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문한(文漢)@이문한 - 이문한(李文漢)
고려 전기의 문신. 영천이씨(永川李氏)의 시조로, 평장사(平章事) 등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문한(文漢) - 최문한(崔文漢)
고려 후기의 문신ㆍ외척. 충숙왕(忠肅王)의 부마(駙馬)로, 삼중대광 판군기시사(三重大匡判軍器寺事)를 지내고 고려가 망하자 강화(江華)에 둔거(遯居)하였다가 강릉(江陵)으로 이적(移籍)함.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문한당(文閒堂) - 이감(李敢)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천(永川). 밀양 도호부사(密陽都護府使) 등을 지냈으며, 권근(權近)의 《양촌집(陽村集)》에 그에 대한 자설(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관인>문신
-
문한서(文翰署) - 예문관(藝文館)
고려~조선시대 왕의 칙령(勅令)과 교명(敎命)의 기록을 맡아보던 관청.
한국>고려전기 , 법제>관청
-
문해(文海) - 권문해(權文海)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예천(醴泉).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유성룡(柳成龍)ㆍ김성일(金誠一) 등과 교유하고,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을 저술함.
1534~159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행(文行)@김문행 - 김문행(金文行)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화음동주(華陰洞主) 김수증(金壽增)의 증손이며, 밀양 부사(密陽府使)를 지낸 김이탁(金履鐸)의 아버지. 좌승지(左承旨)ㆍ대사간(大司諫) 등을 지냄.
1701~175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문행(文行) - 배잠(裵潛)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 서진(西晉)의 사공(司空)을 지낸 배수(裵秀)의 아버지로, 상서령(尙書令)ㆍ하남 윤(河南尹)을 지냄.
?~244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행선생(文行先生) - 원덕수(元德秀)
중국 당(唐) 나라의 문신. 어려서부터 홀어머니에게 효를 다하였으며, 명리(名利)에 뜻이 없고 고상하여 절개가 있다는 칭송을 받음.
696~754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헌(文憲)@김상성 - 김상성(金尙星)
조선 경종(景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강릉(江陵)으로, 김시환(金始煥)의 아들. 13세에 영평(永平)의 〈금수정기(金水亭記)〉를 지어 신동(神童)으로 불리고, 이조 판서(吏曹判書) 등을 지냄.
1703~175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문헌(文憲)@유후조 - 유후조(柳厚祚)
조선 철종(哲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 유심춘(柳尋春)의 아들로, 고종 때 남인(南人)을 우대한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정책으로 우의정(右議政)을 지냄.
1798~187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문헌(文憲)@정범조 - 정범조(丁範祖)
조선 영조(英祖)~순조(純祖) 때의 문신ㆍ문인. 본관은 나주(羅州)로, 대사헌ㆍ형조 판서 등을 지냄. 시율과 문장에 뛰어나 사림의 모범으로 명성을 얻고, 문체반정(文體反正)에 주력하던 정조(正祖)에 의해 당대 문학의 1인자로 평가되어 오랫동안 문사의 임무를 맡음.
1723~1801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문헌(文憲)@기대승 - 기대승(奇大升)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황과 8년 동안 사단칠정(四端七情) 논쟁을 벌임으로써 조선 유학사상에 큰 영향을 끼침.
1527~157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전라도>광산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헌(文憲)@최충 - 최충(崔冲)
고려 목종(穆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해주(海州). 문헌공도(文憲公徒)의 창시자로, 구재학당(九齋學堂)을 세워 유학을 보급하고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문교(文敎) 진흥과 사학(私學) 발전에 크게 공헌함.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냄.
984~1068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헌(文憲)@이유태 - 이유태(李惟泰)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경주(慶州). 동부승지(同副承旨) 등을 지내고 예학(禮學)에 뛰어났으며, 송시열(宋時烈)ㆍ송준길(宋浚吉)ㆍ윤선거(尹宣擧)ㆍ유계(兪棨)와 더불어 호서산림(湖西山林) 오현(五賢)으로 일컬어짐. 저서로는 《초려집(草廬集)》 등이 있음.
1607~168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공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헌(文憲)@백문절 - 백문절(白文節)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본관은 남포(藍浦). 이부 시랑(吏部侍郞) 등을 지내고, 문사(文詞)와 글씨에 뛰어남.
?~1282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남포 , 인명>관인>문신
-
문헌(文憲)@윤자운 - 윤자운(尹子雲)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윤경연(尹景淵)의 아들이자 신숙주(申叔舟)의 처남으로, 영의정 등을 지냄. 정인지(鄭麟趾) 등과 함께 《고려사(高麗史)》편찬에 참여하고, 좌익공신(佐翼功臣)ㆍ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됨.
1416~147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헌(文憲)@이양원 - 이양원(李陽元)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원부령(利原副令) 이학정(李鶴汀)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명(明) 나라에 가서 종계(宗系)를 변무(辨誣)한 공으로 광국공신(光國功臣)에 책록됨.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우고, 영의정 등을 지냄.
1533~15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헌(文憲)@이총 - 이총(李𤄓)
조선 전기의 종친. 세조(世祖)의 첫 번째 서자인 덕원군(德源君) 이서(李曙)의 아들로, 조광조(趙光祖)와 교유하였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연좌되어 울산(蔚山)으로 유배됨.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종친
-
문헌(文憲)@이항 - 이항(李恒)@이자영의아들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박영(朴英)의 문인으로, 반궁성의(反躬誠意)ㆍ주경궁리(主敬窮理)를 학문 경향으로 삼음. 1566년(명종 21) 학행으로 천거를 받아 의영고 영(義盈庫令) 등을 지냄.
1499~157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ㅣ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헌(文憲)@박영균 - 박영균(朴永均)
고려 후기의 문신. 송은(松隱) 박익(朴翊)의 아버지로, 판도판서(版圖判書)와 재상(宰相)을 지냈으며, 응천군(凝川君)에 봉해졌다가 뒤에 은산부원군(銀山府院君)으로 추봉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밀양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