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묘뇨(貓尿)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묘련(妙蓮) -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불교 대승경전(大乘經典)의 한 가지. 천태종(天台宗)의 근본 경전으로, 모든 경전 중에서 가장 존귀하게 여겨짐. 기원 전후에 서북 인도에서 만들어졌으며, 회삼귀일사상(會三歸一思想)을 주요 내용으로 28개의 품(品)으로 구성됨. 구마라습(鳩摩羅什)의 한역본이 가장 널리 보급됨.
고대 , 기타지역 , 문헌>서명
-
묘련경(妙蓮經) -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불교 대승경전(大乘經典)의 한 가지. 천태종(天台宗)의 근본 경전으로, 모든 경전 중에서 가장 존귀하게 여겨짐. 기원 전후에 서북 인도에서 만들어졌으며, 회삼귀일사상(會三歸一思想)을 주요 내용으로 28개의 품(品)으로 구성됨. 구마라습(鳩摩羅什)의 한역본이 가장 널리 보급됨.
고대 , 기타지역 , 문헌>서명
-
묘명존자(妙明尊者) - 만항(萬恒)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승려. 본관은 웅진(熊津)으로 수선사(修禪社)의 십세(十世). 원오화상(圓悟和尙)에게 배우고 낭월사(朗月寺)ㆍ운흥사(雲興寺)ㆍ선원사(禪源寺) 등의 주지를 지냄.
1259~1319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종교인>승려
-
묘법연경(妙法蓮經) -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불교 대승경전(大乘經典)의 한 가지. 천태종(天台宗)의 근본 경전으로, 모든 경전 중에서 가장 존귀하게 여겨짐. 기원 전후에 서북 인도에서 만들어졌으며, 회삼귀일사상(會三歸一思想)을 주요 내용으로 28개의 품(品)으로 구성됨. 구마라습(鳩摩羅什)의 한역본이 가장 널리 보급됨.
고대 , 기타지역 , 문헌>서명
-
묘법화경(妙法華經) -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불교 대승경전(大乘經典)의 한 가지. 천태종(天台宗)의 근본 경전으로, 모든 경전 중에서 가장 존귀하게 여겨짐. 기원 전후에 서북 인도에서 만들어졌으며, 회삼귀일사상(會三歸一思想)을 주요 내용으로 28개의 품(品)으로 구성됨. 구마라습(鳩摩羅什)의 한역본이 가장 널리 보급됨.
고대 , 기타지역 , 문헌>서명
-
묘엄(妙嚴) - 자초(自超)
고려 충혜왕(忠惠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고승. 소지선사(小止禪師)의 제자로 구족계를 받고, 혜명국사(慧明國師)에게서 불법을 배움. 나옹(懶翁) 혜근(惠勤)의 수제자로 조선 개국 후 왕사(王師)가 됨.
1327~140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종교인>승려
-
묘엄존자(妙嚴尊者) - 자초(自超)
고려 충혜왕(忠惠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고승. 소지선사(小止禪師)의 제자로 구족계를 받고, 혜명국사(慧明國師)에게서 불법을 배움. 나옹(懶翁) 혜근(惠勤)의 수제자로 조선 개국 후 왕사(王師)가 됨.
1327~140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종교인>승려
-
묘음보살(妙音菩薩) - 문수(文殊)
대승불교(大乘佛敎)의 보살(菩薩) 중의 하나. 제불(諸佛)의 지혜를 맡은 보살로,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의 왼쪽에 위치하며, 오른쪽의 보현(普賢)과 함께 석가를 양쪽에서 보필하는 협시보살(脇侍菩薩)로 일컬어짐.
고대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묘응(妙應) - 혼구(混丘)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승려. 일연(一然)의 제자로, 충숙왕 때 왕사(王師)가 되었으며 《가송잡저(歌頌雜著)》 등을 저술함.
1251~132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종교인>승려
-
묘잡화(妙雜花) - 화엄경(華嚴經)
불교 화엄종(華嚴宗)의 근본 경전(經典). 석가모니(釋迦牟尼)의 가르침을 가장 잘 드러낸 작품으로 인정받는 방대한 분량의 대승불교(大乘佛敎) 경전임.
고대 , 문헌>서명
-
묘지(卯地) - 허엽(許曄)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허균(許筠)의 아버지로, 명종 때 조광조(趙光祖) 등의 신원을 청하고 허자(許磁) 등의 무죄를 논하다가 파직됨. 선조 때 김효원(金孝元)과 함께 동인(東人)의 영수(領袖)가 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17~15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묘희(妙喜) - 종고(宗杲)
중국 송(宋) 나라의 승려. 속성은 해씨(奚氏). 임제종(臨濟宗) 승려로 동산(東山) 혜운사(慧雲寺)의 혜제(慧齊)에게서 득도(得道)하여 구족계를 받고, 원오선사(圓悟禪師)의 법을 전해 받음.
?~1163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무(楙) - 김무(金楙)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전라도 관찰사를 지낸 김징(金澄)의 아들. 1718년(숙종 44) 금산 태수(金山太守)가 되어 조위(曺偉)의 문집인 《매계집(梅溪集)》을 간행함.
165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무(武) - 두무(竇武)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의 비(妃)인 두후(竇后)의 아버지. 진번(陳蕃)과 함께 국정을 보필하였으며, 환제가 죽은 뒤 영제(靈帝)를 옹립하여 이응(李膺)ㆍ두밀(杜密)과 함께 환관 조절(曹節)ㆍ왕보(王甫) 등을 죽이려다 발각되어 자결함.
?~16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무(畝) - 김무(金畝)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고령김씨의 시조인 김남득(金南得)의 아들로, 공양왕(恭讓王) 때 간관(諫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무(繆) - 허경종(許敬宗)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 간신 이의부(李義府)와 함께 황후 왕씨를 폐위시키고 측천무후(則天武后)가 황후에 책봉되는 데 기여함. 예부 상서(禮部尙書)ㆍ시중(侍中) 등을 지냄.
592~672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무^여(武^呂) - 여^무(呂^武)
중국 전한(前漢) 고조(高祖)의 황후인 여후(呂后)와 당(唐) 나라 고종(高宗)의 황후인 측천무후(則天武后)를 함께 부르는 말. 황제를 대신해 정권을 휘두르며 권세를 누렸던 두 황후를 말함.
중국>당ㅣ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무^탕(武^湯) - 탕^무(湯^武)
중국 은(殷) 나라를 세운 탕(湯)과 주(周) 나라를 세운 무왕(武王)을 함께 부르는 말. 각각 하(夏) 나라의 걸(桀)과 은(殷) 나라의 주(紂)를 정벌하고 새로 건국한 고사에서, 무도한 왕을 정벌하고 정당한 혁명을 일으킨 성군(聖君)을 가리킴.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무강(武康) - 무왕(武王)@백제
백제 제30대 왕. 재위 600~641. 법왕(法王)의 아들이며, 의자왕(義慈王)의 아버지. 즉위 후 신라를 자주 공격하는 한편 고구려의 남진(南進)을 견제하였으며, 정복전쟁을 통하여 왕권을 강화하고, 대규모 토목공사를 일으킴.
?~641 한국>백제 , 충청도>부여 , 인명>왕실>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