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문헌(文獻)@윤봉구 - 윤봉구(尹鳳九)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권상하(權尙夏)의 문인(門人). ‘강문팔학사(江門八學士)’의 한 사람으로, 호락논쟁(湖洛論爭)에서 호론(湖論)을 주장한 중심인물이며, 공조 판서 등을 역임함.
1681~176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헌(文獻)@정여창 - 정여창(鄭汝昌)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 때 종성(鍾城)으로 유배가서 죽음. 성리학의 대가로 경사(經史)에 통달함.
1450~150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문헌(文獻)@이행 - 이행(李荇)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폐비윤씨(廢妃尹氏)의 복위를 반대하여 유배되었고, 중종의 원비 신씨(愼氏)의 복위를 반대함.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을 찬진함.
1478~153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문헌(文獻)@박연 - 박연(朴堧)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음률가(音律家). 세종 때 율관(律管)을 만들어 편경(編磬)을 제작하는 등 조선 초기 음악 정비에 많은 공헌을 함. 왕산악(王山岳)ㆍ우륵(于勒)과 함께 우리나라 3대 악성(樂聖)으로 일컬어짐.
1378~145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영동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관인>문신
-
문헌(文獻)@한문헌 - 한문헌(韓文獻)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찬성사(贊成事)를 지낸 한영(韓永)의 셋째 아들로, 동궁(東宮)의 급사(給事)를 역임함.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문헌공사(文獻公祠) - 남계서원(灆溪書院)
조선 명종(明宗) 때 경상도 함양(咸陽)에 건립한 서원. 정여창(鄭汝昌)ㆍ정온(鄭蘊)ㆍ강익(姜翼) 등을 배향함.
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유적>건물>서원,향교
-
문헌공서원(文獻公書院) - 남계서원(灆溪書院)
조선 명종(明宗) 때 경상도 함양(咸陽)에 건립한 서원. 정여창(鄭汝昌)ㆍ정온(鄭蘊)ㆍ강익(姜翼) 등을 배향함.
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유적>건물>서원,향교
-
문헌공실기(文獻公實紀) - 일두집(一蠹集)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정여창(鄭汝昌)의 시문집(詩文集). 정구(鄭逑) 등이 편집한 《문헌공실기(文獻公實記)》를 유집(遺集)으로 하고, 속집(續集)을 덧붙여 간행함.
1920 한국>근대 , 경상도>함양 , 문헌>서명
-
문헌비고(文獻備考) -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
조선 영조(英祖) 46년에 우리나라의 상고시대부터 내려오는 모든 문물제도를 모아 역은 백과사전. 목판본. 100권 40책. 원(元) 나라의 마단림(馬端臨)이 엮은 《문헌통고(文獻通考)》의 체제를 바탕으로 13개 문(門)으로 나누어 수록함.
177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문헌실기(文獻實紀) - 일두집(一蠹集)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정여창(鄭汝昌)의 시문집(詩文集). 정구(鄭逑) 등이 편집한 《문헌공실기(文獻公實記)》를 유집(遺集)으로 하고, 속집(續集)을 덧붙여 간행함.
1920 한국>근대 , 경상도>함양 , 문헌>서명
-
문헌정사(文憲精舍) - 문헌서원(文憲書院)
황해도 해주(海州)에 있는 서원. 조선 명종(明宗) 때 주세붕(周世鵬)이 건립하고 사액(賜額)을 받았으며, 최충(崔冲)을 배향함.
1549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문헌황제(文獻皇帝) - 희조(僖祖)
중국 송(宋) 나라의 추존 황제. 태조(太祖) 조광윤(趙匡胤)의 고조(高祖)로, 묘호(廟號)는 희조, 시호(諡號)는 문헌황제(文獻皇帝)로 추존됨.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문현(文賢) - 이문현(李文賢)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성주(星州). 종종(中宗) 때의 학자인 이지번(李之蕃)의 아버지로, 현감(縣監)을 지냄.
1452~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문현(文顯)@권문현 - 권문현(權文顯)
조선 전기의 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권규(權逵)의 아들이며, 이원(李源)의 사위. 조식(曺植)의 문인. 오건(吳健)에 대한 제문이 《덕계집(德溪集)》에 전함.
1524~157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단성 , 인명>문사>학자
-
문현(文顯) - 윤보(尹珤)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순(尹純)의 아들로, 수첨의찬성사(守僉議贊成事) 등을 지내고, 영평부원군(鈴平府院君)에 봉해짐.
?~1329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문현무성헌인영효(文顯武成獻仁英孝) - 철종(哲宗)@조선
조선 제25대 국왕. 재위 1849~1863. 정조(正祖)의 동생 은언군(恩彦君)의 손자이고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 이광(李㼅)의 셋째 아들. 헌종(憲宗)의 뒤를 이어 즉위함.
1831~186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왕실>국왕
-
문형(文炯) - 정문형(鄭文炯)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로, 개국공신 정진(鄭津)의 손자이며 정숙지(鄭叔墀)의 아버지. 1447년(세종 2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오도 관찰사(五道觀察使)ㆍ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 등을 지냈으며, 1455년(세조 1) 좌익공신(佐翼功臣)에 녹훈됨.
1427~15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형산(文衡山) - 문벽(文璧)
중국 명(明) 나라 무종(武宗)~세종(世宗) 때의 문신ㆍ서화가ㆍ문인. 스승인 심주(沈周)와 함께 남종화(南宗畵) 중흥의 중심인물이며, 당인(唐寅) 등과 함께 문인화가들의 유파인 오파(吳派)를 형성함.
1470~1559 중국>명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문혜(文惠)@안원형 - 안원형(安元衡)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1341년(충혜왕 후2)에 급제하여 밀직사사(密直司事)ㆍ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냄.
1318~?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문혜(文惠)@전귀생 - 전귀생(田貴生)
고려 말~조선 초의 은자ㆍ문인. 두문동(杜門洞) 72현의 한 사람. 삼사좌윤(三司左尹)ㆍ밀직제학(密直提學)을 지냈으나, 고려 말엽에 나라가 어지러워지자 두문동에 들어가 조선의 태조(太祖)가 여러 차례 불러도 나오지 않고 여생을 마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담양ㅣ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문사>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