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목묘(穆廟)@충목왕 - 충목왕(忠穆王)
고려 제29대 왕. 재위 1344~1348. 충혜왕(忠惠王)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덕녕공주(德寧公主). 정방(政房)을 혁파하고 녹과전(祿科田)을 복구하였으며, 정치도감(整治都監)ㆍ진제도감(賑濟都監)을 설치하여 폐정(弊政)을 개혁하고 백성들을 구휼하는 데 힘씀.
1337~134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목묘(穆廟) - 선조(宣祖)@조선
조선 제14대 왕. 재위 1567~1608. 중종(中宗)의 손자이며,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셋째 아들. 초기에는 이황(李滉)ㆍ이이(李珥) 등 많은 인재를 등용하여 국정 쇄신에 노력하였으나, 재위 기간의 대부분을 치열한 당쟁(黨爭)과 전란(戰亂) 속에서 보냄.
1552~160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목번(穆蕃) - 정목번(鄭穆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낸 정유일(鄭惟一)의 아버지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목산(木山) - 이기경(李基敬)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익렬(李翊烈)의 아들로, 참판(參判) 등을 지냄. 정조를 배척한 홍지해(洪趾海) 집안과 친밀하다 하여 죄안(罪案)에 올랐다가 아들 이덕감(李德鑑)의 호소로 인해 삭제됨.
171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전의 , 인명>관인>문신
-
목성(穆成) - 이인(李仁)@1465
조선 전기의 종친. 세종(世宗)의 아홉 번째 서자인 영해군(寧海君) 이당(李瑭)의 아들로, 연산군(燕山君) 때 아들인 이기(李祺)의 사건에 연좌되어 남해(南海)에 유배됨.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나 복직되고 정국원종공신(靖國原從功臣)에 책록됨.
1465~150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목수(木叟) - 이충건(李忠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이윤탁(李允濯)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파직됨. 안처겸(安處謙)의 옥사에 연루되어 고문을 받고 귀양 가던 도중 청파역(靑坡驛)에서 죽음.
?~152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목안정(木鴈亭) - 양성지(梁誠之)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남원(南原). 집현전(集賢殿)의 부수찬ㆍ교리를 거쳐 이조 판서(吏曹判書)ㆍ홍문관 대제학(弘文館大提學) 등을 지냄. 《고려사(高麗史)》ㆍ《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등을 편찬함.
1415~14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목암(木庵) - 찬영(粲英)
고려 충정왕(忠定王)~공양왕(恭讓王) 때의 승려. 사복시 직장(司僕寺直長) 한적(韓績)의 아들이고, 보우(普愚)의 제자. 공민왕(恭愍王) 때 양가도승록(兩街都僧錄)이 되고, 우왕(禑王) 때 왕사(王師)가 되었으며, 사후에 국사(國師)의 시호를 받음.
1328~139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종교인>승려
-
목암(木菴) - 박동우(朴東雨)
고려 후기의 문인. 이첨(李詹)ㆍ원천석(元天錫) 등과 시문(詩文)을 주고받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문인
-
목암(牧庵) - 각겸(覺謙)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나암 유공(懶庵游公)과 함께 오대산(五臺山)의 수정암(水精菴)을 중수함. 이색(李穡)ㆍ이숭인(李崇仁)ㆍ권근(權近)ㆍ정도전(鄭道傳) 등과 시(詩)로써 교유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홍천 , 인명>종교인>승려
-
목암(牧菴)@무외 - 무외(無畏)
고려 후기 천태종(天台宗)의 승려. 1302년(충렬왕 28) 묘련사(妙蓮社)의 제3세 법주(法主)가 되고, 1313년(충선왕 5) 국통(國統)으로 책봉됨. 원혜 경의(圓慧景宜)ㆍ순암 의선(順菴義璇)과 함께 묘련사파 승려로 불림. .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목암(牧菴) - 요수(姚燧)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ㆍ문신. 문장에 능하여 서한(西漢)의 기풍이 있었고, 태자빈객(太子賓客)ㆍ한림학사 승지(翰林學士承旨) 등을 지냄.
1239~1314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목암(目菴) - 미월(眉月)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한수(韓脩)ㆍ원천석(元天錫)ㆍ권근(權近) 등과 시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목암(睦庵) - 일연(一然)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승려. 고종 때 설악산 진전사(陳田寺)로 출가하여 구산문 사선(九山門四選)의 으뜸되어 지눌(知訥)의 법을 계승하고, 충렬왕 때 국존(國尊)으로 책봉됨. 제자로 혼구(混丘)ㆍ죽허(竹虛)가 있고, 대표적 저서로 《삼국유사(三國遺事)》가 유명함.
1206~128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승려
-
목암문집(牧菴文集) - 목암집(牧菴集)
중국 원(元) 나라 문신ㆍ학자인 요수(姚燧)의 문집. 36권으로 구성.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목양객(牧羊客) - 황초평(黃初平)
중국 후한(後漢)~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때의 신선. 15세 때 양(羊)을 먹이러 나갔다가 도사(道士)를 만나 금화산(金華山) 석실(石室)로 들어가 40년간 도를 닦고 신선이 되었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목양인(牧羊人) - 황초평(黃初平)
중국 후한(後漢)~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때의 신선. 15세 때 양(羊)을 먹이러 나갔다가 도사(道士)를 만나 금화산(金華山) 석실(石室)로 들어가 40년간 도를 닦고 신선이 되었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목예(木禮) - 단목례(端木禮)
조선 태종(太宗) 원년(元年)에 온 명(明) 혜제(惠帝)의 사신(使臣). 고명(誥命)과 금인(金印)을 전함. 공자(孔子)의 제자인 자공(子貢) 단목사(端木賜)의 후예(後裔).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목옹(木翁) - 하자종(河自宗)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영의정 하연(河演)의 아버지로, 고려 말 두문동칠십이현(杜門洞七十二賢)의 한 사람으로 절개를 지키다가 조선 태종(太宗) 때 공조 참의(工曹參議)를 지내고 세종 때 판청주목사(判淸州牧事) 등을 역임함.
?~143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목옹(牧翁) - 이색(李穡)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이제현(李齊賢)의 문인으로, 삼은(三隱)의 한 사람. 원(元)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귀국하여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내고 공신에 책록됨. 권근(權近)을 배출하는 등 학문과 정치에 큰 영향력을 미침.
1328~139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