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모양군(牟陽君) - 오계유(吳季孺)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고창(高敞). 문장가로 이름이 높았던 오세문(吳世文)의 증손. 좌리공신(輸忠保節佐理安社功臣)으로 삼중대광 도첨의찬성사(三重大匡都僉議贊成事)를 지내고, 모양군(牟陽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고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모양군(牟陽君)@이직 - 이직(李稙)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아들이며, 선사군(仙槎君) 이승손(李承孫)의 아버지.
1438~151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모양도정(牟陽都正) - 이직(李稙)
조선 전기의 종친. 태종(太宗)의 첫 번째 서자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아들이며, 선사군(仙槎君) 이승손(李承孫)의 아버지.
1438~151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종친
-
모용수(慕容垂) - 세조(世祖)@후연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 후연(後燕)의 제1대 황제. 재위 384~396. 전연(前燕)을 세운 모용황(慕容皝)의 아들로, 전진(前秦)의 부견(苻堅)에게 망명하여 세력을 키운 후 칭제(稱帝)하여 화북(華北) 동부를 평정함.
326~39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모용패(慕容霸) - 세조(世祖)@후연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 후연(後燕)의 제1대 황제. 재위 384~396. 전연(前燕)을 세운 모용황(慕容皝)의 아들로, 전진(前秦)의 부견(苻堅)에게 망명하여 세력을 키운 후 칭제(稱帝)하여 화북(華北) 동부를 평정함.
326~39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모용황(慕容皝) - 태조(太祖)@남북조(전연)
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 전연(前燕)의 제1대 왕. 재위 337~348. 모용외(毛容廆)의 아들이자 모용각(慕容恪)의 아버지. 337년 연왕(燕王)이라 칭하고 조양(朝陽)에 도읍하였고, 342년 고구려를 공격하여 영토를 확장함.
297~34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모유격(茅遊擊) - 모국기(茅國器)
중국 명(明) 나라의 장수. 임진왜란 때, 보병 3천여 명을 이끌고 조선에 옴. 성주(星州)에 주둔했을 때 유민(流民)을 불러 모으고 둔전(屯田)하며 군사를 훈련시켰으나 사천(泗川) 싸움에서 패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모은(慕隱) - 이인립(李仁立)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로, 이포(李褒)의 아들.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냈으나 국정이 어지러워지자 낙향하여 여생을 음영(吟詠)하며 지냄.
1333~1387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모을동비(毛乙冬非) - 철원(鐵原)
강원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궁예(弓裔)가 세운 태봉국(泰封國)의 수도로 후삼국시대 중심지의 하나이며, 우리나라 중앙에 위치한 교통의 요지.
강원도>철원 , 지명>행정지명
-
모의정(慕義亭) - 숭의사(崇義祠)
조선 후기 경상도 청도(淸道)에 건립한 용강서원(龍岡書院) 내의 사당.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 공을 세운 밀성박씨(密城朴氏) 문중의 부자 형제, 종반숙질(從班叔侄) 등의 창의공신(倡義功臣) 14의사를 배향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유적>건물>사당
-
모장(茅將) - 모국기(茅國器)
중국 명(明) 나라의 장수. 임진왜란 때, 보병 3천여 명을 이끌고 조선에 옴. 성주(星州)에 주둔했을 때 유민(流民)을 불러 모으고 둔전(屯田)하며 군사를 훈련시켰으나 사천(泗川) 싸움에서 패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모장군(茅將軍) - 모국기(茅國器)
중국 명(明) 나라의 장수. 임진왜란 때, 보병 3천여 명을 이끌고 조선에 옴. 성주(星州)에 주둔했을 때 유민(流民)을 불러 모으고 둔전(屯田)하며 군사를 훈련시켰으나 사천(泗川) 싸움에서 패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모재(慕齋) - 김안국(金安國)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사림파(士林派)의 학통을 계승하고, 성리학을 이념으로서만이 아닌 실천적 학문으로서 중시함.
1478~15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모재(茅齋) - 전승개(田承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예산(禮山)으로, 고령 현감(高靈縣監)을 지낸 전실(田實)의 아들. 1517년(중종 1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빈시 정(禮賓寺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모재상공(慕齋相公) - 김안국(金安國)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사림파(士林派)의 학통을 계승하고, 성리학을 이념으로서만이 아닌 실천적 학문으로서 중시함.
1478~15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모전(毛傳) - 시경(詩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詩集). 춘추시대(春秋時代)의 민요를 중심으로 305편을 수록하였음.
중국 , 문헌>서명
-
모정(慕亭) - 배대유(裵大維)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화왕산성(火旺山城)을 수비함. 계축옥사(癸丑獄事) 때 공을 세웠으며,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모론에 적극 참여함.
1563~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모정(茅亭) - 원효렴(元孝廉)
조선 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원호(元昊)의 아들이자 원숙강(元叔康)의 아버지. 1451년(문종 1)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모지(慕之) - 이교(李嶠)@고려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우(李瑀)의 아들이며, 이조년(李兆年)의 사위로, 공민왕 때 천추사(千秋使)가 되어 원(元) 나라에 다녀오고, 어사대부(御史大夫)로서 전선(銓選)을 관장함.
?~136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모집(毛什) - 시경(詩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詩集). 춘추시대(春秋時代)의 민요를 중심으로 305편을 수록하였음.
중국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