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모리일기수(毛利壹岐守) - 모리길성(毛利吉成)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강호시대(江戶時代) 무장. 풍신수길(豊臣秀吉)의 부하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군의 제4진을 이끌고 부산에 상륙하여 동두천을 통해 강원도 방면으로 진격함.
?~1611 일본>강호시대ㅣ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모리전(毛利殿) - 모리휘원(毛利輝元)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강호시대(江戶時代)의 무장. 풍신수길(豊臣秀吉)의 부하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군의 제7진을 이끌고 경상도 점령을 담당하여 부산 왜성과 자성대를 축성함.
1553~1625 일본>강호시대ㅣ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모말(毛末) - 박제상(朴堤上)
신라 내물왕(奈勿王)~눌지왕(訥祗王) 때의 충신(忠臣). 고구려에 볼모로 간 복호(卜好)와 왜에 볼모로 간 미사흔(未斯欣)을 구해낸 후 왜에 붙잡혔으나 충절을 지키다가 박다(博多)에서 순국함. 영해박씨(寧海朴氏)의 시조.
363~419 한국>신라 , 경상도>영해 , 인명>관인>문신
-
모보(謀甫) - 유순(庾純)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중서령(中書令)ㆍ시중(侍中) 등을 지냈으며, 당시 권신 가충(賈充)과 대립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모산(毛山) - 이정랑(李呈琅)
조선 전기의 종친. 토정(土亭) 이지함(李之菡)의 장인. 1549년(명종 4) 이홍윤(李洪胤)의 옥사에 연루되어 처형되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모산(茅山) - 도홍경(陶弘景)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학자. 유명한 도교 사상가로 수많은 도교 서적을 저술함.
456~53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모산(茅山)@이해 - 이해(李蟹)
조선 연산군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1504년(연산군 1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1712년(숙종 38) 건립된 나주의 영강서원(榮江書院)에 향사(享祀)됨.
146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유학
-
모산수(毛山守) - 이정랑(李呈琅)
조선 전기의 종친. 토정(土亭) 이지함(李之菡)의 장인. 1549년(명종 4) 이홍윤(李洪胤)의 옥사에 연루되어 처형되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모생(母生) - 호모생(胡母生)
중국 전한(前漢) 경제(景帝) 때의 문신ㆍ학자. 공양고(公羊高)의 《춘추(春秋)》에 대한 전술(傳述)을 스승인 공양수(公羊壽)와 함께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으로 정리하여 편찬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모생(毛生)@모영 - 모영(毛穎)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홍성민(洪聖民)이 지은 작품의 인물. 수(愁)ㆍ성(性)ㆍ정(情)ㆍ지(志)ㆍ기(氣) 등을 의인화하여 지은 〈천군견지수공수성(天君遣志帥攻愁城)〉에 무신으로 등장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모생(毛生) - 모수(毛遂)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조(趙) 나라 평원군(平原君)의 식객(食客). 조(趙)가 진(秦)에 포위당하자, 평원군을 따라 초(楚)에 가서 조와 초(楚)의 연합정책을 성사시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모선재(慕先齋) - 박수견(朴守堅)
조선 전기의 효자. 본관은 밀양(密陽).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효행(孝行)으로 참봉(參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 친상(親喪)에 시묘 3년 후에도 묘소를 떠나지 않자 고을 사람들이 묘소 앞에 모선정(慕先亭)을 짓고 그 일대를 모선(慕先)이라고 불렀다는 일화가 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기타인명>효자
-
모성(母城) - 금성(金城)
강원도 철원(鐵原) 지역에 있던 옛 고을 이름. 경파산(慶把山)ㆍ적산(赤山) 등의 산과, 보리진(菩提津)ㆍ다경진(多慶津) 등의 나루가 있음.
강원도>금성 , 지명>행정지명
-
모성재(慕省齋) - 성용(成鏞)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성여신(成汝信)의 둘째 아들로, 아버지의 학문을 계승함.
1576~162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문사>유학
-
모시(毛詩) - 시경(詩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詩集). 춘추시대(春秋時代)의 민요를 중심으로 305편을 수록하였음.
중국 , 문헌>서명
-
모악(暮嶽) - 권율(權慄)@조선후기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명장. 본관은 안동(安東). 양촌(陽村) 권근(權近)의 6세손이자 영의정을 지낸 권철(權轍)의 아들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행주대첩(幸州大捷)을 승리로 이끎. 1604년(선조 37) 선무공신(宣武功臣)에 책록되고,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으로 추봉됨.
1537~159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ㅣ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모암(慕庵)@김극일 - 김극일(金克一)@1382
조선 전기의 문신ㆍ효자.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을 지냄. 효성이 지극하여 세종(世宗) 때 효자 정려(孝子旌閭)가 건립되고, 성종(成宗) 때 김종직(金宗直)이 지은 효자 비문(孝子碑文)이 세워짐.
1382~145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모암(慕庵) - 강우(姜瑀)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진주(晉州). 수의부위(修義副尉)를 지낸 강세응(姜世應)의 아들. 효행으로 정려각(旌閭閣)이 세워짐.
1495~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령 , 인명>문사>유학
-
모암칠현유적지(慕岩七賢遺蹟址) - 모암서원(慕岩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전라도 장성(長城)에 건립한 서원. 효와 충, 청백리로 알려진 칠현(七賢)인 서릉(徐稜)ㆍ정운룡(鄭雲龍)ㆍ김우급(金友伋)ㆍ조정로(趙廷老)ㆍ조영규(趙英圭)ㆍ최학령(崔鶴齡)ㆍ박수량(朴守良) 등을 배향함.
158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장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모양(牟陽) - 고창(高敞)
전라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읍성(邑城)이 있으며, 조선시대에는 지금의 고창읍(高敞邑)과 고수면(古水面)ㆍ아산면(雅山面) 일대를 아우름.
전라도>고창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