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문충(文忠) - 고경(高慶)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제주(濟州)로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냈음. 간의동지(諫議同知)를 지낸 고용현(高用賢)의 아버지.
1276~134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옥구 , 인명>관인>문신
-
문충(文忠)@범세동 - 범세동(范世東)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금성(錦城).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간의대부(諫議大夫) 등을 지내고 성리학에 조예가 깊었으며,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杜門洞)에 은거하다가 낙향하여 끝까지 절의(節義)를 지킴.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나주ㅣ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충(文忠)@장양호 - 장양호(張養浩)
중국 원(元) 나라의 문신ㆍ문인. 한림 직학사(翰林直學士)ㆍ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내고, 관잠서(官箴書)인 《삼사충고(三事忠告)》등의 저술을 남김. 중국 문학사에서 원대(元代) 산곡(散曲)의 대표 작가로 꼽힘.
1269~1329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문충(文忠)@탁중 - 탁중(卓中)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탁희립(卓希立)의 아들로, 김숙자(金叔滋)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김종직(金宗直)과 교유하였으며, 전적(典籍) 등을 역임함.
1404~14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문충(文忠)@하륜 - 하륜(河崙)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동국사략(東國史略)》과 《태조실록(太祖實錄)》 등을 편찬함. 외교정책에 능하여 명(明) 나라와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등 조선왕조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크게 기여함.
1347~141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충(文忠)@한강 - 한강(韓康)@고려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충렬왕 때 성절사(聖節使)로 원(元) 나라에 다녀오고, 첨의중찬(僉議中贊) 등을 지냈으며, 원부(元傅) 등과 함께 《고금록(古今錄)》을 편찬함.
?~1303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문충(文忠)@권근 - 권근(權近)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영가부원군(永嘉府院君) 권보(權溥)의 증손. 《예기(禮記)》를 중시하여 강상(綱常)의 확립을 통한 왕권 강화에 기여하고, 이황(李滉)ㆍ장현광(張顯光) 등에게 학문적으로 영향을 줌.
1352~140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충(文忠)@남구만 - 남구만(南九萬)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의령(宜寧). 숙종 때 정치운영의 중심에 있으면서 소론(少論)의 영수로 지목됨. 문집으로 《약천집(藥泉集)》있음.
1629~171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ㅣ강원도>강릉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문충(文沖) - 박문충(朴文沖)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밀양(密陽). 예조 참판(禮曹參判) 박진원(朴震元)의 아버지로,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유학
-
문탄(文坦) - 권한공(權漢功)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충숙왕(忠肅王)에 의해 구금된 일로 충숙왕을 폐위시키고 심양왕(瀋陽王) 고(暠)를 옹립하려 했으나 실패함.
?~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관인>문신
-
문탄(蚊灘) - 경주(慶州)
경상북도 남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 진한(辰韓)의 중심지이자 신라(新羅) 천년의 고도(古都).
경상도>경주 , 지명>행정지명
-
문태(文台) - 손견(孫堅)
중국 후한(後漢) 말기의 무장(武將). 손책(孫策)ㆍ손권(孫權: 오(吳) 대제(大帝))의 아버지. 지방의 호족(豪族) 출신으로, 황건(黃巾)의 난(亂)과 동탁(董卓) 토벌에 공을 세웠으나, 유표(劉表)와의 전투에서 황조(黃祖)에게 사살됨.
156~192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문태서(文泰瑞) - 문태수(文泰洙)
한말(韓末)의 의병장. 본관은 창원(昌原). 1907년 정미조약(丁未條約) 체결 뒤 무주(茂朱)에서 의거하여 덕유산(德裕山)을 주요 무대로 영남ㆍ호남ㆍ호서 일대에서 활약하다 체포되어 숨짐.
1880~1913 한국>근대 , 경상도>안음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문태서(文泰西) - 문태수(文泰洙)
한말(韓末)의 의병장. 본관은 창원(昌原). 1907년 정미조약(丁未條約) 체결 뒤 무주(茂朱)에서 의거하여 덕유산(德裕山)을 주요 무대로 영남ㆍ호남ㆍ호서 일대에서 활약하다 체포되어 숨짐.
1880~1913 한국>근대 , 경상도>안음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문태현(文泰鉉) - 문태수(文泰洙)
한말(韓末)의 의병장. 본관은 창원(昌原). 1907년 정미조약(丁未條約) 체결 뒤 무주(茂朱)에서 의거하여 덕유산(德裕山)을 주요 무대로 영남ㆍ호남ㆍ호서 일대에서 활약하다 체포되어 숨짐.
1880~1913 한국>근대 , 경상도>안음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문통(文通)@육순 - 육질(陸質)
중국 당(唐) 나라의 유학자. 유종원(柳宗元)ㆍ여온(呂溫) 등과 교류하고, 《춘추집전찬례(春秋集傳纂例)》ㆍ《춘추집전변의(春秋集傳辨疑)》ㆍ《춘추미지(春秋微旨)》등을 지음.
?~806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문통(文通) - 호병문(胡炳文)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 《주역(周易)》에 정통하고, 주희(朱熹)의 학문을 깊이 연구하였으며, 저서에 《주역본의통석(周易本義通釋)》ㆍ《사서통(四書通)》ㆍ《운봉집(雲峰集)》이 있음.
1250~1333?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문통(文通)@고봉 - 고봉(高鳳)
중국 후한(後漢)의 일민(逸民). 아내가 밭에 가면서 보리를 마당에 널어놓고 닭을 보라고 부탁하였는데, 마침 비가 와서 보리 멍석이 떠내려갔으나 그런 줄도 모르고 장대만 들고 글을 읽었다고 함. 덕행으로 천거되었으나 사양하고 나가지 않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문통(文通)@강엄 - 강엄(江淹)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의 문신ㆍ문인. 송(宋)ㆍ남제(南齊)ㆍ양(梁)의 3왕조를 섬기는 동안 양(梁)에서는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를 지냈으며, 문학을 즐기고 유(儒)ㆍ불(佛)ㆍ도(道)에 통달함.
444~50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문통(文通)@유문통 - 유문통(柳文通)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상주 목사(尙州牧使)와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을 역임했으며, 일본 사신을 맞아 뛰어난 외교술을 발휘했고 시문에도 뛰어났음.
1438~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