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무송정(茂松正) - 이전(李恮)
조선 전기의 종친. 효령대군(孝寧大君)의 장남인 의성군(誼城君) 이채(李寀)의 아들로, 강화 부사(江華府使)를 지낸 서천군(西川君) 한사문(韓斯文)의 장인.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무송헌(撫松軒) - 김담(金淡)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ㆍ천문학자. 본관은 예안(禮安). 이순지(李純之) 등과 함께 많은 천문역서를 교정하고 편찬함.
1416~14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무수(巫岫) - 무산(巫山)@중국
중국 사천성(四川省)과 호북성(湖北省) 경계에 위치한 산 이름. 태양신 염제(炎帝)의 딸인 요희(瑤姬)가 죽어 무산에서 운우(雲雨)의 신이 되었다는 고사가 전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무수(無愁) - 유최기(兪㝡基)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정미환국 때 소론의 거두 이광좌(李光佐)의 횡포를 반박하고, 신임사화로 죽은 노론의 거두 김창집(金昌集)ㆍ이이명(李頤命)의 신원(伸寃)과 소론의 음모사실을 논박함.
1689~17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무수옹(無愁翁) - 유최기(兪㝡基)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정미환국 때 소론의 거두 이광좌(李光佐)의 횡포를 반박하고, 신임사화로 죽은 노론의 거두 김창집(金昌集)ㆍ이이명(李頤命)의 신원(伸寃)과 소론의 음모사실을 논박함.
1689~176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무숙(務叔) - 박관(朴寬)
조선 전기의 문신. 유희춘(柳希春)과 친분이 있었는데, 유희춘이 진원 훈도(珍原訓導)로 추천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원 , 인명>관인>문신
-
무숙(懋叔)@김익훈 - 김익훈(金益勳)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손자. 김석주(金錫胄)와 함께 경신환국(庚申換局)을 일으켜 남인(南人)을 숙청하고 정권을 주도했으나,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추국(推鞫)을 당하던 중 장살(杖殺)됨.
1619~168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무숙(懋叔) - 배세적(裵世績)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배중후(裵仲厚)의 아들로, 1507년(중종 2)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함. 군위 현감(軍威縣監)을 지냈으며, 덕연서원(德淵書院)에 배향됨.
1471~150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무숙(武叔) - 숙손무숙(叔孫武叔)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대부(大夫). 자공(子貢)이 공자(孔子)보다 훌륭하다고 평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무숙(武肅) - 무숙왕(武肅王)
중국 오대십국 오월(吳越)을 건국한 왕. 재위 907~932.
852~932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무숙(茂叔)@경세창 - 경세창(慶世昌)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이세좌(李世佐)의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유배되었으나, 중종 때에 관직이 회복되어 홍문관 부제학ㆍ대사간ㆍ도승지 등을 두루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무숙(茂叔)@이성종 - 이성종(李盛終)
조선 전기의 종친. 정종(定宗)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德川君) 이후생(李厚生)의 손자이며, 송림군(松林君) 이효창(李孝昌)의 셋째 아들로,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만년에 파주(坡州)로 내려가 유유자적함.
1474~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왕실>종친
-
무숙(茂叔)@주돈이 - 주돈이(周敦頤)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 정호(程顥)ㆍ정이(程頤) 형제의 스승으로, 도가사상(道家思想)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유교이론을 창시함. 저서에 《태극도설(太極圖說)》ㆍ《통서(通書)》등이 있음.
1017~107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무숙(茂叔)@이의 - 이의(李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전의(全義). 이창인(李昌仁)의 아들로, 1521년(중종 16)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성균관 학정(成均館學正)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무숙(茂叔) - 박조(朴稠)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진위 현령(振威縣令)을 지냄.
1476~151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무신공(武信公) - 설거백(薛居伯)
신라 개국공신(開國功臣) 6부 촌장 중 한 사람. 경주(慶州)를 본관으로 하는 순창설씨(淳昌薛氏)의 시조. 신라 516년(법흥왕 3)에 무신공(武信公)으로 시호되고 무열왕(武烈王) 때 장무왕(壯武王)에 추봉됨.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기타인명>공신
-
무신군(武信君) - 장의(張儀)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魏) 나라의 재상. 귀곡자(鬼谷子) 왕허(王詡)의 문인으로, 한(韓)ㆍ위(魏)ㆍ조(趙)ㆍ연(燕)ㆍ초(楚)ㆍ제(齊)의 육국(六國)이 진(秦) 나라를 섬기는 연횡책(連衡策)을 주장하였으나, 진 나라의 혜왕(惠王)이 세상을 떠나자 이를 실현하지 못하고 죽음.
?~B.C.31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무신난(武臣亂) - 무신정변(武臣政變)
고려 의종(毅宗) 24년 천대를 받던 무신들이 일으킨 정치적 변란. 정중부(鄭仲夫)ㆍ이의방(李義方)이 중심이 되어 정변을 일으켜 정치적 실권을 장악함. 고려를 전기와 후기로 나누는 분기점이 됨.
117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장단ㅣ경기도>개성 , 사건>역모
-
무신란(武臣亂) - 무신정변(武臣政變)
고려 의종(毅宗) 24년 천대를 받던 무신들이 일으킨 정치적 변란. 정중부(鄭仲夫)ㆍ이의방(李義方)이 중심이 되어 정변을 일으켜 정치적 실권을 장악함. 고려를 전기와 후기로 나누는 분기점이 됨.
1170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장단ㅣ경기도>개성 , 사건>역모
-
무실(茂實) - 오영(吳英)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이며, 고종(高宗) 소흥(紹興) 연간에 진사(進士)가 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