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모의정(慕義亭) - 숭의사(崇義祠)
조선 후기 경상도 청도(淸道)에 건립한 용강서원(龍岡書院) 내의 사당.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 공을 세운 밀성박씨(密城朴氏) 문중의 부자 형제, 종반숙질(從班叔侄) 등의 창의공신(倡義功臣) 14의사를 배향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청도 , 유적>건물>사당
-
모장(茅將) - 모국기(茅國器)
중국 명(明) 나라의 장수. 임진왜란 때, 보병 3천여 명을 이끌고 조선에 옴. 성주(星州)에 주둔했을 때 유민(流民)을 불러 모으고 둔전(屯田)하며 군사를 훈련시켰으나 사천(泗川) 싸움에서 패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모장군(茅將軍) - 모국기(茅國器)
중국 명(明) 나라의 장수. 임진왜란 때, 보병 3천여 명을 이끌고 조선에 옴. 성주(星州)에 주둔했을 때 유민(流民)을 불러 모으고 둔전(屯田)하며 군사를 훈련시켰으나 사천(泗川) 싸움에서 패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모재(慕齋) - 김안국(金安國)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사림파(士林派)의 학통을 계승하고, 성리학을 이념으로서만이 아닌 실천적 학문으로서 중시함.
1478~15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모재(茅齋) - 전승개(田承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예산(禮山)으로, 고령 현감(高靈縣監)을 지낸 전실(田實)의 아들. 1517년(중종 12)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빈시 정(禮賓寺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모재상공(慕齋相公) - 김안국(金安國)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성(義城).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사림파(士林派)의 학통을 계승하고, 성리학을 이념으로서만이 아닌 실천적 학문으로서 중시함.
1478~15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모전(毛傳) - 시경(詩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詩集). 춘추시대(春秋時代)의 민요를 중심으로 305편을 수록하였음.
중국 , 문헌>서명
-
모정(慕亭) - 배대유(裵大維)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곽재우(郭再祐)와 함께 화왕산성(火旺山城)을 수비함. 계축옥사(癸丑獄事) 때 공을 세웠으며,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모론에 적극 참여함.
1563~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모정(茅亭) - 원효렴(元孝廉)
조선 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로, 원호(元昊)의 아들이자 원숙강(元叔康)의 아버지. 1451년(문종 1)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문신
-
모지(慕之) - 이교(李嶠)@고려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고성(固城). 이우(李瑀)의 아들이며, 이조년(李兆年)의 사위로, 공민왕 때 천추사(千秋使)가 되어 원(元) 나라에 다녀오고, 어사대부(御史大夫)로서 전선(銓選)을 관장함.
?~1361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성 , 인명>관인>문신
-
모집(毛什) - 시경(詩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詩集). 춘추시대(春秋時代)의 민요를 중심으로 305편을 수록하였음.
중국 , 문헌>서명
-
모한(母漢) - 명덕마황후(明德馬皇后)
중국 후한(後漢) 명제(明帝)의 황후. 외척들이 정사(政事)에 간섭하지 못하도록 했으며, 검소하게 생활한 것으로 유명함.
?~7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모헌(慕軒) - 하혼(河渾)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조식(曺植)ㆍ오건(吳健)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활동을 하였고, 장수 찰방(長水察訪) 등을 역임하였으며, 낙향 후 이안눌(李安訥) 등과 교유하며 만년을 보냄.
1548~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목(牧) - 안목(安牧)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검교찬성사(檢校贊成事)를 지낸 안우기(安于器)의 아들. 정당문학(政堂文學)ㆍ진현관 대제학(進賢館大提學) 등을 지내고, 충숙왕 때 이군해(李君侅) 등과 함께 인사권을 관장함.
1290~136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ㅣ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목(睦) - 권목(權睦)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권승(權昇)의 둘째 아들이며, 부안 현감(扶安縣監) 권성(權省)의 아우이자, 여주 목사(驪州牧使) 권현(權睍)의 형.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유학
-
목(穆)@허목 - 허목(許穆)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양천(陽川).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예송(禮訟) 논쟁에서 남인(南人)을 주도하며 송시열(宋時烈)의 서인(西人)과 대립함. 사상적으로 이황(李滉)ㆍ정구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익(李瀷)에게 연결함.
1595~168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연천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목(穆)@임목 - 임목(林穆)
조선 전기의 유학. 그의 아버지의 요청으로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이 이름과 자(字)를 지어준 내용이 《점필재집(佔畢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목(穆)@조목 - 조목(趙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횡성(橫城). 조대춘(趙大春)의 아들이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생원시에 입격했으나 대과(大科)를 포기하고 경전(經傳) 연구와 수양에만 전념하였으며,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524~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목(穆)@이목 - 이목(李穆)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 등과 교유함. 무오사화 때 조의제문(弔義帝文) 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되고,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剖棺斬屍)되었다가 중종 때 신원됨.
1471~149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목(穆) - 윤목(尹穆)
고려 후기~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기여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었으나, 민무구(閔無咎)ㆍ민무질(閔無疾) 형제의 옥사에 관련되어 유배되었다가 처형됨.
?~141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