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노애집(蘆厓集)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학자인 유도원(柳道源)의 시문집(詩文集). 10권 5책. 목판본. 순조(純祖) 때에 아들 유범휴(柳範休)와 종제 유장원(柳長源) 등이 유문을 정리하여 간행한 것으로 추측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노양(盧襄)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인. 《서정기(西征記)》를 저술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노언(盧焉)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풍천(豐川). 노흥길(盧興吉)의 아들로, 사정(司正)을 지냈으며, 아들 노숙동(盧叔仝)의 존귀함으로 인해 병조 참판(兵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무신
-
노언경(盧彦卿)
조선 전기의 유학. 승려 설옥(雪玉)이 그를 통해 고경명(高敬命)에게 시축(詩軸)에 제(題)를 써 줄 것을 부탁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노연령(魯延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평(咸平). 노인산(魯仁山)의 아들로, 경성 교수(鏡城敎授)를 역임했고 임형수(林亨秀)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문신
-
노영(盧瑛)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교하(交河). 충목왕(忠穆王) 때 좌정승(左政丞)을 지낸 노책(盧頙)의 아들이며, 서원군(瑞原君) 노제(盧濟)의 동생.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노영손(盧永孫)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광주(光州). 중종반정(中宗反正)의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어 모반을 기도한 대사성 이과(李顆) 등을 밀고하여 광원군(光原君)에 봉해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노오(盧敖)
중국 진(秦) 나라 때의 은자. 진시황(秦始皇)이 박사(博士)로 삼아 신선(神仙)을 구해오게 하였는데, 한번 가서 돌아오지 않고 노산(盧山)에 은거하다가 선인(仙人) 약사(若士)를 만나 신선이 되었다고 함.
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노우량(盧友良)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이며, 예문관 교리(藝文館校理)를 지낸 노분(盧昐)의 아들. 함양(咸陽)에서 부모의 상(喪)을 지키다 병으로 사망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노우명(盧友明)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풍천(豊川). 정여창(鄭汝昌)의 문인으로, 음운학(音韻學)에 조예가 깊고 해서(楷書)에 능함.
1471~152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노원(盧垣)
통일신라~고려 전기의 문신. 노수(盧穗)의 아홉째 아들로, 곡산노씨(谷山盧氏)의 득관조(得貫祖). 본래 중국 당(唐) 나라 사람으로, 아버지를 따라 신라(新羅)에 귀화하였으며, 고려 초기에 벼슬하여 곡산백(谷山伯)에 봉해짐.
중국>당ㅣ한국>고려전기ㅣ한국>통일신라 , 중국ㅣ황해도>곡산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노유(盧裕)
고려시대의 유학. 풍천백(豊川伯) 노지(盧址)의 후손으로, 풍천노씨(豊川盧氏)의 일세조(一世祖). 국자 진사(國子進士)를 지냈으며, 풍천(豊川)에 세거(世居)함.
한국>고려시대 , 황해도>풍천 , 인명>문사>유학
-
노은서원(魯恩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충청도 홍주(洪州)에 세운 사액서원(賜額書院). 박팽년(朴彭年)ㆍ성삼문(成三問)ㆍ이개(李塏)ㆍ유성원(柳誠源)ㆍ하위지(河緯地)ㆍ유응부(兪應孚)ㆍ성승(成勝) 등을 배향함.
167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노응(路應)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헌종(憲宗) 때의 문신.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 등을 지냈으며, 양양군왕(襄陽郡王)에 봉해짐. 한유(韓愈)의 《한창려집(韓昌黎集)》에 그에 대한 신도비명(神道碑銘)이 실려 있음.
741~811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노인(盧禋)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노진(盧禛)의 종제(從弟)이며, 민인백(閔仁伯)의 외조부. 《하서집(河西集)》에 〈제노경이나암(題盧敬而懶庵)〉의 시(詩)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문사>유학
-
노인산(魯仁山)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함평(咸平). 노연령(魯延齡)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문사>유학
-
노자장(盧自璋)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광주(光州). 부호군(副護軍) 노정(盧禎)의 아들이며, 좌통례(左通禮) 노한문(盧漢文)의 아버지로, 사정(司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무신
-
노자주(老子註)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학자인 왕필(王弼)이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경문(經文)을 풀이한 주석서(註釋書). 2권. 왕필의 또 다른 주석서인 《주역주(周易註)》와 함께 육조(六朝)ㆍ수(隋)ㆍ당(唐) 시대에 성행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노자지귀(老子指歸)
중국 전한(前漢) 말기의 학자인 엄준(嚴遵)이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을 주해(註解)한 철학서. 《경전석문(經典釋文)》 등에는 14권으로 되어 있음.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노저게로도(蘆渚憩鷺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서화가인 윤엄(尹儼)의 그림. 갈대 우거진 물가에 한가로이 쉬고 있는 백로 그림이란 뜻으로, 현재 서울 성북동(城北洞)의 간송미술관(澗松美術館)에 소장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