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문효(文孝)@이천 - 이천(李蒨)@고려
고려 충숙왕(忠肅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경주(慶州). 첨의평리 상의(僉議評理商議)로 원(元) 나라에 가서 교사(郊赦)를 축하하고 돌아왔으며,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 등을 역임함.
?~134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문신
-
문효(文孝)@전신 - 전신(全信)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김제안(金齊顔)ㆍ이제현(李齊賢) 등과 교유함. 음서(蔭敍)로 관직에 진출하여 동지밀직사사 상의회의도감사(同知密直司事商議會議都監事)를 지냄.
1276~1339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천안 , 인명>관인>문신
-
문효(文孝)@조석윤 - 조석윤(趙錫胤)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배천(白川). 김상헌(金尙憲)ㆍ장유(張維)의 문인(門人)으로, 효종 때 양관 대제학(兩館大提學)이 되어 《인조실록(仁祖實錄)》편찬에 참여함.
1605~165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금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효(文孝)@예종 - 예종(睿宗)@고려
고려 제16대 국왕. 재위 1105~1122. 재위 중 인재양성에 힘써 무학재(武學齋)와 양현고(養賢庫) 등을 설치하고, 윤관(尹瓘)을 원수(元帥)로 삼아 여진족을 정벌하는 등의 치적을 쌓음.
1079~112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국왕
-
문효(文孝)@성사달 - 성사달(成士達)
고려 충렬왕(忠烈王)~우왕(禑王) 때의 문신.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공민왕(恭愍王)을 호종하여 추충협익공신(推忠協翊功臣)에 책록되고, 김용(金鏞)의 반란을 평정하여 일등공신이 됨.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380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효(文孝)@윤효손 - 윤효손(尹孝孫)
조선 단종(端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세조(世祖)와 성종(成宗)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성종실록(成宗實錄)》 등의 수찬에 참여하였으며, 좌참찬(左參贊) 등을 지냄.
1431~1503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효(文孝)@하연 - 하연(河演)
조선 태조(太祖)~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불교의 일곱 종파를 선(禪)ㆍ교(敎) 양종으로 통합하고, 혁파된 사원의 토지와 노비를 국가에 환수하게 하였으며,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고, 문종(文宗)의 묘정에 배향됨.
1376~14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문효(文孝)@김만중 - 김만중(金萬重)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ㆍ소설가. 예학의 대가인 김장생(金長生)의 증손(曾孫)으로, 홍문관 대제학(弘文館大提學)을 지냄. 한글 소설 문학의 선구자로 《구운몽(九雲夢)》ㆍ《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등을 저술함.
1637~1692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문후(文侯) - 장소(張昭)
중국 삼국시대 오(吳) 나라의 문신. 손책(孫策)을 도와 오 나라를 건국하는데 공을 세우고, 대제(大帝) 손권(孫權)을 보좌하여 나라의 기틀을 잡음. 보오장군(輔吳將軍) 등을 지냄.
156~236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문후(文侯)@하후영 - 하후영(夏侯嬰)
중국 전한(前漢) 고조(高祖) 때의 공신. 원래는 말을 관리하는 천역(賤役)에 종사하였으나, 소하(蕭何)ㆍ번쾌(樊噲)와 함께 유방(劉邦)을 도와 한(漢) 나라를 건국하는 데 큰 공을 세움. 개국 후 태복(太僕)을 지내고 여음후(汝陰侯)에 봉해짐.
?~B.C.172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기타인명>공신
-
문후(文侯)@두고 - 두고(竇固)
중국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장제(章帝) 때의 장수. 흉노족(匈奴族)을 공격하고 물리치는 공을 세웠음.
?~88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문후(文后) - 문왕(文王)@주
중국 주(周) 나라의 창건자인 무왕(武王)의 아버지로, 무왕에 의해 왕으로 추존됨. 유교에서 칭송하는 성군(聖君) 가운데 한 사람.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문휴(文休) - 허정(許靖)
중국 후한(後漢)~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문신ㆍ학자. 허소(許劭)의 사촌형으로, 매월 첫날 허소의 집에서 향당(鄕黨)의 인물을 평가한 데서 '월단평(月旦評)'의 고사가 유래함.
?~222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문휼(文遹) - 정문휼(鄭文遹)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주희가 그에게 상례(喪禮)를 편찬하게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문흥갈문왕(文興葛文王) - 김용춘(金龍春)
신라 진지왕(眞智王)의 아들. 어머니는 지도부인(知道夫人) 박씨. 태종 무열왕(太宗武烈王)의 아버지로, 654년(태종무열왕 1) 4월 무열왕에 의해 문흥대왕(文興大王)으로 추봉됨.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종친ㅣ인명>왕실>국왕
-
문흥대왕(文興大王) - 김용춘(金龍春)
신라 진지왕(眞智王)의 아들. 어머니는 지도부인(知道夫人) 박씨. 태종 무열왕(太宗武烈王)의 아버지로, 654년(태종무열왕 1) 4월 무열왕에 의해 문흥대왕(文興大王)으로 추봉됨.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종친ㅣ인명>왕실>국왕
-
문희(文僖)@송규렴 - 송규렴(宋奎濂)
조선 효종(孝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으로,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의 문인. 학문이 뛰어나 송시열(宋時烈)ㆍ송준길 등과 함께 삼송(三宋)으로 일컬어지고, 전서(篆書)ㆍ주서(籒書)에 능함.
1630~1709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문희(文僖)@홍언필 - 홍언필(洪彦弼)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홍형(洪泂)의 아들이며, 홍섬(洪暹)의 아버지로, 요직을 두루 거치고 영의정 등을 역임하였으며, 을사사화(乙巳士禍)에 가담하여 보익공신(保翼功臣)에 책록되었고, 인종(仁宗)의 묘정에 배향됨.
1476~154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문희(文僖)@신석조 - 신석조(辛碩祖)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1426년(세종 8)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개성 유수(開城留守) 등을 지냄. 저서로 《연빙당집(淵氷堂集)》이 있음.
1407~14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문희(文僖)@전약수 - 전약수(錢若水)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 공부 시랑(工部侍郞)을 지냈으나 벼슬에 연연하지 않고 은퇴하여 명철보신(明哲保身)함.
960~100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