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노기(盧麒)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강(安康). 권문해(權文海)ㆍ구봉령(具鳳齡)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노다손(盧多遜)
중국 송(宋) 나라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문신. 태조의 충신(忠臣) 조보(趙普)를 조정에서 축출해 정위(丁謂)와 함께 간신(奸臣)으로 불림. 태종 즉위 후 정승(政丞)을 지냈으나 진왕(秦王) 정미(廷美)의 모반 사건에 연루되어 배소(配所)에서 죽음.
934~985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노대성(盧大成)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로, 노형(盧詗)의 아들. 1549년(명종 4)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유헌집(游軒集)》에 〈차노경시(次盧景時)〉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문사>유학
-
노덕서원(老德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함경도 북청(北靑)에 세운 서원. 숙종(肅宗) 때 사액되었으며, 이항복(李恒福)ㆍ김덕함(金德諴)ㆍ정홍익(鄭弘翼)ㆍ이상진(李尙眞)ㆍ민정중(閔鼎重)ㆍ오두인(吳斗寅)ㆍ이세화(李世華)를 배향함.
1627 한국>조선후기 , 함경도>북청 , 유적>건물>서원,향교
-
노동(盧仝)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차(茶)를 노래한 것으로 유명함. 청렴한 인품을 가졌으며 조정에서 벼슬을 주었으나 끝내 사양함. 감로(甘露)의 변(變)에 휩쓸려서 죽었음.
775~835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노동미(盧東美)
중국 당(唐) 나라 대종(代宗) 때의 문인. 한회(韓會)ㆍ장정(張正)ㆍ최조(崔造) 등과 친하게 지내며, 함께 당세의 일을 논하면서 모두가 스스로 왕을 보필할 만한 재주라 일렀으므로 ‘사기(四夔)’로 불림. 한유(韓愈)로부터 어질다는 평가를 받음.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노랄수사(老辣瀡辭)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인 안방준(安邦俊)이, 연평부원군(延平府院君) 이귀(李貴)의 생애와 행적을 주제별로 편집한 책. 8편.
1651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노래의(老萊衣)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노래자가 늙어서도 어린아이처럼 색동옷을 입고 부모를 기쁘게 해드렸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부모에게 효도함을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노래자(老萊子)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의 노(魯) 나라의 효자. 70세에 색동옷을 입고 부모님을 즐겁게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노량(露梁)
경기도 과천(果川) 북쪽 한강(漢江) 하류에 있던 나루터. 전국에서 거둔 세곡(稅穀)과 특산물이 서해 뱃길을 따라 한강을 통해 서울로 갈 때 이들 물산의 최종 기착지 역할을 함. 지금의 서울 동작구(銅雀區)에 해당함.
경기도>과천 , 지명>행정지명
-
노림서원(魯林書院)
조선 효종(孝宗)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세운 서원. 선조(宣祖) 때의 학자 남치리(南致利)를 배향함.
165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노만(盧蔓)
고려시대의 문신. 광산백(光山伯) 노해(盧垓)의 후손으로, 광주노씨(光州盧氏)의 일세조(一世祖) 중 한 사람. 정승을 지내고 광주군(光州君)에 봉해짐.
한국>고려시대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노목(魯穆)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진사(進士)에 급제하여 우첨도어사(右僉都御史)를 지냄. 여러 번 봉사(封事)를 올려 받아들여지지는 않았지만 강직한 명성을 조정에 떨침.
1381~143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노미수(盧尾壽)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신창(新昌). 훈련원 습독관(訓練院習讀官) 노규부(盧赳夫)의 아들이며, 단성 현감(丹城縣監) 노집(盧輯)의 아버지로,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신창 , 인명>관인>무신
-
노보세(盧輔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동래 현령(東萊縣令)을 역임함. 《호음잡고(湖陰雜稿)》에 정사룡(鄭士龍)의 송시(送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노봉서원(露峯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전라도 남원(南原)에 세운 서원. 숙종(肅宗) 때 사액되었으며, 홍순복(洪順福)ㆍ최상중(崔尙重)ㆍ오정길(吳廷吉)ㆍ최온(崔薀)ㆍ최휘지(崔徽之) 등을 배향함.
164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원 , 유적>건물>서원,향교
-
노봉서원(魯峯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충청도 문의(文義)에 건립된 서원. 1615년(광해군 7)에 창건되고, 1658년(효종 9)에 사액되었으며, 송인수(宋麟壽)ㆍ정렴(鄭𥖝)ㆍ송시열(宋時烈) 등을 배향함. 현재 충청북도 청원군(淸原郡)에 속함.
1615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문의 , 유적>건물>서원,향교
-
노봉집(老峯集)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민정중(閔鼎重)의 시문집(詩文集). 12권 6책. 목판본. 1734년(영조 10) 증손 민백남(閔百男)이 원고를 수집, 편차하고 이재(李縡)에게 서문(序文)을 받아 태인(泰仁)에서 간행함.
173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태인 , 문헌>서명
-
노부(盧溥)
조선 현종(顯宗) 때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선교랑(宣敎郞) 노형필(盧亨弼)의 아들로, 1660년(현종 1)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이문헌(李文獻)의 딸과 혼인함.
163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노분(盧昐)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이며, 예조 참판(禮曹參判)을 지낸 노숙동(盧叔仝)의 아들. 손자 노진(盧禛)의 문집인 《옥계집(玉溪集)》에 묘갈기(墓碣記)가 실려 있음.
1437~14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