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노비(魯丕)
중국 후한(後漢) 장제(章帝)~화제(和帝) 때의 문신․학자. 노공(魯恭)의 아우로, 좌중랑장(左中郞將) 등을 지냈으며, 오경(五經)에 정통하고, 《노시(魯詩)》ㆍ《상서(尙書)》를 가르쳐 명유(名儒)로 일컬어짐.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노사신(盧思愼)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유자광(柳子光)이 사림파를 제거하는데 반대하다 사옥(史獄)이 진행되는 도중 병으로 죽음.
1427~1498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노사예(盧士豫)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풍천(豐川). 신고당(信古堂) 노우명(盧友明)의 손자이며, 진사 노희(盧禧)의 아들이자, 옥계(玉溪) 노진(盧禛)의 조카.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익산 , 인명>문사>유학
-
노사집(蘆沙集)
조선 순조(純祖)~고종(高宗) 때의 성리학자인 기정진(奇正鎭)의 시문집. 목판본. 주리파(主理派)로서 일원론(一元論)을 주장한 작자의 독창적인 이(理)의 철학 체계를 담고 있음.
1890 한국>근대 , 문헌>서명
-
노삼(魯參)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판관(判官)을 역임했고 《홍무정운(洪武正韻)》을 수정하는데 참여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노상(盧祥)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대사헌(大司憲)을 지낸 노진(盧禛)의 사촌 형으로 노진에게 학문을 가르침.
1504~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노서유고(魯西遺稿)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윤선거(尹宣擧)의 시문집(詩文集). 목판본. 26권 13책. 저자의 아들 윤증(尹拯)이 정리하고 편차하여 1712년(숙종 38)에 이산(尼山)의 노강서원(魯岡書院)에서 간행함.
171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이산 , 문헌>서명
-
노석령(盧石齡)
조선 전기의 유학. 신응시(辛應時)의 《백록유고(白麓遺稿)》에 〈방노자고석령(訪盧子固石齡)〉의 시(詩)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노선경(盧善卿)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로, 도염서 승(都染署丞) 노갑생(盧甲生)의 아들. 함양 군수(咸陽郡守)ㆍ공조 정랑(工曹正郞) 등을 지내고, 만년에는 학문 연구와 후진 교육에 전념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노송재유집(盧松齋遺集)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인 노숙동(盧叔仝)의 문집. 병란(兵亂)에 유실된 작자의 글들을 1766년(영조 42)에 후손 노정원(盧廷元)이 여러 서책에서 수집하여 편찬하였으며, 묘문(墓文) 1편과 시(詩) 40편이 실려 있음.
1766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노수(盧穗)
중국 당(唐) 나라 말기의 문신. 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지냈으며, 당 나라 말의 난리를 피해 아홉 아들 및 팔학사(八學士)와 함께 신라(新羅)에 귀화하였다 함. 우리나라 노씨(盧氏)의 도시조(都始祖).
중국>당ㅣ한국>통일신라 , 중국ㅣ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노수(盧遂)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노응세(盧應世)의 아들로, 김대유(金大有)에게 수학하고 이황(李滉)을 사사하였으며, 김응생(金應生)ㆍ정윤량(鄭允良) 등과 함께 영천(永川)에 임고서원(臨皐書院)을 창건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학자
-
노수민(盧秀民)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생원시(生員試)에 합격했지만 벼슬은 하지 않음. 조식(曺植)의 《남명집(南冥集)》에 〈노군묘명(盧君墓銘)〉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성 , 인명>문사>유학
-
노수성(盧守誠)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송당(松堂) 박영(朴英)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노수신(盧守愼)
조선 인종(仁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광주(光州). 문장과 서예에 능하고, 양명학(陽明學)을 연구했으며, 불교의 영향을 받기도 함. 대윤(大尹)의 한 사람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유배됨.
1515~159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노수함(盧守諴)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경주(慶州). 송당(松堂) 박영(朴英)의 문인으로, 1540년(중종 3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문사>유학
-
노숙동(盧叔仝)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노언(盧焉)의 아들. 《자치통감훈의(資治通鑑訓義)》ㆍ《치평요람(治平要覽)》편찬에 참여하고,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ㆍ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를 지냄.
1403~14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노숭(盧嵩)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조선 개국 후 개국원종공신에 녹훈되었고, 참찬의정부사(參贊議政府事)를 거쳐 검교우의정(檢校右議政)에 이르렀음.
1337~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노식(盧植)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 정현(鄭玄)과 함께 마융(馬融)의 제자로, 동탁(董卓)이 소제(少帝)를 폐할 때 홀로 항론(抗論)함. 대장군 두무(竇武)가 영제(靈帝)를 세우고 정권을 잡고 그에게 봉작(封爵)을 가하려 할 때 포의(布衣)로서 충고함.
159?~19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노애손(盧愛孫)
조선 전기의 유학. 노수신(盧守愼)의 조카. 《소재집(蘇齋集)》에 노수신이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에 연루되어 진도(珍島)로 유배되어 있을 때 동생 노극신(盧克愼)과 어린 조카를 생각하며 지은 시(詩)가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