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몽열(夢說)@유몽열 - 유몽열(柳夢說)
조선 전기의 문신. 이산 현감(尼山縣監)을 역임하였으며, 이이(李珥)의 《율곡전서(栗谷全書)》에, 그가 세운 보인당(輔仁堂)에 대한 기문(記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이산 , 인명>관인>문신
-
몽열(夢說) - 성몽열(成夢說)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1539년(중종 34)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함경도 도사(咸鏡道都事)ㆍ봉상시 판관(奉常寺判官)ㆍ함양 군수(咸陽郡守)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몽열(夢說) - 정몽열(丁夢說)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무안(務安). 유학 정윤호(丁潤瑚)의 아들로, 1513년(중종 8)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몽오(夢梧) - 김종수(金鍾秀)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으로, 김치만(金致萬)의 아들. 노론(老論) 벽파(僻派)의 영수로서 정조의 신임을 받고, 임성주(任聖周)ㆍ윤시동(尹蓍東)ㆍ김상묵(金尙默) 등과 교유함.
1728~179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몽오(夢鰲) - 남몽오(南夢鰲)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본관은 영양(英陽).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 남기(南麒)의 아들로, 조목(趙穆)ㆍ김성일(金誠一)과 교유했으며, 기영사(耆英祠)에 제향됨.
1528~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
-
몽옹(夢翁) - 이자(李耔)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한산(韓山). 사림파(士林派)의 한 사람으로 도학정치의 이상을 추구했으며, 온건하고 원만한 성품으로 기묘사화(己卯士禍)의 참화를 면함. 파직된 후 음성(陰城) 등지에 은거하여 학문에 힘씀.
1480~1533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충주ㅣ충청도>음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몽와(夢窩)@김창집 - 김창집(金昌集)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영의정 김수항(金壽恒)의 아들이자 김창협(金昌協)의 형. 노론(老論)의 대표 인물로,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냈으나, 경종의 후사로 연잉군(延礽君:영조)를 세웠다가 신임사화(辛壬士禍)로 죽임을 당함.
1648~172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영평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몽와(夢窩) - 유희령(柳希齡)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송인수(宋麟壽)의 문인으로, 을사사화(乙巳士禍)에 연루되어 절도(絶島)로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음. 《표제음주동국사략(標題音注東國史略)》과 《대동시격(大東詩格)》을 편찬하고, 《몽암집(夢菴集)》을 남김.
1480~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몽우(夢禹) - 이몽우(李夢禹)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증손인 의천군(義泉君) 이인(李仁)의 맏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몽웅(夢熊) - 유몽웅(柳夢熊)
조선 선조(宣祖) 때의 효자. 본관은 흥양(興陽). 유탱(柳樘)의 아들로, 1585년(선조 1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형 유몽표(柳夢彪)와 함께 어머니를 모시고 피란 도중 왜적이 어머니를 향해 칼을 내려치자 몸으로 막아 보호하고 죽음.
1557~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효자
-
몽원(夢轅) - 문몽원(文夢轅)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1578년(선조 11)에 구현(九賢)의 한 사람으로 추천받아, 덕산 현감(德山縣監)을 지냄. 성혼(成渾)ㆍ백광훈(白光勳)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몽원(夢黿) - 안몽원(安夢黿)
조선 전기의 유학.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과 시문(詩文)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몽윤(夢尹) - 안몽윤(安夢尹)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임진왜란 때 왜군을 토벌하였으며,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군량보급에 힘쓰고 서울 안현(鞍峴) 전투에서 공을 세워 순양군(順陽君)에 봉해짐.
1571~165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몽윤(夢尹)@이몽윤 - 이몽윤(李夢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예신(李禮臣)의 아들로 평안 도사(平安都事)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몽윤당(夢允堂) - 김복경(金復慶)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서산 군수(瑞山郡守)를 지낸 김변(金汴)의 아들. 1573년(선조 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양주 목사(楊州牧使) 등을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군과 싸우다 전사함.
1544~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몽은(夢殷) - 이몽은(李夢殷)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증손인 의천군(義泉君) 이인(李仁)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몽응(夢應) - 이제신(李濟臣)@1536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병마사(兵馬使)를 지낸 이문성(李文誠)의 아들로, 선조 때 예조 정랑(禮曹正郞)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시문(詩文)에 능하고 글씨를 잘 썼음.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몽의(蒙疑) - 계몽전의(啓蒙傳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황(李滉)이 주희(朱熹)의 《역학계몽(易學啓蒙)》을 알기 쉽게 풀이하여 주기(註記)한 책. 이 외에 명(明) 나라 한방기(韓邦奇)의 《역학계몽의견(易學啓蒙意見)》 중에서 요의(要義)를 뽑아 추록하였으며, 1557년(명종 12)에 간행함.
155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몽이(蒙異) - 덕이(德異)
중국 원(元) 나라의 승려(僧侶). 완산 정응(脘山正凝) 선사의 법을 이었으며,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고려의 고승들과 주고받은 서함이 많음.
1231~1308 중국>원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몽익(夢益) - 안몽익(安夢益)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순계군(順溪君) 안세복(安世復)의 첫째 아들이자, 순양군(順陽君) 안몽윤(安夢尹)의 형.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