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몽룡(夢龍)@어몽룡 - 어몽룡(魚夢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화가. 본관은 함종(咸從). 군수(郡守) 어운해(魚雲海)의 아들로, 진천 현감(鎭川縣監)을 지냄. 묵매(墨梅)를 잘 그려서 이정(李霆)의 묵죽(墨竹), 황집중(黃執中)의 묵포도와 함께 당시의 삼절(三絶)로 불림.
1566~?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함종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몽룡(夢龍)@이몽룡 - 이몽룡(李夢龍)
조선 전기의 유학. 송인(宋寅)과 교유하였으며, 송인이 그의 상심정(賞心亭)이란 정자를 두고 지은 시가 《이암유고(頤庵遺稿)》에 보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몽룡(夢龍) - 정몽주(鄭夢周)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일(迎日). 오부학당(五部學堂)ㆍ향교를 세워 교육 진흥을 꾀하고 유학을 진흥하여 성리학의 기초를 닦음. 친원(親元) 정책에 반대하고 끝까지 고려를 지키고자 함.
1337~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몽무(夢武) - 이몽무(李夢武)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증손인 의천군(義泉君) 이인(李仁)의 넷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몽문(夢文) - 이몽문(李夢文)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증손인 의천군(義泉君) 이인(李仁)의 셋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몽사(夢思) - 유관(柳寬)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조선 건국 후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이 책록되고, 우의정(右議政)을 지냄. 《태종실록(太宗實錄)》을 편찬하고 《고려사(高麗史)》를 수교(讎校)함.
1346~143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몽사(夢獅) - 유몽사(柳夢獅)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흥양(興陽). 제용감 주부(濟用監主簿)를 지낸 유탱(柳樘)의 아들로, 선공감 감역(繕工監監役)을 지냈으며, 임진왜란 때 선천(宣川)으로 양곡을 운송한 공로로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됨.
1538~1610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몽산(蒙山)@덕이 - 덕이(德異)
중국 원(元) 나라의 승려(僧侶). 완산 정응(脘山正凝) 선사의 법을 이었으며,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고려의 고승들과 주고받은 서함이 많음.
1231~1308 중국>원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몽산덕이(蒙山德異) - 덕이(德異)
중국 원(元) 나라의 승려(僧侶). 완산 정응(脘山正凝) 선사의 법을 이었으며,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고려의 고승들과 주고받은 서함이 많음.
1231~1308 중국>원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몽산화상(蒙山和尙) - 덕이(德異)
중국 원(元) 나라의 승려(僧侶). 완산 정응(脘山正凝) 선사의 법을 이었으며,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고려의 고승들과 주고받은 서함이 많음.
1231~1308 중국>원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몽상(夢祥) - 오여필(吳與弼)
중국 명(明) 나라 때의 은자. 명(明) 영종(英宗)이 불러 좌유덕(左諭德)의 벼슬을 제수했지만 사양하고 낙향(落鄕)하였으며, 천문(天文)ㆍ병법(兵法)ㆍ음양(陰陽) 등에 통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몽서(夢瑞)@김규 - 김규(金虯)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선위사(宣慰使)로 동래(東萊)에 있을 때 윤원형(尹元衡) 등의 무고로 체포되어 경원(慶源)에 8년간 유배된 뒤 풀려나 경상도 암행어사(慶尙道暗行御史)를 지냄.
1522~1565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몽서(夢瑞) - 이헌경(李獻慶)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로, 형조 참판(刑曹參判)을 지낸 이제화(李齊華)의 아들. 대사간(大司諫)ㆍ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등을 지내고, 저서로 《간옹집(艮翁集)》이 있음.
1719~179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몽서(夢瑞)@유몽서 - 유몽서(柳夢瑞)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효자로 이름이 높은 유근회(柳根晦)의 아버지로, 임진왜란 때 영천(永川) 등에서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녹훈됨.
1534~160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유학
-
몽서(夢瑞)@홍주익 - 홍주익(洪柱翼)
조선 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대원(洪大源)의 아들로, 중종묘(中宗廟)에 배향된 박원종(朴元宗) 등 3인과 숙종묘(肅宗廟)에 배향된 남구만(南九萬) 등 3인을 출향(黜享)시킬 것을 상소하였다가 탄핵받음.
1726~178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몽석(夢錫) - 습개경(襲蓋卿)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형주(衡州) 상녕(常寧) 사람으로, 주자(朱子)의 문인(門人).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몽석(夢錫)@이사필 - 이사필(李士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여주(驪州). 이공려(李公礪)의 아들로, 명종 때 천추사(千秋使)가 되어 명(明) 나라에 다녀왔으며, 성주 목사(星州牧使) 재임 중에 기민 구제와 전염병 퇴치에 힘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관인>문신
-
몽선(夢宣) - 성몽선(成夢宣)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보은 현감(報恩縣監)을 지낸 성제원(成悌元)의 아버지로, 장흥 부사(長興府使)를 지냄. 장리(贓吏)인 조서종(趙瑞鍾)의 사위였으나 서용되는 전례를 남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몽수(蒙叟)@장주 - 장주(莊周)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思想家). 도가(道家)의 대표적 인물로, 노자(老子)의 무위자연(無爲自然)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킴.
B.C.369~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몽수(蒙叟) - 최운(崔雲)@고려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무신. 봉익대부(奉翊大夫) 최문립(崔文立)의 아들로, 철원 부사(鐵原府使)ㆍ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를 지냄.
1275~1325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