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명천부수(明川副守) - 이련(李連)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이며, 봉림수(鳳林守) 이수인(李守仁)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명촌(明村) - 나양좌(羅良佐)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정(安定). 윤선거(尹宣擧)의 문인으로, 스승이 누명을 쓰자 상소하였다가 유배되기도 하였으며, 기사환국 때 자형 김수항(金壽恒)과 매제 이사명(李師命)이 극형을 당하자 먼 길을 달려가서 상을 치러줌.
1638~171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비안 , 인명>관인>문신
-
명치(鳴治)@박용현 - 박용현(朴用賢)
조선 전기의 화가. 본관은 밀양(密陽). 구암(龜巖) 이정(李楨)이 지은 제시(題詩) 〈제화병(題畫屛)〉이 《구암집(龜巖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예술인>서화가
-
명치(鳴治) - 사탁(謝鐸)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 예부 우시랑(禮部右侍郞) 등을 지냈으며, 경술(經術)과 문장(文章)이 뛰어나 《이락연원속록(伊洛淵源續錄)》ㆍ《적성신지(赤城新志)》 등을 저술함.
1435~151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명치(鳴治)@공용경 - 공용경(龔用卿)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 한림원 수찬(翰林院修撰) 등을 지내고, 1537년(중종 32) 조선에 사신으로 와서 황태자가 탄생하였다는 조서(詔書)를 반포함.
1500~1563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명칠재자(明七才子) - 칠재자(七才子)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목종(穆宗) 때에 걸쳐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주창한 전ㆍ후 일곱 명의 문인. 홍치(弘治)ㆍ정덕(正德) 연간에 걸쳐 활약한 전칠자(前七子)와 가정(嘉靖)ㆍ융경(隆慶) 연간에 걸쳐 활약한 후칠자(後七子)로 구분됨.
중국>명 , 중국 , 인명>집단>기타집단
-
명통(明通) - 김근사(金謹思)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홍문관 부제학(弘文館副提學)ㆍ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김안로(金安老)의 일파가 되어 순조로운 관직생활을 하였으나 김안로의 실각과 함께 귀양가서 죽음.
1466~153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관인>문신
-
명통지(明統志) - 대명일통지(大明一統志)
중국 명(明) 나라 때 이현(李賢) 등이 황제의 칙령으로 편찬한 지리서(地理書). 90권. 《환우통지(寰宇通志)》를 요약하여 만듦.
1461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명필(命弼) - 문명필(文命弼)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평(南平). 문상경(文尙褧)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유학
-
명필(明弼) - 임명필(任明弼)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임열(任說)의 아버지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명하(明河) - 은하(銀河)
밤하늘에 은백색(銀白色)으로 빛나는 띠 모양의 성군(星群). 칠석날에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이 강을 건너 만난다는 전설이 있음.
자연물>천체
-
명한(明漢) - 이명한(李明漢)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월사(月沙) 이정귀(李廷龜)의 아들로, 대제학(大提學)ㆍ예조 판서(禮曹判書) 등을 지냄. 이괄(李适)의 난 때 왕을 호종하고, 척화파(斥和派)로 심양(瀋陽)에 억류되기도 함. 저서로 《백주집(白洲集)》 등이 있음.
1595~164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명해(明海) - 이달(李達)@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이며, 봉림수(鳳林守) 이수인(李守仁)의 맏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명해부수(明海副守) - 이달(李達)@조선전기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의 증손이며, 봉림수(鳳林守) 이수인(李守仁)의 맏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명행록(名行錄) - 사우명행록(師友名行錄)@김제안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인 김제안(金齊顔)의 저서. 사우(師友)의 행적을 적은 것으로, 전녹생(田祿生)의 《야은일고(壄隱逸稿)》에 일부 남아 있음.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명헌(明憲)@명헌왕후 - 명헌왕후(明憲王后)
조선 제24대 헌종(憲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남양.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를 지낸 홍재룡(洪在龍)의 딸. 자녀는 없음.
1831~1904 한국>근대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명헌(明憲) - 이파(李坡)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이계전(李季甸)의 아들로, 《동국통감(東國通鑑)》과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의 편찬에 참여하고, 좌찬성(左贊成) 등을 지냄. 성리학(性理學)에 밝고 문장이 뛰어남.
1434~148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관인>문신
-
명헌(明軒) - 박세옹(朴世蓊)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한성부 좌윤(漢城府左尹)으로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옴.
1493~15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명헌심숙경예인정목홍성장순정휘장소단희수현의헌강수유녕자온공안효정성황후(明憲心淑敬睿仁正穆弘聖章純貞徽莊昭端禧粹顯懿獻康綏裕寧慈溫恭安孝定成皇后) - 명헌왕후(明憲王后)
조선 제24대 헌종(憲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남양.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를 지낸 홍재룡(洪在龍)의 딸. 자녀는 없음.
1831~1904 한국>근대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명헌태후(明憲太后) - 명헌왕후(明憲王后)
조선 제24대 헌종(憲宗)의 계비(繼妃). 본관은 남양.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를 지낸 홍재룡(洪在龍)의 딸. 자녀는 없음.
1831~1904 한국>근대 , 서울 , 인명>왕실>왕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