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무릉(武陵)@단양 - 단양(丹陽)
충청북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제2의 외금강(外金剛)이라 불릴 만큼 경관이 아름다움.
충청도>단양 , 지명>행정지명
-
무릉(茂陵)@사마상여 - 사마상여(司馬相如)
중국 한(漢) 나라의 문신ㆍ문인. 중랑장(中郞將)ㆍ효문원령(孝文園令) 등을 지내고, 〈자허부(子虛賦)〉ㆍ〈상림부(上林賦)〉 등 유명한 작품을 남김.
B.C.179~B.C.11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무릉(茂陵) - 무제(武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7대 황제. 재위 B.C.141~B.C.87. 흉노(匈奴)를 정벌하고 서역(西域)을 경략함.
B.C.156~B.C.8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릉고(武陵稿) - 무릉잡고(武陵雜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주세붕(周世鵬)의 시문집(詩文集). 이황(李滉)의 발문(跋文)이 있음.
1581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무릉공자(茂陵公子) - 무제(武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7대 황제. 재위 B.C.141~B.C.87. 흉노(匈奴)를 정벌하고 서역(西域)을 경략함.
B.C.156~B.C.8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릉군(武陵君) - 주세붕(周世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상주(尙州). 풍기 군수(豊基郡守)가 되었을때 향촌을 교화하기 위하여 향교를 이전하고 사림 자제들의 교육기관으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건립함. 저서에 《무릉잡고(武陵雜稿)》가 있음.
1495~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칠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무릉도인(武陵道人) - 주세붕(周世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상주(尙州). 풍기 군수(豊基郡守)가 되었을때 향촌을 교화하기 위하여 향교를 이전하고 사림 자제들의 교육기관으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건립함. 저서에 《무릉잡고(武陵雜稿)》가 있음.
1495~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칠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무릉로(武陵老) - 주세붕(周世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상주(尙州). 풍기 군수(豊基郡守)가 되었을때 향촌을 교화하기 위하여 향교를 이전하고 사림 자제들의 교육기관으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건립함. 저서에 《무릉잡고(武陵雜稿)》가 있음.
1495~155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ㅣ경상도>칠원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무릉왕(武陵王) - 효무제(孝武帝)@남북조(송)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제4대 황제. 재위 453~464. 아버지 문제(文帝)를 시해하고 제위에 앉은 형을 죽이고 즉위함.
430~464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릉유집(武陵遺集) - 무릉잡고(武陵雜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주세붕(周世鵬)의 시문집(詩文集). 이황(李滉)의 발문(跋文)이 있음.
1581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무릉정씨(武陵丁氏) - 정역동(丁易東)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문신ㆍ학자. 송 나라 때 한림원 편수(翰林院編修)를 지냈으나 원 나라 때는 벼슬을 하지 않고 물러나 생도(生徒)들을 가르침. 저서에 《역상의(易象義)》등이 있음.
중국>원ㅣ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무릉집(武陵集) - 무릉잡고(武陵雜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주세붕(周世鵬)의 시문집(詩文集). 이황(李滉)의 발문(跋文)이 있음.
1581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무릉천자(茂陵天子) - 무제(武帝)@전한
중국 전한(前漢)의 제7대 황제. 재위 B.C.141~B.C.87. 흉노(匈奴)를 정벌하고 서역(西域)을 경략함.
B.C.156~B.C.87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림군(茂林君) - 이선윤(李善胤)
조선 후기의 종친.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증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손자이자 원성군(原城君) 이탁(李倬)의 둘째 아들. 1615년(광해군 7) 나라를 바로잡자는 상소를 올렸으며, 무림군(茂林君)으로 봉해짐.
1563~163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무림수(茂林守) - 이선윤(李善胤)
조선 후기의 종친. 익양군(益陽君) 이회(李懷)의 증손이며, 용천군(龍川君) 이수한(李壽鷴)의 손자이자 원성군(原城君) 이탁(李倬)의 둘째 아들. 1615년(광해군 7) 나라를 바로잡자는 상소를 올렸으며, 무림군(茂林君)으로 봉해짐.
1563~163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무명(茂明) - 범준(范浚)
중국 송(宋) 고종(高宗) 때의 유학자. 《맹자(孟子)》의 주(注)에 그의 유명한 저작인 〈심잠(心箴)〉이 실려 있음.
1102~1151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무명재(無名齋) - 강백진(康伯珍)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신천(信川). 김종직(金宗直)의 문인(門人)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귀양 가서 1504년(연산군 10) 처형됨.
?~150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신천 , 인명>관인>문신
-
무목(武穆) - 악비(岳飛)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무신ㆍ학자. 남송(南宋) 초에 금군(金軍)의 침략을 저지하는 전공(戰功)을 세웠으나, 주화파(主和派)인 진회(秦檜)와의 불화로 무고한 누명을 쓰고 살해됨. 후에 신원되어 구국의 영웅으로 추앙됨.
1103~114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무신
-
무목왕정충도(武穆王精忠圖) - 악무목왕정충록도(岳武穆王精忠錄圖)
중국 남송(南宋)의 명장 악비(岳飛)를 그린 그림. 명(明) 나라 때 간행된《회찬송악악무목왕정충록(會纂宋岳鄂武穆王精忠錄)》에 수록된 36편의 화도(畵圖)로, 악비의 초상ㆍ전투모습 등이 그려져 있음.
중국>명 , 중국 , 문헌>작품명
-
무묘(武廟) - 관왕묘(關王廟)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촉(蜀)의 명장인 관우(關羽)를 모신 사당. 서울에 남관왕묘(南關王廟)와 동관왕묘(東關王廟)가 있으며, 지방에는 강진(康津)ㆍ안동(安東)ㆍ성주(星州)ㆍ남원(南原) 등 네 곳에 건립되었음.
159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ㅣ전라도>강진ㅣ경상도>안동ㅣ경상도>성주ㅣ서울 , 유적>건물>사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