀禮)에 관해 문답한 바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명중(明仲)@유종지 - 유종지(柳宗智)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문화(文化).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노신(盧禛)ㆍ임훈(林薰)ㆍ최영경(崔永慶)ㆍ정구(鄭逑) 등과 교유하였으나, 정여립(鄭汝立) 모반사건에 연루되어 옥중에서 장살(杖殺)됨.
1546~158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명중(明仲)@윤환 - 윤환(尹晥)
조선 전기의 문신. 면천 군수(沔川郡守)를 지낼 때 중수(重修)한 면천객사중수기(沔川客舍重修記)가 《용재집(容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