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무문(無門) - 희진(禧進)
고려 말 조선 초의 승려. 환암(幻菴) 혼수(混脩)의 제자.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종교인>승려
-
무민(武愍) - 최영(崔瑩)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본관은 동주(東州). 고려 말 외적의 소탕과 변방 수호에 수많은 공로를 세워 도형벽상공신(圖形壁上功臣)ㆍ좌명공신(佐命功臣) 등에 책록됨. 이성계(李成桂)의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으로 세력을 잃고 참형됨.
1316~1388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무민(無悶) - 채홍철(蔡洪哲)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권한공(權漢功)과 함께 원(元) 나라에 청원서를 올려 심왕(瀋王) 고(暠)를 왕으로 추대하려 함. 불교ㆍ의약ㆍ음악 등에 조예가 깊고, 찬성사(贊成事) 등을 지냄.
1262~1340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평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무방(茂芳) - 이무방(李茂芳)
고려 충목왕(忠穆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양(光陽). 고려 때 주요 관직을 두루 지내고 찬화공신(贊化功臣) 등에 책록됨. 조선 개국 후 조준(趙浚)의 천거로 검교문하시중(檢校門下侍中)을 지냄.
1319~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무백(務伯) - 박근효(朴根孝)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진원(珍原)으로, 성혼(成渾)ㆍ이이(李珥)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아우 박근제(朴根悌)와 함께 의병을 일으켰고, 전란이 끝난 뒤 동지들과 힘을 모아 서적을 발간하는 등 문교 진흥에 힘씀.
1550~160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인명>관인>문신
-
무백(武伯)@조숭문 - 조숭문(趙崇文)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무신. 부정(副正) 조유(趙瑜)의 아들. 성삼문(成三問) 등의 단종(端宗) 복위사건에 연루되어 아들 조철산(趙哲山)과 함께 죽임을 당함.
?~145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옥천 , 인명>관인>무신
-
무백(武伯) - 임호신(任虎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대사간(大司諫) 임추(任樞)의 아들. 형조 판서(刑曹判書)ㆍ호조 판서(戶曹判書)ㆍ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지내고, 정미약조(丁未約條)의 체결을 반대함.
1506~155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무본(無本)@가도 - 가도(賈島)
중국 당(唐) 나라 헌종(憲宗)~무종(武宗) 때의 시인. 처음에 중이 되었다가 뒤에 환속(還俗)하였음. 벼슬은 장강 주부(長江主簿)에 이르렀고, 시집으로는 《가장강집(賈長江集)》이 있음.
779~843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무본재(務本齋) - 손수산(孫守山)
조선 전기의 문신. 1445년(세종 27) 신숙주(申叔舟)ㆍ성삼문(成三問) 등과 함께 요동(遼東)에 가서 당시 유배중이던 명(明) 나라의 한림학사 황찬(黃瓚)에게 음운(音韻)을 물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무봉(巫峯) - 무협(巫峽)
중국 사천성(四川省) 중경시(重慶市)와 호북성(湖北省) 파동현(巴東縣) 사이에 있는 협곡. 장강삼협(長江三峽)의 하나.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무산(巫山)@양양 - 양양(襄陽)
강원도 동부 해안에 접해 있는 고을 이름.
강원도>양양 , 지명>행정지명
-
무산(撫山) - 영변(寧邊)
평안도 남동부에 있는 군(郡). 구룡강(九龍江) 하류에 있어 군사 요충지로 발달하였으며, 비옥한 평야가 있어 농산물이 많이 생산됨.
평안도>영변 , 지명>행정지명
-
무산(毋山) - 운봉(雲峯)@지명
전라도 남원(南原)의 동부에 있던 고을 이름. 지리산(智異山)의 서쪽에 위치하며, 호남(湖南)과 영남(嶺南)의 경계 지역을 이룸. 현재 전라북도 남원시(南原市)에 속함.
전라도>운봉 , 지명>행정지명
-
무생(茂生) - 선성군(宣城君)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넷째 서자로, 숙의(淑儀) 지씨(池氏) 소생. 계유정난(癸酉靖難) 이후 스스로 관직에서 물러나 사람들과의 관계를 끊고 한가롭게 살다가 일생을 마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무선(武先) - 송복흥(宋復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송전(宋琠)의 아들이고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순절한 동래 부사(東萊府使) 송상현(宋象賢)의 아버지.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송화 현감(松禾縣監)을 지냄.
1527~159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무선(茂先)@송시영 - 송시영(宋時榮)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상의원 주부(尙衣院主簿) 등을 지냄. 정묘호란 때 왕을 보필하였으며, 병자호란 때 강화(江華)로 갔다가 성이 포위당해 이시직(李時稷) 등과 함께 자결함. 영동(永同) 초강서원(草江書院) 등에 배향됨.
1588~1637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은진 , 인명>관인>문신
-
무선(茂先) - 장화(張華)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인ㆍ문신. 무제(武帝) 때 오(吳) 나라 토벌에 공을 세워 무후(武侯)에 봉해짐. 천상(天象)을 잘 보는 뇌환(雷煥)을 천거하여 용천검(龍泉劍)ㆍ태아검(太阿劍)을 찾아냈으며, 장재(張載)ㆍ장협(張協)과 함께 삼장(三張)으로 문명을 날림.
232~30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무성(婺星) - 무녀성(婺女星)
이십팔수(二十八宿) 가운데 하나의 별자리. 직녀성(織女星) 남쪽에 있는 여수(女宿)의 별칭으로 여신(女神)을 뜻하며, 흔히 귀부인을 찬양하는 용어로 쓰임.
자연물>천체
-
무성(武城)@태인 - 태인(泰仁)
전라북도 정읍(井邑)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전라도>태인 , 지명>행정지명
-
무성(武城)@광주 - 광주(光州)
전라남도 중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호남지방의 행정ㆍ군사ㆍ경제ㆍ사회ㆍ문화의 중심지.
전라도>광산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