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몽웅(夢熊) - 유몽웅(柳夢熊)
조선 선조(宣祖) 때의 효자. 본관은 흥양(興陽). 유탱(柳樘)의 아들로, 1585년(선조 1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형 유몽표(柳夢彪)와 함께 어머니를 모시고 피란 도중 왜적이 어머니를 향해 칼을 내려치자 몸으로 막아 보호하고 죽음.
1557~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효자
-
몽원(夢轅) - 문몽원(文夢轅)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평(南平). 1578년(선조 11)에 구현(九賢)의 한 사람으로 추천받아, 덕산 현감(德山縣監)을 지냄. 성혼(成渾)ㆍ백광훈(白光勳)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몽원(夢黿) - 안몽원(安夢黿)
조선 전기의 유학. 송암(松巖) 권호문(權好文)과 시문(詩文)을 주고받으며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몽윤(夢尹) - 안몽윤(安夢尹)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순흥(順興). 임진왜란 때 왜군을 토벌하였으며,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자 군량보급에 힘쓰고 서울 안현(鞍峴) 전투에서 공을 세워 순양군(順陽君)에 봉해짐.
1571~165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관인>문신
-
몽윤(夢尹)@이몽윤 - 이몽윤(李夢尹)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이예신(李禮臣)의 아들로 평안 도사(平安都事)를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몽윤당(夢允堂) - 김복경(金復慶)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서산 군수(瑞山郡守)를 지낸 김변(金汴)의 아들. 1573년(선조 6)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양주 목사(楊州牧使) 등을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군과 싸우다 전사함.
1544~159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몽은(夢殷) - 이몽은(李夢殷)
조선 전기의 종친. 성종(成宗)의 증손인 의천군(義泉君) 이인(李仁)의 둘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몽응(夢應) - 이제신(李濟臣)@1536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병마사(兵馬使)를 지낸 이문성(李文誠)의 아들로, 선조 때 예조 정랑(禮曹正郞)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시문(詩文)에 능하고 글씨를 잘 썼음.
1536~15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몽의(蒙疑) - 계몽전의(啓蒙傳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황(李滉)이 주희(朱熹)의 《역학계몽(易學啓蒙)》을 알기 쉽게 풀이하여 주기(註記)한 책. 이 외에 명(明) 나라 한방기(韓邦奇)의 《역학계몽의견(易學啓蒙意見)》 중에서 요의(要義)를 뽑아 추록하였으며, 1557년(명종 12)에 간행함.
1557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몽이(蒙異) - 덕이(德異)
중국 원(元) 나라의 승려(僧侶). 완산 정응(脘山正凝) 선사의 법을 이었으며,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고려의 고승들과 주고받은 서함이 많음.
1231~1308 중국>원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몽익(夢益) - 안몽익(安夢益)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순흥(順興). 순계군(順溪君) 안세복(安世復)의 첫째 아들이자, 순양군(順陽君) 안몽윤(安夢尹)의 형.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풍기 , 인명>문사>유학
-
몽익(夢翼) - 유몽익(柳夢翼)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문화(文化).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유용공(柳用恭)의 아들로, 음보(蔭補)로 사포서 별좌(司圃署別坐)에 제수되었으며, 형조 정랑(刑曹正郞) 등을 역임함.
1522~1591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문화 , 인명>관인>문신
-
몽인(夢寅) - 유몽인(柳夢寅)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흥양(興陽)으로, 제용감 주부(濟用監主簿) 유탱(柳樘)의 아들. 한때 성혼(成渾)에게 수학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대명외교를 담당하는 등 공을 세웠으나, 인조 때 무고로 인해 반역죄로 처형됨. 저서로 《어우야담(於于野談)》 등이 있음.
1559~162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몽장(蒙莊) - 장주(莊周)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사상가(思想家). 도가(道家)의 대표적 인물로, 노자(老子)의 무위자연(無爲自然) 사상을 계승하여 발전시킴.
B.C.369~B.C.289?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몽재(夢齋) - 이숙감(李淑瑊)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 이말정(李末丁)의 아들. 세조(世祖)가 즉위하자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으로 책록되었으며,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ㆍ이조 참의(吏曹參議)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연안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몽재(蒙齋)@채원정 - 채원정(蔡元鼎)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송(宋) 나라의 학자. 대모산(大帽山)에 은거하여 육경(六經) 등을 연구하고 후진(後進)을 양성함. 주희(朱熹)가 그를 봉안한 사당의 편액(偏額)을 지음.
중국>송ㅣ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몽재(蒙齋) - 이안도(李安道)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 이황(李滉)의 장손(長孫)으로, 성리학에 조예가 깊고 이황 문하의 명유(名儒)들과 교유하였으며, 음서(蔭敍)로 벼슬하여 사온서 직장(司醞署直長) 등을 지냄.
1541~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
-
몽재(蒙齋)@정단몽 - 정단몽(程端蒙)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청소년을 위한 성리학(性理學)의 기초 학습 교재인 《성리자훈(性理字訓)》을 저술함.
1143~119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몽재선생(蒙齋先生) - 채원정(蔡元鼎)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송(宋) 나라의 학자. 대모산(大帽山)에 은거하여 육경(六經) 등을 연구하고 후진(後進)을 양성함. 주희(朱熹)가 그를 봉안한 사당의 편액(偏額)을 지음.
중국>송ㅣ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몽접당(夢蝶堂) - 서엄(徐崦)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박학다식하고 문장에 능하였으며,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 등을 역임함.
1529~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