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명현(命顯) - 홍명현(洪命顯)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금산 군수(金山郡守) 홍서룡(洪瑞龍)의 아들이며 북정(北汀) 홍처량(洪處亮)의 아버지로, 사재감 첨정(司宰監僉正)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관인>문신
-
명현록(名賢錄) - 송조속명신언행록(宋朝續名臣言行錄)
조선 전기의 문신 정유일(鄭惟一)이 주자(朱子)의 《송명신언행록(宋名臣言行錄)》에 누락된 기타 영웅호걸(英雄豪傑)과 절의문장(節義文章)을 모아 엮은 책.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명현록(名賢錄)@박세채 - 동유사우록(東儒師友錄)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세채(朴世采)가 신라부터 조선 선조(宣祖) 때까지 유학자들의 사우(師友) 관계를 밝혀 놓은 책. 37권 19책. 필사본. 1682년(숙종 8)에 편집하고, 뒤에 문인인 이세환(李世瑍)이 보편(補編)함.
168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명호(明怙) - 이명호(李明怙)
조선 후기의 유학. 조종도(趙宗道)와 교유하였으며, 조종도 '행장(行狀)'에 그의 인물에 대한 평이 보임.
한국>조선후기 , 인명>문사>유학
-
명호(明湖) - 양산항(梁山杭)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 학포(學圃) 양팽손(梁彭孫)의 아들인 양응덕(梁應德)의 넷째 아들. 영해 부사(寧海府使)를 지냄.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능성 , 인명>관인>문신
-
명홍(命弘) - 이명홍(李命弘)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영천(永川). 간재(艮齋) 이덕홍(李德弘)의 형으로, 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함.
?~156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유학
-
명화(命和) - 신명화(申命和)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평산(平山). 신사임당(申師任堂)의 아버지로 진사에 급제하였으나 벼슬에 나가지는 않았음.
1476~1522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문사>유학
-
명황(明皇) - 현종(玄宗)
중국 당(唐) 나라 제6대 황제. 재위 712~756. 예종(睿宗)의 셋째 아들로, 즉위 초에는 정사를 바로잡아 국내외의 부강과 안정을 다졌으나, 말년에는 양귀비(楊貴妃)와 향락에 빠져 안사(安史)의 난(亂)을 초래함.
685~762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명황(明皇)@명종 - 명종(明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12대 황제. 재위 연도 1329. 무종(武宗)의 장자이나 인종(仁宗)에 의해 차카타이 한국으로 망명한 후 정세를 관망하다가, 차카타이 한국의 지원을 받아 1329년에 즉위하였으나 재위 8개월 만에 살해됨.
1314~1329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명회(明澮) - 한명회(韓明澮)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예종(睿宗)ㆍ성종의 국구(國舅). 세조를 도와 계유정난(癸酉靖難)과 남이(南怡)의 옥사 때 공을 세우는 등 여러 차례 공신(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 등을 지냄.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되었다가 후에 신원됨.
1415~1487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명회전(明會典) - 대명회전(大明會典)
중국 명(明) 나라 때 서박(徐薄) 등이 황제의 칙령으로 명 나라의 법제(法制)를 집대성한 행정법전(行政法典). 전 180권.
1509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명효(明孝) - 이명효(李明孝)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용인(龍仁). 이성달(李成達)의 아들이며,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으로, 1525년(중종 20)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명흠(明欽) - 송명흠(宋明欽)
조선 영조(英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송준길(宋浚吉)의 현손이자 이재(李縡)의 문인. 옥과 현감(玉果縣監) 등을 지내고, 경연관(經筵官)이 되어 정치 문제를 논하다가 파직된 뒤 사후에 복관됨.
1705~1768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모(牟) - 공자모(公子牟)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대부. 《장자(莊子)》 양왕(讓王)에, “몸은 강과 바다 위에 있어도 마음은 항상 대궐 아래에 있다(身在江海之上 心居乎魏闕之下).”라는 공자모(公子牟)고 이야기가 실려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모(瑁) - 김모(金瑁)
조선 전기의 문신. 김근공(金謹恭)의 아버지로, 목사(牧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모(耄) - 이모(李耄)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利城君) 이관(李慣)의 손자이자, 경양도정(景陽都正) 이수환(李壽環)의 서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모계(茅溪) - 김우용(金宇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 삼척 부사(三陟府使) 김희삼(金希參)의 아들로, 감찰(監察)ㆍ밀양 부사(密陽府使) 등을 지냄. 홍문관 부제학을 지낸 김우옹(金宇顒)의 형.
1538~160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모기재(慕箕齋) - 김필(金珌)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산(安山). 김식(金湜)의 문인으로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었다가 죄를 면한 뒤부터는 공적인 일에 관여하지 않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안산 , 인명>관인>문신
-
모니(牟尼) - 석가(釋迦)
B.C.6~B.C.4세기경 인도(印度)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 정반왕(淨飯王)의 아들로,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
B.C.563?~B.C.483? 고대 , 기타지역 , 인명>기타인명>성현ㅣ인명>왕실>왕자
-
모니노(牟尼奴) - 우왕(禑王)
고려 제32대 국왕. 재위 1374~1388. 수시중(守侍中) 이인임(李仁任)의 후원으로 즉위했다가 이인임이 실각한 후 정치적 기반을 잃고 이성계(李成桂)에게 쫓겨나 유배되었다가 죽음.
1365~138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