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목왕(穆王) - 목조(穆祖)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고조부. 전주(全州)의 토호였으나 가솔과 토착인 170여 호를 이끌고 삼척(三陟)ㆍ의주(宜州) 및 남경(南京) 알동(斡東)으로 이주하여 큰 세력을 형성함. 태조가 즉위하여 추존함.
?~1274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의주ㅣ전라도>전주ㅣ강원도>삼척 , 인명>왕실>국왕
-
목왕(穆王)@목종 - 목종(穆宗)@고려
고려 제7대 국왕. 재위 997~1009. 전시과(田柴科)를 개정(改定)하고 학문을 장려하는 등 치적을 쌓았으나 강조(康兆)에게 피살됨.
980~1009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목외(牧外) - 목야(牧野)
중국 하남성(河南省) 기현(淇縣) 남쪽에 있던 고을 이름. 주(周) 나라의 무왕(武王)이 은(殷) 나라의 주왕(紂王)을 토멸한 곳.
중국 , 지명>행정지명
-
목요(木曜) - 목성(木星)
오성(五星) 중의 하나로 동방(東方)을 상징하였으며, 하늘 전체를 십이차(十二次)로 나누고 목성이 있는 성차(星次)를 그해의 기년(紀年)으로 삼았던 데서 ‘세성(歲星)’으로 일컬어짐.
자연물>천체
-
목우자(牧牛子) - 지눌(知訥)
고려 의종(毅宗)~희종(熙宗) 때의 승려. 조계종(曹溪宗)의 개조(開祖). 돈오점수(頓悟漸修)와 정혜쌍수(定慧雙修)를 주장하여 선(禪)으로써 체(體)를 삼고, 교(敎)로써 용(用)을 삼아 선종(禪宗)과 교종(敎宗)의 합일점을 추구함. 저서에 《진심직설(眞心直說)》ㆍ《목우자수심결(牧牛子修心訣)》 등이 있음.
1158~1210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서흥 , 인명>종교인>승려
-
목은(牧隱)@주호 - 주호(周護)
일본 실정시대(室町時代)의 승려. 성석린(成石璘)의 《독곡집(獨谷集)》에 그와 관련한 시가 실려 있음.
일본>실정시대 , 일본 , 인명>종교인>승려
-
목은(牧隱) - 이색(李穡)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 이제현(李齊賢)의 문인으로, 삼은(三隱)의 한 사람. 원(元) 나라에서 벼슬하다가 귀국하여 정당문학(政堂文學) 등을 지내고 공신에 책록됨. 권근(權近)을 배출하는 등 학문과 정치에 큰 영향력을 미침.
1328~139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목은소부(牧隱小賦) - 관어대소부(觀魚臺小賦)
고려 말의 문신ㆍ학자인 이색(李穡)이 경상도 영해부(寧海府)에 있는 관어대(觀魚臺)에서 물에 노니는 물고기를 보고 중용(中庸)의 도를 읊은 글.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해 , 문헌>작품명
-
목은집(牧隱集) - 목은고(牧隱藁)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색(李穡)의 문집. 조선 태종(太宗) 때 아들 이종선(李種善)이 처음 간행함. 이후 방대한 내용을 나누어 〈시고(詩藁)〉와 〈문고(文藁)〉로 간행하기도 함.
1404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목재(木齋)@사천 - 사천(謝遷)
중국 명(明) 효종(孝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학자. 병부 상서(兵部尙書) 겸 동각태학사(東閣太學士) 등을 역임하였으며, 도량 있는 정치를 펴서 어진 재상이라 칭송되었음.
1449~1531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목재(木齋) - 홍여하(洪汝河)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부계(缶溪)로, 홍호(洪鎬)의 아들. 이후원(李厚源)을 논박한 상소로 인해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고향에서 학문에 전념하였으며, 남인(南人) 집권 후에 사간(司諫) 등을 지냄. 특히 주자학(朱子學)에 밝았음.
1621~167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흥 , 인명>관인>문신
-
목재(牧齋) - 전겸익(錢謙益)
중국 명(明)~청(淸) 나라의 문신ㆍ문인. 명 나라가 망하자 청조(淸朝)의 예부 우시랑(禮部右侍郞)이 되어 《명사(明史)》편찬에 참여함. 사후 건륭제(乾隆帝)로부터 불충지신(不忠之臣)으로 비난받아 저서의 판목(版木)이 모두 불태워짐.
1582~1664 중국>청ㅣ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목재(睦齋) - 김기서(金麒瑞)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광산(光山). 조광조(趙光祖)의 문인. 기묘사화(己卯士禍) 때에 조광조(趙光祖)와 신진사림(新進士林)들이 대거 숙청당하자 향리로 돌아가 후진양성에 전념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고창 , 인명>문사>학자
-
목재문집(木齋文集) - 목재집(木齋集)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홍여하(洪汝河)의 문집. 1677년(숙종 3)부터 아들 홍상문(洪相文)ㆍ홍상민(洪相民)에 의해 정리됨. 권유(權愈)의 서문이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목재선생문집(木齋先生文集) - 목재집(木齋集)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홍여하(洪汝河)의 문집. 1677년(숙종 3)부터 아들 홍상문(洪相文)ㆍ홍상민(洪相民)에 의해 정리됨. 권유(權愈)의 서문이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목재초학집(牧齋初學集) - 초학집(初學集)
중국 명(明) 말~청(淸) 초의 문신ㆍ문인인 전겸익(錢謙益)의 시문집. 110권. 명 나라가 망하기 전까지 지은 시문(詩文)을 모은 것임.
1643 중국>청 , 중국 , 문헌>서명
-
목제(木帝) - 복희(伏羲)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 삼황오제(三皇五帝) 중 첫머리에 꼽히며, 팔괘(八卦)를 처음 만들고 어획(漁獲)과 수렵(狩獵)의 방법을 가르쳤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목종(木鍾) - 진식(陳埴)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질문(質問)의 장점과 효과에 대해 크게 장려함. 제자들의 질문에 답한 것을 모아 펴낸 《목종집(木鍾集)》이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목종(穆宗) - 화제(和帝)
중국 후한(後漢)의 제4대 황제. 재위 89~105년. 장제(章帝)의 넷째 아들로, 10세에 즉위하여 두태후(竇太后)가 수렴청정을 함. 환관들과 연합하여 두태후 일당을 척결했으나 환관들의 전횡 때문에 다시 정치가 문란해지고, 그 우울증에 시달리다 죽음.
79~105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목주(木州) - 목천(木川)
충청도 천안(天安) 지역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지형적 특색으로 백제시대에는 북방의 군사요지로 쓰였고, 고려의 태조(太祖) 왕건(王建)은 이곳이 오룡쟁주형(五龍爭珠形)이므로 천하를 통일시킬 수 있는 곳이라 하여 중요하게 여김.
충청도>목천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