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목암(牧菴) - 요수(姚燧)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ㆍ문신. 문장에 능하여 서한(西漢)의 기풍이 있었고, 태자빈객(太子賓客)ㆍ한림학사 승지(翰林學士承旨) 등을 지냄.
1239~1314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목암(目菴) - 미월(眉月)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한수(韓脩)ㆍ원천석(元天錫)ㆍ권근(權近) 등과 시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목암(睦庵) - 일연(一然)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승려. 고종 때 설악산 진전사(陳田寺)로 출가하여 구산문 사선(九山門四選)의 으뜸되어 지눌(知訥)의 법을 계승하고, 충렬왕 때 국존(國尊)으로 책봉됨. 제자로 혼구(混丘)ㆍ죽허(竹虛)가 있고, 대표적 저서로 《삼국유사(三國遺事)》가 유명함.
1206~128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승려
-
목암문집(牧菴文集) - 목암집(牧菴集)
중국 원(元) 나라 문신ㆍ학자인 요수(姚燧)의 문집. 36권으로 구성.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목양객(牧羊客) - 황초평(黃初平)
중국 후한(後漢)~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때의 신선. 15세 때 양(羊)을 먹이러 나갔다가 도사(道士)를 만나 금화산(金華山) 석실(石室)로 들어가 40년간 도를 닦고 신선이 되었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목양인(牧羊人) - 황초평(黃初平)
중국 후한(後漢)~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때의 신선. 15세 때 양(羊)을 먹이러 나갔다가 도사(道士)를 만나 금화산(金華山) 석실(石室)로 들어가 40년간 도를 닦고 신선이 되었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목예(木禮) - 단목례(端木禮)
조선 태종(太宗) 원년(元年)에 온 명(明) 혜제(惠帝)의 사신(使臣). 고명(誥命)과 금인(金印)을 전함. 공자(孔子)의 제자인 자공(子貢) 단목사(端木賜)의 후예(後裔).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목옹(木翁) - 하자종(河自宗)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영의정 하연(河演)의 아버지로, 고려 말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의 한 사람으로 절개를 지키다가 조선 태종(太宗) 때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내고 세종 때 판청주목사(判淸州牧事) 등을 역임함.
?~14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목옹(牧翁) - 이색(李穡)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이제현(李齊賢)의 문인으로, 삼은(三隱)의 한 사람. 원(元)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귀국하여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내고 공신에 책록됨. 권근(權近)을 배출하는 등 학문과 정치에 큰 영향력을 미침.
1328~139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목왕(穆王) - 목조(穆祖)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고조부. 전주(全州)의 토호였으나 가솔과 토착인 170여 호를 이끌고 삼척(三陟)ㆍ의주(宜州) 및 남경(南京) 알동(斡東)으로 이주하여 큰 세력을 형성함. 태조가 즉위하여 추존함.
?~1274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의주ㅣ전라도>전주ㅣ강원도>삼척 , 인명>왕실>국왕
-
목왕(穆王)@목종 - 목종(穆宗)@고려
고려 제7대 국왕. 재위 997~1009. 전시과(田柴科)를 개정(改定)하고 학문을 장려하는 등 치적을 쌓았으나 강조(康兆)에게 피살됨.
980~1009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목외(牧外) - 목야(牧野)
중국 하남성(河南省) 기현(淇縣) 남쪽에 있던 고을 이름. 주(周) 나라의 무왕(武王)이 은(殷) 나라의 주왕(紂王)을 토멸한 곳.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목요(木曜) - 목성(木星)
오성(五星) 중의 하나로 동방(東方)을 상징하였으며, 하늘 전체를 십이차(十二次)로 나누고 목성이 있는 성차(星次)를 그해의 기년(紀年)으로 삼았던 데서 ‘세성(歲星)’으로 일컬어짐.
자연물>천체
-
목우자(牧牛子) - 지눌(知訥)
고려 의종(毅宗)~희종(熙宗) 때의 승려. 조계종(曹溪宗)의 개조(開祖). 돈오점수(頓悟漸修)와 정혜쌍수(定慧雙修)를 주장하여 선(禪)으로써 체(體)를 삼고, 교(敎)로써 용(用)을 삼아 선종(禪宗)과 교종(敎宗)의 합일점을 추구함. 저서에 《진심직설(眞心直說)》ㆍ《목우자수심결(牧牛子修心訣)》 등이 있음.
1158~1210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서흥 , 인명>종교인>승려
-
목은(牧隱)@주호 - 주호(周護)
일본 실정시대(室町時代)의 승려. 성석린(成石璘)의 《독곡집(獨谷集)》에 그와 관련한 시가 실려 있음.
일본>실정시대 , 일본 , 인명>종교인>승려
-
목은(牧隱) - 이색(李穡)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이제현(李齊賢)의 문인으로, 삼은(三隱)의 한 사람. 원(元)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귀국하여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내고 공신에 책록됨. 권근(權近)을 배출하는 등 학문과 정치에 큰 영향력을 미침.
1328~139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목은소부(牧隱小賦) - 관어대소부(觀魚臺小賦)
고려 말의 문신ㆍ학자인 이색(李穡)이 경상도 영해부(寧海府)에 있는 관어대(觀魚臺)에서 물에 노니는 물고기를 보고 중용(中庸)의 도를 읊은 글.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해 , 문헌>작품명
-
목은집(牧隱集) - 목은고(牧隱藁)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색(李穡)의 문집. 조선 태종(太宗) 때 아들 이종선(李種善)이 처음 간행함. 이후 방대한 내용을 나누어 〈시고(詩藁)〉와 〈문고(文藁)〉로 간행하기도 함.
1404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목재(木齋)@사천 - 사천(謝遷)
중국 명(明) 효종(孝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병부 상서(兵部尙書) 겸 동각태학사(東閣太學士) 등을 역임하였으며, 도량 있는 정치를 펴서 어진 재상이라 칭송되었음.
1449~1531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목재(木齋) - 홍여하(洪汝河)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로, 홍호(洪鎬)의 아들. 이후원(李厚源)을 논박한 상소로 인해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고향에서 학문에 전념하였으며, 남인(南人) 집권 후에 사간(司諫) 등을 지냄. 특히 주자학(朱子學)에 밝았음.
1621~167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