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모한(母漢) - 명덕마황후(明德馬皇后)
중국 후한(後漢) 명제(明帝)의 황후. 외척들이 정사(政事)에 간섭하지 못하도록 했으며, 검소하게 생활한 것으로 유명함.
?~7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모헌(慕軒) - 하혼(河渾)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조식(曺植)ㆍ오건(吳健)의 문인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활동을 하였고, 장수 찰방(長水察訪) 등을 역임하였으며, 낙향 후 이안눌(李安訥) 등과 교유하며 만년을 보냄.
1548~162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관인>문신
-
목(牧) - 안목(安牧)
고려 충숙왕(忠肅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으로, 검교찬성사(檢校贊成事)를 지낸 안우기(安于器)의 아들. 정당문학(政堂文學)ㆍ진현관 대제학(進賢館大提學) 등을 지내고, 충숙왕 때 이군해(李君侅) 등과 함께 인사권을 관장함.
1290~136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榮川)ㅣ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목(睦) - 권목(權睦)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권승(權昇)의 둘째 아들이며, 부안 현감(扶安縣監) 권성(權省)의 아우이자, 여주 목사(驪州牧使) 권현(權睍)의 형.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문사>유학
-
목(穆)@허목 - 허목(許穆)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양천(陽川).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예송(禮訟) 논쟁에서 남인(南人)을 주도하며 송시열(宋時烈)의 서인(西人)과 대립함. 사상적으로 이황(李滉)ㆍ정구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익(李瀷)에게 연결함.
1595~168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연천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목(穆)@임목 - 임목(林穆)
조선 전기의 유학. 그의 아버지의 요청으로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이 이름과 자(字)를 지어준 내용이 《점필재집(佔畢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목(穆)@조목 - 조목(趙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횡성(橫城). 조대춘(趙大春)의 아들이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 생원시에 입격했으나 대과(大科)를 포기하고 경전(經傳) 연구와 수양에만 전념하였으며,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524~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목(穆)@이목 - 이목(李穆)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전주(全州).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김굉필(金宏弼)ㆍ정여창(鄭汝昌) 등과 교유함. 무오사화 때 조의제문(弔義帝文) 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되고,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剖棺斬屍)되었다가 중종 때 신원됨.
1471~149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목(穆) - 윤목(尹穆)
고려 후기~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제2차 왕자(王子)의 난(亂) 때 기여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되었으나, 민무구(閔無咎)ㆍ민무질(閔無疾) 형제의 옥사에 관련되어 유배되었다가 처형됨.
?~1410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목(霂) - 이목(李霂)
조선 전기의 종친. 낙안군(樂安君) 이녕(李寧)의 아들로, 청원정(靑原正)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목(霂)@권목 - 권목(權霂)
조선 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두인(權斗寅)의 아버지. 김중청(金中淸)의 문인으로, 영릉 참봉(英陵參奉)을 지내고, 권유(權濡)와 함께 《충재집(冲齋集)》을 간행하는 데 힘씀.
1614~167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목^도(牧^陶) - 도^목(陶^牧)
고려 말의 문신ㆍ학자인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과 목은(牧隱) 이색(李穡)을 함께 부르는 말. 문장(文章)에 뛰어난 사람을 가리킴.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ㅣ경상도>성주 , 사상>술어>관용어
-
목계(木溪) - 강혼(姜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시문(詩文)에 뛰어났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봉해짐.
1464~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목계선생일고(木溪先生逸稿) - 목계일고(木溪逸稿)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강혼(姜渾)의 문집. 2권1책. 여러 차례 간행을 시도하다가 이루지 못하고 1910년에 간행함. 곽종석(郭鍾錫)이 서문(序文)을 지음.
1910 한국>근대 , 경상도>진주 , 문헌>서명
-
목계자(木溪子) - 강혼(姜渾)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시문(詩文)에 뛰어났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봉해짐.
1464~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목계집(木溪集) - 목계일고(木溪逸稿)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강혼(姜渾)의 문집. 2권1책. 여러 차례 간행을 시도하다가 이루지 못하고 1910년에 간행함. 곽종석(郭鍾錫)이 서문(序文)을 지음.
1910 한국>근대 , 경상도>진주 , 문헌>서명
-
목공(繆公) - 목공(穆公)@춘추전국(노)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제후. 재위 B.C.409~B.C.377. 등용할 마음도 없으면서 음식으로만 형식적인 예(禮)를 베풀어 공급(孔伋)에게 불인(不仁)한 자로 지목받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목근(木槿) - 무궁화(無窮花)
아욱과의 낙엽관목(落葉灌木). 꽃이 끊임없이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에 지는 데서 세속의 행복과 부귀영화의 덧없음을 상징하며, 산울타리 등에 널리 이용됨. 강희안(姜希顔)의 《양화소록(養花小錄)》에 ‘근역(槿域)’에 관한 기록이 있음.
자연물>식물
-
목근화(木槿花) - 무궁화(無窮花)
아욱과의 낙엽관목(落葉灌木). 꽃이 끊임없이 아침에 피었다가 저녁에 지는 데서 세속의 행복과 부귀영화의 덧없음을 상징하며, 산울타리 등에 널리 이용됨. 강희안(姜希顔)의 《양화소록(養花小錄)》에 ‘근역(槿域)’에 관한 기록이 있음.
자연물>식물
-
목단(牧丹) - 모란(牡丹)
작약과(芍藥科)에 속하는 낙엽관목(落葉灌木). 예로부터 꽃 중의 제일이라 하여 꽃의 왕으로 일컬어졌으며, 부귀(富貴)를 상징함. 설총(薛聰)의 〈화왕계(花王戒)〉로 유명함.
자연물>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