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노적(盧適)
조선 전기의 유학. 김인후(金麟厚)의 문인(門人)으로, 《하서집(河西集)》에 〈증노달부(贈盧達夫)〉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노전(盧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광주 목사(廣州牧使) 노한문(盧漢文)의 아들이고, 호조 참의(戶曹參議) 노준(盧埈)의 형으로, 1570년(선조 3)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정언(正言)을 지냄.
152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노정(盧禎)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예문관 응교(藝文館應敎) 노분(盧昐)의 손자이며, 대사헌(大司憲) 노진(盧禛)의 사촌 형으로, 노진에게 학문을 가르침. 양희(梁喜)ㆍ이후백(李後白)과 함께 도의와 학문을 닦아 영남의 삼걸(三傑)로 불림.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문사>유학
-
노제(盧濟)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교하(交河). 부친 노책(盧頙)이 기철(奇轍)의 반란사건에 연루되어 주살된 후 체포되어 사형되었음.
?~135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노조(盧兆)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곡산(谷山). 곡산노씨(谷山盧氏)의 일세조(一世祖)이며, 노인철(盧仁哲)의 조부로, 영동정(令同正)ㆍ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곡산 , 인명>관인>문신
-
노조(盧肇)
중국 당(唐) 나라 때의 문신. 흡주 자사(歙州刺史) 등을 역임했으며, 저서로 《문표집(文標集)》이 있음.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노조린(盧照鄰)
중국 당(唐) 나라 고종(高宗) 때의 문신ㆍ문인. 익주 신도위(益州新都尉)를 지내고, 왕발(王勃)ㆍ양형(楊炯)ㆍ낙빈왕(駱賓王)과 함께 초당사걸(初唐四傑)로 불림.
636~695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노종(盧宗)
조선 전기의 유학. 승려 지인(志仁)이 그를 통해 김인후(金麟厚)에게 시(詩)를 지어 줄 것을 부탁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노종도(魯宗道)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명신인 여희철(呂希哲)의 외할아버지로, 정직함으로 인해서 노직(魯直)이라 불리기도 하고 어두참정(魚頭參政)이라 불리기도 함.
966~102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노준(盧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좌통례(左通禮)를 지낸 노한문(盧漢文)의 아들. 선조 때 공조 좌랑(工曹佐郞)으로 《명종실록(明宗實錄)》 편찬에 참여함.
153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노준경(盧俊卿)
고려 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좌우위 대호군(左右衛大護軍) 노단(盧亶)의 아들이며, 우의정(右議政) 노숭(盧嵩)의 아버지로, 감찰 지평(監察持平)을 지냄. 1343년(충혜왕 4) 원(元) 나라 사신에게 피살됨.
?~1343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노중련(魯仲連)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제(齊) 나라의 학자. 언변이 뛰어났으며 명예와 부를 경시하고 명예를 높이 여겨 의를 추구한 선비의 상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노지(盧址)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한림학사(翰林學士) 도시조(都始祖) 노수(盧穗)의 셋째 아들로, 고려 초에 풍천백(豊川伯)에 봉해짐. 풍천노씨(豊川盧氏)의 득관조(得貫祖)ㆍ시조(始祖).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노직(盧稙)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교하(交河)로, 남평 현감(南平縣監) 노홍우(盧弘祐)의 아들. 호조 판서(戶曹判書)ㆍ예조 판서(禮曹判書)ㆍ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내고, 이원익(李元翼)ㆍ유성룡(柳成龍)ㆍ강서(姜緖) 등과 친교(親交)함.
1536~1587 한국>조선전기 , 서울ㅣ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노직(盧稷)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교하(交河). 남평 현감(南平縣監) 노홍우(盧弘祐)의 아들로, 1584년(선조 17) 별시(別試)에 급제하였으며,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냈고, 서화에 능함.
1545~161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노진(盧禛)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신고당(信古堂) 노우명(盧友明)의 아들로, 찰방(察訪)을 지낸 노관(盧祼)의 형. 기대승(奇大升)ㆍ노수신(盧守愼) 등과 도의(道義)로 교유함.
1518~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노집(盧輯)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신창(新昌)으로,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을 지낸 노미수(盧尾壽)의 아들. 단성 현감(丹城縣監)ㆍ조지서 사지(造紙署司紙)를 지냈음.
1489~153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신창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노책(盧頙)
고려 충목왕(忠穆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딸이 원(元) 나라의 태자비가 되어 권세를 누렸으나, 기철(奇轍)ㆍ권겸(權謙) 등과의 역모가 탄로나 주살됨.
?~1356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
-
노척(盧脊)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노사흔(盧士訢)의 아들이며, 대군사부(大君師傅) 노형필(盧亨弼)의 아버지로,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풍천 , 인명>문사>유학
-
노첨(盧簽)
조선 전기의 문신. 사복시 정(司僕寺正)을 지낸 유감(柳堪)과 춘성부정(春城副正) 이위(李偉)의 장인으로, 첨정(僉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교하 , 인명>관인>문신